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설계빈도변화를 고려한 천변저류지 최적위치 선정

Determination of Optimal Location of Washlands Considering Design Frequency

  • Baek, Chun-Woo (Univ. of Western Australia, School of Envir. Systems Eng.) ;
  • Ahn, Tae-Jin (Dept. of Civil Eng., Hankyong National Univ.)
  • 발행 : 2009.07.31

초록

환경 및 경제적 문제 등으로 인해 댐과 같은 대규모 수공구조물의 신설이 점차 어려워짐에 따라, 천변저류지 등과 같은 소규모 수공구조물의 설치가 대안으로 검토되고 있다. 천변저류지와 같은 소규모 수공구조물의 경우 홍수량, 유입수문곡선, 천변저류지 용량 및 월류위어의 월류고 등에 따라 홍수저감효과가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대상 저류지의 제원 결정을 위해 목표하는 설계빈도 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천변저류지를 이용하여 목표하는 홍수저감효과를 얻기 위해 다수의 천변저류지가 설치되어야 하며, 즉 천변저류지군의 홍수조절효과는 이들 저류지군을 연계한 수문네트워크의 분석에 의해 산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빈도 변화에 따른 천변저류지군의 홍수저감효과를 산정해 보았으며 산정된 홍수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천변저류지의 최적위치를 선정하기 위한 새로운 지수를 제안하였다. 천변저류지의 최적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개발된 기존의 의사결정모형을 보완하여 제안된 지수를 산정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을 안성천유역에 적용하여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천변저류지 최적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의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Due to environmental, economical and the other limitations, it has been more difficult to construct new large hydraulic structure such as dam. For this reason, it has been tried to use small hydraulic structure such as washland as alternative of hydraulic facility. Because the flood control effect of small hydraulic structure are affected by runoff volume, hydrograph, storage capacity and weir crest elevation, and design frequency must be predetermined for the design of the hydraulic structure. Multiple washlands will be required to satisfy enough peak reduction effect so that considering washlands as a network, rather than individually, are critical to analysis of flood reduction effect. In this study, new index for determination of optimal location for washlands is presented and the existing model for this determination is modified by adopting the new index. Developed new model is applied to Ansung river basin for examination and the new model shows its' applicability as a decision making criteria for the determination of optimal location for washland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수만, 박민지, 김상호, 김성준 (2007) '홍수범람모형을 이용한 침수피해 저감방안 연구: 진위천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6B호, pp. 583-590
  2. 건설교통부 (2005). 천변저류지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연구
  3. 건설교통부 (2007). 안성천수계 유역종합치수계획
  4. 김덕길, 경민수, 김상단, 김형수 (2008).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수리․수문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5호, pp. 483-489 https://doi.org/10.3741/JKWRA.2008.41.5.483
  5. 박창근, 박재현, 이종진 (2007). '천변저류지를 활용한 화포천 유역에서의 홍수조절능력에 관한 연구.' 2007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331-335
  6. 백천우, 김복천, 안태진 (2009). '월류부특성변화에 따른 천변저류지군의 홍수저감효과분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9권, 제1호, pp. 145-150
  7. 안태진, 강인웅, 백천우 (2008). '수문학적 홍수저감효과 기반의 천변저류지 최적위치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7호, pp. 725-735 https://doi.org/10.3741/JKWRA.2008.41.7.725
  8. 전경수, 김원, 윤병만 (2006). '천변저류지 홍수조절 효과의 불확실성 분석.' 2006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67-270
  9. 한건연, 김지성, 백진규, 박홍성 (2005). '하천에서 천변 저류지의 홍수저감효과 분석.' 2005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33-236
  10. Hager, W.H. (1987). 'Lateral Outflow Over Side Weir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13, No. 4, pp. 491-504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87)113:4(491)
  11. Kamedulski, G.E., and McCuen, R.H. (1979). 'Evaluation of Alternatives Stormwater Detention Policie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05, No. WR2, pp. 171-186
  12. Ormsbee, L.E., Houck, M.H., and Delleur, J.W. (1987). 'Design of Dual-Purpose Detention System using Dynamic Programming.'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13, No. 4, pp. 471-484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87)113:4(471)
  13. Travis, Q.B. and Mays, L.W. (2008). 'Optimizing Retention Basin Network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34, No. 5, pp. 432-439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2008)134:5(432)
  14. USACE (U.S. Army Corps of Eng.) (2008). 'Modeling Lateral Structures'. In HEC-RAS (Ver. 4.0) Hydraulic Reference Manual, USACE(Ed.). (8-14)-(8-18)
  15. Yeh, C.H., and Labadie, J.W. (1997). 'Multiobjective Watershed-Level Planning of Storm Water Detention System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3, No. 6, pp. 336-343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7)123:6(336)

피인용 문헌

  1. Determination of Installation Priority of Washland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vol.44, pp.7, 2011, https://doi.org/10.3741/JKWRA.2011.44.7.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