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traumatic Stress by Work in Firefighters

소방공무원의 직무별 외상 후 스트레스

  • 백미례 (충주대학교 전문응급구조학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o investigate a posttraumatic stress, social support and work burden and to identify high risk group and related factors which were exerted influence on posttraumatic stress of firefighters. Data were gathered from total 264 firefighters consisting of 85 fire distinguishers & rescue workers, 96 emergency medical personnel and 83 in ambulance & fire truck drivers in C province and were analyzed 22 items by IES-R, 20 work burden items by Choi(2000), 8 social support items by Oh(2006) using SPSSWIN 14.0 program. Posttraumatic stress of general characteristics by work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marriage status, education, position, office duration, mobilization frequency and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Posttraumatic stress w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3 groups and fire distinguishers & rescue workers is the highest group. Posttraumatic stress was correlated with work burden(r=.317, p<0.01) for fire distinguishers & rescue workers, social support(r=-.331, p<0.01) and work burden(r=.522 p<0.001) for emergency medical personnel and work burden(r=.454, p<0.01) for ambulance & fire truck drivers. The high risk groups are fire distinguishers & rescue workers(60%), emergency medical personnel(55.2%)and ambulance & fire truck drivers(45.8%). Related factors are the experience seeing victim's danger for fire distinguishers & rescue workers(odds ratio=1.216, 95% confidence interval:1.068-1.383), and are work burden(odds ratio=1.100, 95% confidence interval:1.043-1.159) and office duration(odds ratio=1.010, 95% confidence interval 1.001-1.018) for emergency medical personnel, and are the experience seeing victim's danger(odds ratio=1.178, 95% confidence interval:1.010-1.373), age(odds ratio=1.129, 95%confidence interval:1.020-1.249), work burden(odds ratio=1.103, 95% confidence interval:1.034-1.177) for ambulance & fire truck drivers.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의 직무형태별 외상 후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및 업무부담감을 알아보고 직무별 고위험군을 확인 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는 C도에 근무하는 소방대원 중 구급 96명, 구조 및 화재진압 85명, 기관 83명인 총 264 명이 수집되었다. SPSS WIN 14.0 program을 이용하여 총 22문항으로 구성된 외상 후 스트레스 검사 도구 (IES-R), 20문항으로 최은숙(2000)이 수정하여 개발한 업무 부담감 측정도구와 오진환(2006)의 연구에서 수정보완 한 사회적지지도구로 분석하였다. 직무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의 결과는 나이, 결혼, 학력, 직급, 재직기간이 세 직무집단 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무별 외상 후 스트레스는 구조 및 화재 진압에서 가장 높았으며 세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무별 세 변수와의 상관관계에서 구조 직무군에서 업무부담감(r=.317, p<0.01)이 많을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는 높았고, 구급 직무군에서는 사회적 지지(r=-.331, p<0.01)가 낮을수록, 업무부담감(r=.522 p<0.001)이 많을 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았고, 기관 직무군에서는 업무부담감(r=.454, p<0.01)이 많을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고위험군에 속한 군은 구조 및 화재 진압 군에서는 51명(60%) 구급은 53명(55.2%), 기관은 38명(45.8%)으로 전체 264명 중 142명(54%)이었고 직무별 외상 후 스트레스 고위험군에 영향 주는 변수로는 구조 및 화재 진압군은 요구조자 위험을 경험시 느끼는 충격이었으며(odds ratio=1.216, 95% 신뢰구간: 1.068-1.383) 구급직무군은 업무부담감과(odds ratio=1.100, 95% 신뢰구간: 1.043-1.159) 재직기간(odds ratio= 1.010, 95% 신뢰구간 1.001-1.018)으로 나타났고 기관 직무군에서는 요구조자의 위험을 경험시 느끼는 충격(odds ratio=1.178, 95% 신뢰구간: 1.010-1.373), 나이(odds ratio=1.129, 95% 신뢰구간: 1.020-1.249), 업무부담감(odds ratio= 1.103, 95% 신뢰구간: 1.034-1.177)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은영 (2004) 일부소방공무원의 업무별 출동충격후 외상성 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 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2. 권순찬, 송재철, 이수진, 김인아, 고재우, 류현철, 김석현, 김대호, 정승아 (2008) 일개 소방서소방관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대한산업의학회, 제20권, 제3호, pp. 193-204
  3. 배점모 (2008) 소방대원의 출동충격, 사회적지지, 대처행태와 PTSD증상 및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4. 백승기 (2007) 소방대원의 외상성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5. 오진환 (2006) 소방대원들의 이차외상성 스트레스, 소진 및 신체적 증상의 영향요인 분석,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6. 유지현 (2006) 소방공무원의 PTSD증상과 정서상태, 대처방식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카톨릭대학교
  7. 윤정금 (2002) 소방대원의 외상성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연구
  8. 이지영, 문나영, 홍현기, 현명호 (2008) 소방대원의 외상경험, 정서지능과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증상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한국심리학회, 제13호, 제1호 pp. 25-39
  9. 최은숙 (2000) 소방대원의 출동충격스트레스에 관한 구조모형,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r Mental Disorder Fourth Edition: DSM-IV. American Psychiatric Press, Washington, D.C., pp. 424
  11. Corneil, W. Beaton, R. Murphy, S, Johnson, C, Pike, K (1999) Exposure to Traumatic Incidents and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in Urban Firefighters in Two Countri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 4, No. 2, pp. 131-141 https://doi.org/10.1037/1076-8998.4.2.131
  12. Gwadz, M.V., Nish D., Leonard N. R. and Strauss S M (2006) Gender differences in trumatic events and rate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homeless youth. Journal of Adolescence, Vol. 1, No. 004, pp. 1-13
  13. Mitani S, Fujita M, Nakata K, Shirakawa T. (2006) Impac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job-related stress on burnout: A study of fire service workers.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Vol 31, No. 1 pp. 7-11 https://doi.org/10.1016/j.jemermed.2005.08.008
  14. Mitchell J.T. (1984) The 600-run limit.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9, No. 1, pp. 52-54
  15.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2005) U.S firefighters fatalities sudden cardiac death, 1995-2004. NFPA Journal, July/August. http//www.nfpa.org
  16. Richard A. Bryant, Allison G & Harvey (1995) Posttraumatic stress in volunteer firefighters : Predictors of distres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 183, No. 4, pp. 267-271 https://doi.org/10.1097/00005053-199504000-00014
  17. Stein M.B., Walker J.R., Hazen A.L. and Forde D.R. (1997) Full and partial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 Finding from a community surve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54, No. 8, pp. 1114-1119 https://doi.org/10.1176/ajp.154.8.1114
  18. Wagner D., Heinrichs M. and Ehlert U. (1998) Prevalence of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german professional firefighter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55, pp. 1727-1732
  19. Weiss D.S. and Marmar C.R. (1997)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Guilford Press, New York, pp. 399-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