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CO_2$ Emission Structure in Korean Industry Using Hybrid IO Table

하이브리드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우리나라 $CO_2$ 배출 구조 분석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To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CO_2$ emission structure according to industries in Korea, a hybrid IO table quantifying the section of energy in the IO table is needed. However, the results of the recent researches revealed differences in the total amount of $CO_2$ emission by researchers in addition to significant standard deviation in industrial distribution. This study intends to mak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xisting method of making an IO table for energy and environment and presents an improvement scheme to contribute to an improvement in calculation of the total amount of $CO_2$ emission and estimation of the emission by industr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division was made into use as raw materials of energy and that as fuel and a new hybrid IO table was made by removing confounding factors caused by the product tax and subsidies. As a result, the oil and coal industry emitted 5.2 times less $CO_2$ after removing energy inputted as raw materials from the transaction table than before. The amount of $CO_2$ emission estimated by using the IO table based on basic price was found to be 2.7% less than by using the IO table based on the producer price.

우리나라의 산업별 직 간접 $CO_2$ 배출구조 분석을 위해서는 산업연관표의 에너지 부분을 물량화한 하이브리드 산업연관표(소위 에너지 및 환경 산업연관표)가 필요하다. 그러나 최근까지의 연구 성과를 보면 $CO_2$ 배출 총량이 연구자에 따라 각각 다르고 산업별 배분 역시 많은 편차를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에너지 및 환경 산업연관표 작성방법을 비교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CO_2$ 배출 총량 산정과 산업별 배출량 추정의 정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에너지 원료로의 사용과 연료로의 사용을 구분하고, 생산물세 및 보조금으로 인한 교란요인을 제거한 새로운 하이브리드 산업연관표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석유석탄 산업에서는 원료로 투입된 에너지를 거래표에서 제거한 후가 제거하기 전보다 $CO_2$ 배출량이 5.2배 낮게 나타났다. 또한 기초가격 기준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추정한 $CO_2$ 배출량이 생산자가격 기준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2.7% 적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