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의 어머니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자아개념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Mothers and Self-Concept on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 손현숙 (영남이공대학 시회복지.보육과)
  • Son, Hyun-Sook (Dept. of Social Welfare.Child Care, Yeungnam College of Science & Technology)
  • 발행 : 2009.06.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was affected directly or indirectly by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their mothers and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concep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96 juniors from regular high school in the city of Daegu, who included 243 boys and 253 girls. The measurements of this study were a career-maturity inventory, 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 (PSI), and self-concept scal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maturity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mothers for them. Second, as for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self-concept on career maturity, three variables, including competence self-concept, home self-concept, attitudinal independence from mothers, classroom self-concept, had significantly explanation of career maturity. Third, as a result of making a path analysis of the impact of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mothers on career maturity through the medium of self-concept, conflictual independence gave a direct impact only, and its indirect effect was insignificant. The attitudinal independence showed both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for mothers had a significantly indirect impact onl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찬(1997) 한국 중.고교생의 진로성숙 및 진로포부 관계변인 탐색.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종구(1986) 자아개념, 진로의식성숙 및 학업성취도가 직업포부수준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곽준규.구만호(2000)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자아개념 및 내외통제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VOL 12 No. 1. 101-124.
  4. 권혁본(2001) 자아개념 및 가정환경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용호(2002) 실업계 고교생의 심리적 독립 및 학업 성취도에 따른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순정(2000) 대학생의 진로발달 유형과 심리적 독립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원선(1989). 진로의식 성숙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원중(1984) 진로의식성숙과 사회.심리적 변인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은진(2001)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정애(1998) 고등학생의 심리적 분리와 부모에 대한 대인거리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현옥(1997) 고등학교 직업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진로교육연구. VOL 1997 No. 8. 75-97.
  12. 나승일(1987) 농업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성숙과 관련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맹영임(2003) 남.여 중학생 직업관 및 진로의식 비교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수길(2001)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과 개인변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박찬주(1993)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미자(2002) 자아정체감과 양육태도와 비행경험이 중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송인섭(1982) 자아개념 진단검사. 서울: 한국심리적성 연구소.
  18. 송현순.정성봉(1998) 진로성숙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 분석 실과교육연구. VOL 4 No. 1. 123-142.
  19. 양용운(1998) 자기충족적 기대, 자아개념 및 적응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기학.한종철(1998)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개인적 특성 및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VOL 10 No. 1.167-189.
  21. 이기학(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자아 존중감, 직업 가치, 내외통제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광자(1997)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준엽(1995) 심리적 독립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희영(1999)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대한 부모-자녀간의 심리적 분리 및 애착 관계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1(2), 239-259.
  25. 유영주(2001) 가족관계학. 서울: 학지사
  26. 장석민(1990) 자녀의 진로지도를 위한 학부모 교육용 프로그램 개발 : 개발 및 적용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7. 정은희(1993) 부모로부터의 독립과 대학생활적응과의 상관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한국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편(2000). 직업심리 및 상담. 서울: 학지사.
  29. Armsden. GC, Greenberg MT(1987) The inventory of parent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The Journal of Youth Adolescence 16, 427-453. https://doi.org/10.1007/BF02202939
  30. Crites JO(1961) A model for the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8, 255-259.
  31. Crites JO(1971) The maturity of vocational attitudes in adolescence. Inquiry Series Monograph No.2, Washington, D. C.: APGA.
  32. Erikson EH(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33. Guidano VF(1987) Complexity of the self: A developmental approach to psychopathology and therapy. New York: Guilford.
  34. Hoffman J(1984) Psychological separation of late adolescents from their par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 170-178.
  35. Holland JL, Holland J E(1977) Vocational indecision: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4, 404-414.
  36. Josselson R(1988) The embedded self: I am thou revisited. In D. K. Lapsley & F. C. Power(Eds.), Self, Ego and Identity: Integrative approaches (pp. 91-106). New York: Springer-Verlag.
  37. Kenny ME(1994) Quality and correlates of parental attachment among late adolescents. Journal of Counseling Development, 72, 399-403. https://doi.org/10.1002/j.1556-6676.1994.tb00957.x
  38. Luzzo DA(1993) Value of career-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predidting career-decision-making attitudes and skill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0(2), 194-199.
  39. Osipow SH, Fitzgerald LF(1996) Theories of career development(4th ed). Boston, MA: Allyn & Bacon.
  40. Super DE(1955) The dimensions and measurements of vo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57, 151-163.
  41. Super DE(1957) The Psychology of Career: An introduction to vocational development. New York: Harper & Row.
  42. Super DE(1969) Vocational development theory: Persons, positions and process. Counseling Psychologist, 1, 19- 23.
  43. Super DE, Forrest DJ(1972) Career development Inventory: Preliminary Manual for research and field trial. New York :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 19-23.
  44. Taylor KM, Betz NE(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 63-81.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06-4
  45. Tolbert EL(1980)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