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eriments on the Influence of Opening of Natural Smoke Ventilators on the Stack Effect in High-rise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초고층주상복합건물에서 배연창 개방이 연돌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임채현 (호서대학교대학원 소방학과, 울산광역시 시설관리공단) ;
  • 김범규 (호서대학교대학원 소방학과) ;
  • 박용환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stack effect in high-rise buildings is expected more significant at nights in winter due to the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s. However, the existence of large openings such as natural ventilators on the floor may effect the position of neutral plane, smoke spread at fire and thus obstruct the door openings for rescue. In this paper,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ressure distribution with different openings of natural smoke ventilators was experimentally analyzed by investigating pressure differentials.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은 구조적으로 수직샤프트의 길이가 길고 24시간 냉난방이 이루어지는 용도적인 특성으로 혹서기 심야시간대에 실내외 온도차에 의한 연돌효과가 다른 건물보다 크게 발생한다. 또한, 하부 층에는 개구율이 높은 판매시설 및 지하주차장 등이 위치하고 있어 중성대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압력분포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압력분포는 화재위험도가 높은 하부 층에서 화재발생 시 중성대 이상층 전체가 연기확산의 위험에 노출되고 출입문 개방장애 등의 피난장애를 가져올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주상복합건축물에서의 수직 및 수평 압력분포를 정상조건 및 배연창개방조건에 따라 계단실, 부속실, 복도에서의 압력을 측정하고 압력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성한, 조재훈, 여명석, 김광우 (2005) 실측과 시뮬레이션을 통한 초고층 주거건물에서의 연돌효과 문제의 해결. 한국주거학회논문집, 한국주거학회, 제16권, 제4호, pp. 73-80
  2. 국토해양부 (2008) 건축설비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14조
  3. 김정엽 (2007) 연돌효과가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현장실험.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한국화재소방학회, 제22권, 제3호, pp. 194-200
  4. 임채현, 김범규, 여용주, 박용환 (2008) 배연창 및 외기풍속이 초고층건축물의 연돌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한국화재소방학회, 제22권, 제4호, pp. 20-26
  5. (2005) 고층 주거건물에서의 압력분포 예측을 통한 압력차 문제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1권, 제11호, pp. 327-333
  6. NFSC501A (2007)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
  7. Tamura G.T. (1994) Smoke Movement & Control In High-rise Building, NF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