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ling the Urban Railway Demand Estimation by Station Reflecting Station Access Area on Foot

역세권을 반영한 도시철도 역별 수요추정 모형 개발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re exist some limits when we forecast urban railway demand by traditional 4 step model.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model based on socioeconomic data by an administrative unit, 'Dong', yields a 'Dong' unit trip matrix. But a 'Dong' often has two or more stations. The second reason is that urban railway demand by station would be affected rather by station access area on foot than by a 'Dong' unit. So the model based on 'Dong' characteristic data have some inaccuracies in itself. Owing to the limits of the model based on 'Dong' unit data, there exits some difficulty in forecasting urban railway demand by station. So this paper studied two alternatives. The first is to forecast the demand by using the data of station access area on foot rather than 'Dong' unit data. This needs too much time and effort to collect data and analyse them, while the accuracy of the model didn't improve a lot. The second is to adjust the location of 'Dong' centroid and the length of centroid connector link. By this way we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tation access area on foot under traditional 4 step model. Comparing the expected demand to the observed data for each station, the result looks like very similar.

도시철도 수요를 일반적인 4단계 모형에 의해서 역별로 추정하는 경우에는 몇 가지 한계가 존재한다. 첫째 행정동 기반 사회경제지표를 토대로 하므로 행정동 단위의 도시철도 수요가 추정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각 행정동에 1개만이 아닌 2개 이상의 역이 위치할 경우 행정동 단위의 수요를 2개 이상의 역에 적절하게 할당하기가 쉽지 않다. 둘째 역별 도시철도 수요는 행정동보다 공간적 범위가 좁은 역세권 특성에 커다란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역세권보다 넓은 행정동 전체 특성을 기반으로 한 도시철도 수요 추정과 역별 할당에 의한 역별 수요 추정은 부정확할 수밖에 없다. 위와 같이 행정동을 기반으로 한 자료 사용의 한계로 도시철도 역별 수요를 제대로 추정하기 어려운 점이 존재하여,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 방안을 검토하였다. 첫째는 행정동이 아닌 역세권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경제지표 자료를 토대로 역별 수요를 추정하는 방안이다. 그러나 이 방안은 자료 수집과 분석에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것에 비하여, 추정의 정확도는 크게 높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는 일반적인 4단계모형을 적용하되 역세권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행정동 센트로이드 위치 및 도시철도 역과의 커넥터 거리를 각 역별로 조정하여 역세권을 반영하는 방안이다. 행정동 센트로이드 위치 및 커넥터 거리를 조정하는 두 번째 방법을 적용하여 역별 수요를 추정한 결과를 실제 집계된 서울시 지하철의 역별 수요를 비교한 결과, 각 역별로 매우 근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병우. 손의영(2004) '버스카드 자료를 이용한 버스 정류장 기반 O/D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대웅.유영근.최한규(2002), '지하철 도보역세권 설정방법과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27권 제5호
  3. 김대웅. 박철구. 이주완(2002), '실제 도시가로망을 대상으로 한 교통배분 Model의 실증적 검토',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7권 제2호
  4. 손의영. 권병우. 이만호(2004), '카테고리별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한 지하철역별 수요 추정 모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33-42
  5.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5), '서울시 장래 교통수요 예측 및 대응방안'
  6. 정창용(2008), '버스정류장 기반 O/D를 이용한 버스 노선폐지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한국개발연구원(2004), '도로. 철도 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 보완 연구(제4판)'
  8. 한국교통연구원(2005), '2004년 국가교통 DB구축사업 최종보고서'
  9. 한국철도공사(2006), '철도 통계연보'
  10. Caliper(2004), 'Travel Demand Modeling with TranCAD'
  11. Cervro, R(2007), 'Walk-and-ride : Factor influencing pedestrian access to transit, Transport Policy', Vol. 41, pp.511-522
  12. Givoni, M(2007), 'The Access Journey to the Railway Station and Its Role in Passengers` Satisfaction with Rail travel, Transport Policy', Vol. 14, pp.357-365 https://doi.org/10.1016/j.tranpol.2007.04.004
  13. O'Sullivan and Morrall J.(1996), 'Walking Distances to and from Light-Rail Transit St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pp.19-26 https://doi.org/10.3141/1538-03
  14. Sutanto and Soehodo(1999), 'Design of Public Transit Network in Urban Area With Elastic Demand, Journal of advanced transportation', Volume 33, no 3, pp.335-369 https://doi.org/10.1002/atr.567033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