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근로자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of Migrant Workers

  • 투고 : 2009.10.08
  • 심사 : 2009.10.26
  • 발행 : 2009.11.30

초록

Purpose: In Korea, the number of migrant workers is increasing. However, migrant workers have low job satisfaction due to poor working environment, and insufficient social suppor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social support for job satisfaction of migrant workers. Method: We have analyzed the survey data of 397 migrant workers collected from free clinic for migrant work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Result: When the migrant workers received monetary and emotional supports from supervisors and colleagues, their job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high. The factors that influence job satisfaction of migrant workers are as follows: involvement in manufacturing industry, over 9 hours of daily sleep, monetary and emotional support from supervisors. Their job satisfaction strongly influenced by these factors. Conclusion: Social support will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migrant workers and it will subsequently decrease job turnover rate and increase productivity as well as quality of life.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종욱, 염영희 (2003).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 대한간호학회지, 33(2), 265-274.
  2. 김현리, 김정희, 송연이, 이꽃메, 정혜선, 현혜진, 김희걸 (2006). 유해화학물질 취급 외국인 근로자의 적응과정.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5(2), 94-103.
  3. 김희걸, 현혜진, 김용규, 김현리, 정혜선, 김정희, 이꽃메, 송연이 (2005). 유해화학물질 취급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 노동부 연구용역 보고서.
  4. 노동부 (2006). 노동백서. 서울: 노동부.
  5. 박경옥 (2003).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3), 91-108.
  6. 박달순 (2004). 외국인 근로자와 한국 근로자의 근로조건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연구-반월 시화공단의 근로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영주, 백순임, 신현정, 윤지원, 천숙희, 문소현 (2006). 중년남성의 분노, 심혈관 건강과 우울의 관계: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6(5), 863-871.
  8. 법무부 (2008).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07년 12월호. 서울: 법무부.
  9. 법무부 (2009).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09년 6월호. 서울: 법무부.
  10. 석현호 (1998). 외국인 취업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한국사회학, 32, 679-701.
  11. 송연이, 김희걸, 이꽃메, 정혜선, 김현리, 현혜진, 김정희 (2007). 외국인 근로자의 산업안전보건 지원체계.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6(1), 67-77.
  12. 윤정주 (2004). 외국인 근로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대구지역 거주 외국인 근로자를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이명희, 박정일, 구정완, 임현우 (1997).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실태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9(2), 309-319.
  14. 이병숙, 강성례, 김혜옥 (2007).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 경험: 초점집단 연구방법 적용. 대한간호학회지, 37(1), 114-124.
  15. 이선웅, 김규상, 김태균, 류향우, 이미영, 원용림, 송윤희 (2009). 경기지역 일부 이주노동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증상의 상관성. 대한산업의학회지, 21(1), 76-88.
  16. 이순희, 김신정, 이영주, 김숙영 (2009). 외국인 노동자의 사회적 지지와 외로움과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 67-74.
  17. 이해정 (2001). 간호사의 직무이행도, 업무만족도 및 생산성에 대한 예측인자. 대한간호학회지, 37(4), 571-583.
  18. 정혜선 (2005). NIOSH 통합모형.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편. 서울: 고려의학, 68-79.
  19. 정혜선, 김용규, 김현리, 이꽃메, 송연이, 김정희, 현혜진, 이윤정, 김희걸 (2008). 성별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실태 및 직업적 특성.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7(2), 126-137.
  20. 하은희, 이승길, 최재욱, 홍윤철 (2002). 외국인 근로자들의 근로실태, 산업재해 및 건강실태. 산업보건, 166, 4-13.
  21. 허현주 (2001). 외국인 노동자의 근로실태와 생활적응 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홍윤철, 하은희 (1996).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실태조사. 대한산업의학회지, 8(1), 1-14.
  23. 황성호 (2006). 서울․경인지역 일부 외국인 근로자들의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조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Prescott, P. A. (1986). Vacancy, stability and turnover of registered nurses in hospitals. Res Nurs Health, 9, 51-60. https://doi.org/10.1002/nur.4770090109
  25. Ward, L. S. (2007). Preliminary tests of an ecological model of hispanic farmworker health. Public Health Nurs, 24(6), 554-564. https://doi.org/10.1111/j.1525-1446.2007.00668.x
  26. Wong, D. F. K., He, X., Leung, G., Lau, Y., Chang, Y. (2008). Mental health of migrant workers in China:Prevalence and correlates. Soc Psychiatr Psychiatr Epidemiol, 43, 483-489. https://doi.org/10.1007/s00127-008-0341-1
  27. Wong, D. F. K., Song, H. X. (2008). The resilience of migrant workers in Shanghai China: the roles of migrant stress and meaning of migration. Int J Soc Psychiatry, 54(2), 131-143. https://doi.org/10.1177/0020764007083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