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사업장 근로자의 업종별 건강문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유해환경정도 비교

Comparison of Health Problems, Conditions, &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Risky Environment among Various Industrial Workers

  • 김은주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산업의학과) ;
  •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투고 : 2009.04.20
  • 심사 : 2009.05.20
  • 발행 : 2009.05.31

초록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health conditions and problems,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risky environment of industrial work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75 workers in 40 factories, located in Daegu, Korea.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7th, 2006 to April 28th, 2006. CMI (Cornell Medical Index) Health Checklist was used to assess the health problems, Health Rating Scale for health status, HPLP II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tool for risky environment. Th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12.0 for window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problems (F=4.70, p=.000), health conditions (F=2.47, p=.022), health promoting behavior (F=5.67, p=.000), and risky environment (F=14.75, p=.000) among these industrial worke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customized health care programs for each company to provide differentiated health care to different types of work place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assess differences in work environment among different types of work places for measures to reduce harmful factors to the environ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진모, 노영만, 김정만, 정춘화, 피영규(2002). 인천지역 중소규모 사업장 생산직 근로자의 작업환경에 대한 인식.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2(1), 62-72.
  2. 김두희, 성수원(1989). 대구, 경북지방 산업장의 작업환경 실태. 대한산업의학회지, 1(1), 20-23.
  3. 김은경, 김병권, 박종태, 김형렬, 구정완(2007). 근로자 건강증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1), 56-64.
  4. 김현리, 조영채, 정현숙(1997).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한국보건간호학술지, 11(2), 171-179.
  5. 김효정, 채선옥, 박영숙, 우선혜(2001).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및 건강개념과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5(2), 262-274.
  6. 노동부(1998). 사업장 건강증진지도 시행지침 , 고시 제 1999-20호.
  7. 문영한, 박종연, 이경종, 조명화(1992). 근로자들의 건강상태가 작업환경 인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4(1), 82-83.
  8. 박인숙. (1995). 건강증진 생활 양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박정숙. (2002).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와 심혈관계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14(2), 233-243.
  10. 박종연, 조채훈, 김규상, 이경종, 문영한(1993). 인천지역 중소규모 사업장들의 보건관리대행제도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예방의학회지, 26(1), 86-95.
  11. 배수민, 정인숙, 김정순, 전성숙(2004). 소규모 사업장 여성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수행도와 관련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4(6), 964-973.
  12. 서연옥(1995).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방식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3. 오승원, 정기택, 박지령(2007). 근로자의 건강위험요인과 결근율, 프리젠티즘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9(4), 304-314.
  14. 오영아, 이명선, 이경용(2002). 제조업 근로자의 작업환경인지도와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4(3), 301-314.
  15. 이명화, 이지현, 전민경, 곽선령(2001). 중공업 제조업체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신대학교 의학부 학술지, 26(1), 138-149.
  16. 이인숙(1996). C. M. I에 의한 대학 교직원들의 신체적 , 정신적 건강문제 호소에 관한 연구.한국보건학회지,10(1), 80-94
  17. 이태화(1990).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최희정(1991). 일부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지각, 건강행위, 건강상태에 관한 조사 연구. 성신간호대학논문집, 5, 38-48.
  19. Lawston, M. P., Moss M., Fulcomer, M., & Klban. M. H. (1982). A rease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37(1) : 91-99. https://doi.org/10.1093/geronj/37.1.91
  20. Pender, N. J.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nd ed. Norwalk : Appleton & Lange.
  21. Speak, D L. Cowart, M. E., & Pellet, K. (1989).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2 : 93-100. https://doi.org/10.1002/nur.4770120206
  22. Walker, S. N., Scherist, K. R.. & Pender. N. J. (1995). HPLP II. Nebrask: University of Nebrask Medical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