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 toward children's fundamental habit education

유아 기본생활습관 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 Youn, Jin-Ju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onkwang University)
  • 윤진주 (원광대학교 유아교육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study was to see if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 toward the education of children's fundamental habit would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based on their school type, education learning experience, and practicum experience. Subjects were 200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were attending 3-year colleges and 4-year universities in Jellabuk-do and Daejeon. Preceding researches were referenced to develop questionnaire for the research metho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test and Chi-square test. The followings are results: First, the interest in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type, but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learning experience and practicum experience. Second, the recognition in educational goa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racticum experience, but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type and education learning experience. the educational cont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learning experience, but not in school type and practicum experience. the recognition in educational principa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type, but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learning experience and practicum experience. the recognition in educational metho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type, education learning experience and practicum experience. Third, the recognition in educational hardship toward teach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type, education learning experience and practicum experience. The results of study would provide the righteous cognitive establishment of children's fundamental habit education and serve the appropriate guidelines being professor for our per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Also, they would be utilized as basic information to plan the direction of children's fundamental habit education to develop the program of children's life guidance.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석, 황윤세(2004). 유치원의 기본생활교육 내용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통합화 방안 탐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9, 39-67.
  2. 고명수(2005). 통화를 통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고미경(2003). 유치원에서 ‘착한 아이’ 되어가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곽노의, 최민수, 김규수, 김경철, 유구종(1997). 유아 기본생활습관 평가도구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2(2), 139-166.
  5. 교육과학기술부(2007).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집.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7. 교육부(1998).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8. 국립교육평가원(1996). 유치원 교육평가 연구. 서울: 국립교육평가원.
  9. 김규수(2000).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그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평가.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1), 229-251.
  10. 김민정(2007). 그림책을 통한 기본생활 습관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봉임(1994). 기본생활교육에 대한 유치원.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영옥, 조부경, 홍혜경, 김희진(2004).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 실태조사 및 비교 분석. 유아교육연구, 19(2), 119-140.
  13. 김주명, 문혁준(2006).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야의 기본생활습관이 유아의 사회적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4(11), 13-22.
  14. 김현진, 신은수(2008).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3), 239-263.
  15. 김혜정(2006). 전통예절 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민영기(1999). 유아의 기본생활교육에 관한 연구: 부모와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세랑(2006). 반성적 교수활동을 통한 만 3세 기본생활습관 형성 과정 탐색.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지선(1997). 유아의 기본생활교육을 위한 유치원과 가정과의 연계교육의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서영숙, 김재환(2004). 유치원.어린이집 유형별 교직문화 특성탐구: 근무지역, 소득과 학력 수준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9(2), 297-318.
  20. 성은영(2008).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 특성 및 교수수행과정에서의 어려움 탐색: 유치원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137-163.
  21. 손유진, 김남희(2007). 실행연구자로서 예비유아교사의 가능성 탐구: 행동관찰과 분석 사례를 통하여. 유아교육연구, 27(4), 233-253.
  22. 신인숙, 유연옥(2003).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269-296.
  23. 신현주(2006). 가정과 연계한 기본생활습관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연영아(1993). 유아의 기본생활교육에 관한 교사의 태도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오선영(2003).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역할인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7(1), 69-91.
  26. 윤진주, 안진경, 김지영(2008).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평가와 유아 평가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학회지, 17(3), 413-423. https://doi.org/10.5934/KJHE.2008.17.3.413
  27. 이명희(2008). 가족형태에 따른 자녀의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부모인식과 실제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이미영(2007). 대집단에서의 동화읽기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도덕적 판단력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숙희, 강병재(2002).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유아의 발달수준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7(2), 243-258.
  30. 이은하, 고은경(2008).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이미지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145-177.
  31. 이은화, 김희진, 이승연(1996). 기본생활습관 평가척도의 개발을 위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6(2), 161-177.
  32. 이정숙(2006). 규칙적인 체육교육이 유아기의 기본 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4(2), 75-85.
  33. 이진희(2004). 유아 표준화 검사에 대한 고찰. 교육학논총, 25(1), 135-147.
  34. 이항재, 방주리(2008). 예비유아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평화교육에 관한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133-156.
  35. 장현주(2000). 동화구연 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9(2), 83-93.
  36. 정경미(2002). 유아의 기본생활교육 및 수행을 위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정근수(2000). 유아의 기본생활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정옥분, 박희숙(2001). EPT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22(2), 15-28.
  39. 정종진(1999). 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양서원.
  40. 정현아(1994). 유아의 기본생활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조운주, 최일선(2007).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생활지도. 서울: 창지사.
  42. 조형숙, 박은주, 류혜숙(2008).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01-325.
  43. 채경란(2007). 가정통신문을 통한 가정과의 연계가 기본생활습관 지도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최경순(1992).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5. 하은옥(2007). 교육실습 전.후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이미지 변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19-42.
  46. 한국유아교육학회(1997). 유아교육학 사전(용어편).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47. Brimfied, R. A. & Leonard, S. (1983). The student teaching experience: A time to consolidate one's perception. College Student Journal, 17, 401-406.
  48. Brog, M. (2001). Teacher's beliefs. English Language Teachers Journal, 55, 186-188. https://doi.org/10.1093/elt/55.2.186
  49. Carter, M. (1999). Defining our approach to staff development. Child Care Information Exchange, 126, 40-42.
  50. McCullough, L., L., & Mintz, S. L. (1992). Concerns of pre-service student in the USA about the practice of teaching.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18(1), 59-67. https://doi.org/10.1080/0260747920180106
  51. Miller, D. F. (2000). Positive child guidance(3rd ed.). NY: Delmea Publish.
  52. Rovegno, I. (1992). Learning to teach in a field-based methods course: The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8(1), 69-82. https://doi.org/10.1016/0742-051X(92)90041-Z
  53. Zeichner, K., & Tabachnick, R. R. (1992). The belief systems of university supervision in an elementary student teaching program.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8, 34-54. https://doi.org/10.1080/026074782008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