Comparative Study of Square-Inventory Method with Scanline Survey in Slope Stability Analysis

사면 안정 분석을 위한 정면적법과 선조사법의 비교연구

  • Cheong, Sang-Wo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oi, Byoung-Ryol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정상원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학과) ;
  • 최병렬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학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In relation to slope stability analysis, geologic characteristics and engineering properties of the discontinuities in three slopes selected are compared and analyzed by both square-inventory method and scanline survey. The aim of the study is in evaluating which method is applied better in slope stability analysis by comparing results of the two methods with those of direct observation on outcrop of slope failures generated. In each slop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among geologic and engineering properties are analyzed similarly one another. However, results of orientation analysis in slope 2 are different each other, which indicates orientation of joints in slope 2 depends on persistency and frequency of each joint and also indicates appearance of new joint set with different orientation. Probability density distribution and spacing in slope 3 are high in comparison to those in slope 2 and 3. The reasons are that distribution of psammitic rocks and development of minor folds in slope 3 unlike slope 2 and 3 are closely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joints. The research data indicate that the square-inventory method predicts more precise failure aspects and is more effective way than scanline survey in analyzing slope stability of the study area.

사면의 안정성 분석과 관련하여 지질학적 특성과 지질공학적 특성을 각각 정면적법과 선조사법을 사용하여 선정된 세 사면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한 사면의 파괴유형의 결과와 실제 노두 사면에서 발생한 파괴양상과 비교하여 사면 안정성 분석의 방법상 어떤 방법이 더 잘 적용될 수 있는 지 판단한다. 불연속면의 방향성, 확률밀도분포와 간격, 경사방향과 빈도수 및 연장성과 빈도수에 관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각 사면마다 대체로 서로 유사하게 분석되었다. 하지만 방향성 분석에서 사면 2에서는 서로 상이한 결과를 얻었으며, 이는 사면 2에 분포하는 절리군의 방향성은 절리의 길이와 빈도수에서 서로 다르며 선조사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서로 다른 방향성을 보여주는 새로운 절리군의 출현을 의미한다. 절리의 확률밀도분포와 간격은 사면 3에서 높게 나타나며, 이는 사면 3을 구성하는 사질의 암석과 소습곡구조의 발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선정된 세 사면의 안정성분석에서 정면적법과 선조사법의 비교 분석결과와 그리고 실제노두에서 발생한 사면파괴 양상과의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정면적법이 연구지역의 절취사면의 안정성 분석에서 더 세밀한 파괴유형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선조사법보다 더 유효한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2, 우리가람 길라잡이, 1:100,000, 343p
  2. 김경수, 김원영, 채병곤, 조용찬, 2000 강우에 의한 산사태의 지질공학적 특성 - 충청북도 보은 지역, 지질공학회, 10(2), 163-174
  3. 이종혁, 이민성, 박봉순, 1980, 한국지질도, 미원도폭, 1:50,000, 자원개발연구소, 29p
  4. 이지수, 박혁진, 민경덕, 구호본, 2001, 불연속면의 특성을 고려한 보은지역 암반사면 안정성 해석, 자원환경지질, v. 34, 601-615
  5. 장보안. 풍보현, 장현식, 2008, 셀 단위 평가법을 이용한 암반사면 안정성 평가, 대한지질공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No. 6-7, 11-19
  6. 정상원, 최병렬, 2008, 지질구조에 의한 사면의 불안정성에 관한 연구: 충북 피반령 부근, 대한지질공학회, 18(4), 459-470
  7. 최병렬, 1998, 지하수 유로조사를 위한 절리계의 응용지질학적 분석, 대한지질공학회, 8(2), 131-143
  8. 최병렬, 2000, 보은지역의 지형분석,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49-55
  9. 최병렬, 2001, 탄성파를 이용한 보은지역 암석의 공학적 성질과 이방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공학회, 11(2), 215-227
  10. 최병렬, 정상원, 2008, 정면적법을 이용한 불연속면의 특성화 및 사면안정해석: 충북 보은군 내북면 창리 지역, 암반공학회지 터널과 지하공간, 18(1), 20-32
  11. 최재원, 이사로, 민경덕, 우익, 2004, 지리정보시스템 (GIS) 및 베이지안 확률기법을 이용한 보은지역의 산사태 취약성도 작성 및 검증, 자원환경지질, 37, 207-223
  12. Davis, G. H. and Reynolds, S. J., 1996, Structural geology of rocks and regions, John Wiley $ Sons. Inc., 776p
  13. Hoek, E., 2007, Practical Rock Engineering, Evert Hoek's Consulting Engineering Inc., 2007 ed., 326p
  14. Hoek, E. and Bray. J. W., 1981, Rock slope engineering, 3rd ed. The Institution of Mining and Metallurgy, London, 402p
  15. Priest, S. D., 1993, Discontinuity analysis for rock engineering, 1st ed. Chapman and Hall, 473p
  16. Wyllie, D. C. and Mah, C. W., 2004, Rock Slope and Engineering, Civil and Mining, 4th ed., Spon Press, 431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