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빈 모형 구현을 위한 지상용 레이저 스캐너와 RTK-GPS의 자료 획득

Data Acquisition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er and RTK-GPS for Implementation of Beach Model

  • 이형석 (한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인호 (강원대학교 건설방재공학과)
  • Lee, Hyung-Seok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Hanzhong University) ;
  • Kim, In-Ho (Dept. of Constructional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8.12.22
  • 심사 : 2009.03.24
  • 발행 : 2009.03.31

초록

해안 침식에 따른 해안선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해빈의 표면 자료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지상용 레이저 스캐너와 RTK-GPS를 활용하여 해빈 지형을 구현하여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상 레이저 스캐닝을 실시하여 20cm 측점 간격으로 취득된 3차원 자료와 수치 사진으로부터 화상이 피복된 수치표면모형을 생성하였다. 또한 7개월 후에 동일 지역을 1초 수신 간격의 RTK-GPS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하여 1.9cm의 측량 정확도로 해빈 모형을 구현하였다. 계절적으로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해빈 지역에 즉각 대응적이면서 양호한 결과를 요하는 측정일 경우는 지상용 레이저 스캐너의 활용이 가능하며, RTK-GPS는 해빈 모형의 측점수와 관계가 있어 측점을 직접 관측해야 하는 애로사항이 있지만 지상용 레이저 스캐너에서 발생하는 사각지대를 보정하면서 3차원 모형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동해안 해빈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RTK-GPS와 지상용 레이저스캐너의 조합 활용하여 해빈 모형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 보다 정밀한 방법일 것이다.

Various methods have been employed for acquiring beach surface data, which are used to monitor shoreline changes due to beach erosion.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nd implementing a surface model of beach using data acquired with a terrestrial laser scanner and RTK-GPS. Digital images and three-dimensional data of beach areas acquired at 20 cm intervals using a laser scanner were used to create a digital surface model covered with digital image. Seven months later, the beach area was surveyed using an RTK-GPS, and another beach model was constructed using the data collected with an accuracy of 1.9 cm. The use of a terrestrial laser scanner is expected to ensure acquisition of good quality results and help deal with seasonal changes in beach areas. Because readings obtained with the RTK-GPS are dependent on the number of sampling points in beach model, difficulties are encountered when fixing the survey points. However, RTK-GPS could be used to implement a three-dimensional model by correcting the hidden parts in images obtained using a terrestrial laser scanner. Therefore, an RTK-GPS and a terrestrial laser scanner can be used in combination to obtain more precise data for the construction of beach model dat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가야, 서동주, 문두열. 2006. 보간기법에 따른 해저지형의 정확도 분석. 한국해양공학회지 20(3):67-76.
  2. 김백운, 김부근, 이상룡. 2007.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 섬의 해안선 변화율.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4):361-374.
  3. 김성득, 강경호, 박해성. 2008. 회야강 하구방사재 건설에 따른 진하해수욕장 해안선 변화분석 및 예측. 한국해양공학회지 22(2):28-33.
  4. 김인호, 이정렬. 2004. 동해 안목항 주변 연안 토사이동.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6(2):108-119.
  5. 김종규, 조기운, 김정현. 2007. MGIS를 이용한 광양만의 지형변화 분석. 한국해양공학회지 21(6):59-63.
  6. 김진수. 2007. 지상 레이저 스캐닝 기법에 의한 도로선형정보 추출 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97-110.
  7. 김태림. 2003. 원격 무인 자동 영상 관측 시스템을 활용한 해안선 변화 관측 및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19(2):99-106. https://doi.org/10.7780/kjrs.2003.19.2.99
  8. 김태림. 2006. 카메라 관측 시스템을 이용한 조간대 3차원 지형 관측.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8(1):63-68.
  9. 김태림, 이광수, 서경덕. 1998. 비디오 모니터링을 이용한 연안환경 관측기술에 대한 고찰.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0(1):45-53.
  10. 노태호, 김진수, 이영도. 2008. 지상 레이저 스캐닝 자료를 이용한 터널단면관리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1):90-104.
  11. 류주형, 조원진, 원중선, 이인태, 전승수, 서애숙, 김금란. 2000. 원격탐사 자료로부터 해안선 추출에 의한 조간대 DEM 생성. 대한원격탐사학회지 16(3):221-233.
  12. 박일흠, 이영권. 2007. 후포해빈에서 해안선의 장기변화 및 전연안표사량의 추정. 한국해양공학회지 21(4):15-20.
  13. 신문섭, 배기성, 강신중, 김재형. 2006. 금강하구둑 축조 전 후의 지형 및 흐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20(3):61-66.
  14. 양인태, 윤영훈, 최창혁. 1989. 측지학적 특성에 의한 해안선 변화 예측을 위한 개략적 수치모델. 산업기술연구 9:3-19
  15. 양인태, 한성만, 최승필. 2002. 해도를 이용한 해안 지형의 변화량 산정. 한국측량학회지 20(2):103-110.
  16. 양지연, 최철웅. 2006. 해운대 해수욕장의 해안지형 및 토지피복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1):101-115.
  17. 이재원, 김용석. 2007. RTK-GPS와 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 변화량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25(3):191-198.
  18. 이창경, 김백운, 김남용. 2007.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해안선 변화 조사. 지형공간정보 15(2):15-23.
  19. 이형석, 김인호. 2007. DGPS를 이용한 해안선 변화 조사 및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2):1-10.
  20. 유창일, 윤한삼, 류청로, 이인철. 2006. 해도분석을 통한 낙동강 하구 사주 면적의 시 공간 변화. 한국해양공학회지 20(6):54-60.
  21. 위광재, 정재욱. 2006.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해안선 추출 알고리즘 개발. 한국측량학회지 24(2):209-215.
  22. 정승진, 김규한, 편종근. 2004. 항공사진을 이용한 장기해안선변화 조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6(1):10-17.
  23. 조주환, 임동일, 김백운. 2001. 항공사진을 이용한 서남해 함평만의 해안선 변화 관측. 한국지구과학회지 22(4):317-326.
  24. 최철용, 김영섭, 남광우. 2002. 도시해안선 변화 비교분석. 국토계획 37(6):173-185.
  25. 최철웅, 김연수, 서용철. 2005. 정사항공사진과 해양조사측량을 이용한 해안선변화 탐지에 관한 연구: 포락지 중심으로,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7(2):61-69.
  26. 최철웅, 김영섭. 2001. 수치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운대 해수욕장 해안선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4(2):39-50.
  27. 최철웅, 김형석. 2001. 수치항공사진기법을 이용한 광안리해수욕장 해안선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자원학회지 4:73-85.
  28. 최철웅, 곽재하, 박상길, 강인준. 1995. 경년변화 추출기법을 이용한 해안지형변화 예측. 한국측지학회지 13(2):169-176.
  29. 편종근, 김규한, 정승진, 김덕중. 2000. 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변형 해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0(7):763-766
  30. 함계운, 김진홍, 장대정. 2002. 학동 해빈의 침식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4(1):65-75.
  31. 홍현정, 최철웅, 전성우. 2006. GPS GIS 기법을 활용한 태풍 후 해운대 해빈지형의 3차원 변화 탐지 및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3):82-92.
  32. 황규남. 1997. Oregon 하구에 위치한 방사제 주위에서의 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 변화 해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9(3):155-164.
  33. Gibson, G.R. 2006. Analysis of Shoreline Change At Little Lagoon, Alabama Master's Thesis. Virginia Polytechnic Inst. and State University, Blacksburg. Dept. of Geography. 64pp.
  34. Stockdon, H.F., Sallenger, A.H., List, J.H. and Holman, R.A. 2002. Estimation of Shoreline Position and Change using Airborne Topographic Lidar Dat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8(3):502-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