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컨테이너항만의 대중국 수출행태 분석

An Analysis on Export Behavior to China of Container Port

  • 발행 : 2009.06.30

초록

본 연구는 2001년 1월부터 2007년 10월까지의 기간에 환율과 국내경기가 국내 컨테이너항만(부산항, 인천항, 광양항, 평택항)을 통한 대중국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변수에 대한 단위근검정을 실시한 결과 수준변수는 1%수준에서 단위근을 갖는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데 실패하고 있는 반면에, 1차차분하여 다시 단위근검정을 실시한 결과 단위근이 존재한다는 귀무가설의 1%수준에서 모두 기각에 성공하였다. 또한 공적분 검정을 실시한 결과 모형이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국내 컨테이너항만(부산항, 인천항, 광양항, 평택항)의 수출에 대한 예측오차의 분산 분해결과는, 광양항은 89%, 인천항 83%, 광양항 86%, 평택항 84%가 설명됨으로써 이러한 변수들이 국내 컨테이너항만의 수출을 설명하는 주요 변수 중의 하나인 것을 보여주고 있다. 충격반응은 부산항의 경우 환율은 2단계에서 부(-)의 효과를 보이고, 3단계에서 정(+)의 효과로 전환되고 극심한 변화를 보인다. 국내경기는 2단계에서 7단계까지 극심한 변화를 보이나 그 이후 정(+)의 효과가 지속되면서 안정화된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천항, 광양항, 평택항도 부산항의 경우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며 7단계이후 안정화 추세로 전환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xchange rate and national economy on Export through container ports (Busan Port, Incheon Port, Gwangyang Port, and Pyeongtaek Port) from January 2001 to October 2007. This study carried a unit root test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failed to reject the null hypothesis that level variables have a unit root at the level of 1%. However, it carried out a unit root test on the variables by the first order difference and succeeded in rejecting the null hypothesis aforementioned at the level of 1%. As a result of the cointegration test, it was found that the model is stable. When this study carried out a variance decomposition on the prediction error of export at container various container ports, it found 89% for Busan Port, 83% for Incheon Port, 86% for Gwangyang Port, and 84% for Pyeongtaek Port. These figures indicate that such variables significantly account for export at container ports. For Busan Port, Step 2 of exchange rate showed negative (-) effect, and Step 3 shows an extreme transition into a positive (+) effect. The national economy showed an extreme change from Steps 2 to Step 7, and then a positive effect has been maintained. The Incheon Port, Gwangyang Port and Pyeongtaek Port showed similar trends to Busan Port. From Step 7, it seems that they have Shifted to more stable trend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윤철, "한국의 대외거래모형," [경제분석], 제4권 제3호, 한국은행, 1998.
  2. 김창범, "해상운송의 물동량 예측과 항만물류정책,"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권 제1호, 한국항만경제학회, 2007, pp. 149-162.
  3. 노태정.유종영, "일본.미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출이 예측모형," 삼성경제연구소, 1987.
  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최근 한.중.일 3국의 역내교역 현황 및 특징," [KIEP 지역경제포커스], 08-08호, 2008년 4월 23일, pp. 1-9.
  5. 모수원.김창범, "원유수입과 환율변동성," [자원.환경경제연구], 제11권 제3호,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2002, pp. 397-414.
  6. 모수원.김창범, "해운산업의 생산함수 추정," [해운물류연구], 제40호, 한국해운물류학회, 2004, pp. 39-55.
  7. 모수원, "항공화물과 수출행태," [해운물류연구], 제46호, 한국해운물류학회, 2005, pp. 95-110.
  8. 박선현.동애영.김보람, "중국 물류산업 현황 및 전망," [하나산업정보],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08년 2월 14일, 제6호, pp. 1-7.
  9. 손용정, "항만경쟁력 제교를 위한 항만교역량 예측,"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1호, 한국항만경제학회, 2009, pp.1-14.
  10. 전찬영.이종필.송주미, "최근 컨테이너물동량 증가추세 둔화의 대내외적 변동 요인 분석," 수시연구 2006-05,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11. 최봉호, "환율변동성과 컨테이너물동량과의 관계,"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권 제1호, 한국항만경제학회, 2007, pp.1-18.
  12. 양평섭 외5, "한.중 교역 특성과 한.중 FTA에 대한 시사점," [연구보고서 07-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
  13. 이종원, [계량경제학], 박영사, 2007.
  14. 이재열.한희준, "품목별 수출입 행태분석과 시사점," [조사통계월보], 한국은행, 2001.
  15. 한희준, "수입의 변동요인분석," [조사통계월보], 한국은행, 2000.
  16. Dickey, D.A., and Fuller, W.A., "Distribution of the Estimators for Autoregressive Time Series with a Unit Root,"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74, 1979, pp.427-431. https://doi.org/10.2307/2286348
  17. Doyle, E., "Exchange Rate Volatility and Irish-UK Trade, 1979-1992," Applied Economics, Vol.33, 2001, pp. 249-265. https://doi.org/10.1080/00036840122999
  18. Fuller, W. A., Introduction to Statistical Time Series, New York, Wiley, 1976.
  19. Goldstein, M., Khan, M. S. and Officer, L. H., "Price of Tradable and Nontradable Goods in the Demand for Total Import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62, 1980, pp. 190-199. https://doi.org/10.2307/1924744
  20. Johansen, S., "Statistical Analysis of Cointegrating Vectors," Journal of Economic Dynamics and Control, Vol.12, 1988, pp. 231-254. https://doi.org/10.1016/0165-1889(88)90041-3
  21. Kenen, P. B. and Rodrik, D., "Measuring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Short Term Volatility in Real Exchange Rate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68, 1986, pp. 311-315. https://doi.org/10.2307/1925511
  22. Osterwald-Lenum, M., "A Note with Quantiles of the Asymptotic Distribution of the Maximum Likelihood Cointegration Rank Test Statistics,"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54, 1992, pp. 461-471. https://doi.org/10.1111/j.1468-0084.1992.tb00013.x
  23. Stone, J. A., "Price Elasticities of Demand for Imports and Exports: Industry Estimates for the U.S., The E.E.C. and Japan,"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2, 1979, pp. 306-312.
  24. Quantitive Micro Software, Eviews 6 User's Guide I.II, 2007.
  25. http://www.bok.or.kr
  26. http://www.nso.go.kr
  27. http://www.kca.or.kr
  28. http://www.kit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