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를 활용한 생태도시의 토지적합성 분석

Suitability Analysis on Land Use for Eco-City using GIS

  • 한갑수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조현길 (강원대학교 산림경영.조경학부) ;
  • 이창환 (상지영서대학 조경인테리어학과) ;
  • 안태원 (강원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Han, Gab-So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angn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 Jo, Hyun-Kil (Division of Forest Manage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g-Hwa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Sangji Youngseo College) ;
  • An, Tae-Wo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 투고 : 2009.03.24
  • 심사 : 2009.06.23
  • 발행 : 2009.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도시 구상을 위한 토지용도의 적지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GIS를 활용하여 생태환경을 정리, 분석하여 지역 및 공간에 대한 적합성을 판정하는 것이었다. 적합성 판정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환경 요소로서 표고, 경사, 수계/저류지, 비오톱, 토양생산성, 시각민감도, 식생, 녹지연결성 등 8가지를 선정하였다. 각 요소의 범주를 개발 및 보존가치에 따라 5등급으로 등급화하고, 각 요소별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도면중첩은 최대값을 이용하였으며, 분석의 최종단계에서 5등급의 토지 적합성 등급을 제시하였고 이에 따라 개발, 보전, 절대보존 공간 등 등급별로 토지용도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cide the suitability of the land use on eco-city by analysing ecological elements using GIS. Selected ecological elements for suitability analysis were altitude, slope, watershed, biotope, soil productivity, visual sensitivity, vegetation, and green connection. The category of each element was classified into 5 grades, and was given weight according to each element. The maximum value of each element was extracted from overlay analysis process. The result of analysis was classified into 5 grade finally. As a result, land use was proposed to be development,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자훈, 성금영. 2001. 토지이용계획의 용도별 적지 분석에 있어서 퍼지이론 및 계층분석과정(AHP)의 활용 -포항시 첨단연구단지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4(1): 34-46.
  2. 국토연구원. 2004. 신행정수도 생태도시 조성방안. 18-193쪽.
  3. 김재익, 정현욱. 2001. 도시공공시설 적지선정을 위한 GIS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4): 4-20.
  4. 박재홍, 최형식. 1997. 토지적합성 분석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 활용방안 -용도지역과의 상호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9(1): 45-58.
  5. 오규식. 1995. 토지적합성 분석에 있어서 상충지역 해소를 위한 지리정보시스템(GIS)의 활용-김포지역을 사례연구 대상지로-. 대한국토${\cdot}$도시계획학회지 31(2): 95-110.
  6. 이진덕, 연상호, 김성길. 2000. GIS를 활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적지분석 사례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3(4): 33-49.
  7. 이진덕, 이현화, 김성길. 2001. 도시지역의 토지이용 적지분석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이용 -구미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4(4): 29-38.
  8. 조현길. 1995. GIS기법을 이용한 생태적 민감도 평가 -미국 Arizona주 Oracle State Park을 대상으로-. 한국정원학회지 13(1): 83-93.
  9. 채미옥, 오용준. 2004. 국토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지적성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cdot}$도시계획학회지 39(1): 45-58.
  10. 춘천시. 2005. 통계연보(http://www.chuncheon.go.kr/).
  11. 춘천시. 2005. 도시계획 조례(http://www.chuncheon.go.kr/jachi/).
  12. 춘천시. 2006. 춘천시 도시기본계획. 134쪽.
  13. 한국환경기술개발원. 1996. 생태도시 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사업. 6쪽.
  14. 황국웅. 2003. 지리정보체계(GIS)와 계층분석과정(AHP)을 이용한 토지자원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4):17-23.
  15. 황국웅, 이규완. 2000. GIS와 다요소의사결정방법(MCE)에 의한 김해 대청공원 집단시설지구 적지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3(3): 45-53.
  16. Belknap, R. K. and Furtado. 1967. Three Approaches to Environmental Resource Analyses. Landscape Architecture Research Office, Harvard Univ., Washington D.C. The Conservation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