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Spatio-temporal Pattern of Urban Crim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GIS와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시·공간적 도시범죄 패턴 및 범죄발생 영향요인 분석

  • Jeong, Kyeong-Seok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Moon, Tae-Heon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nd Stage BK21, ERDI) ;
  • Jeong, Jae-Hee (Gyeongnam Development Institute) ;
  • Heo, Sun-Young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nd Stage BK21)
  • 정경석 (경상대학교 공학연구원) ;
  • 문태헌 (경상대학교 도시공학전공, 2단계 BK21, ERDI) ;
  • 정재희 (경남발전연구원) ;
  • 허선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2단계 BK21)
  • Received : 2008.11.26
  • Accepted : 2009.02.09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iod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crime an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rime occurrence. For these, crime data of Masan City was examined and crime occurrence pattern is ploted on a map using crime density and criminal hotspot analysis. The spatial relationship of crime occurrence and factors affecting crime were also investigated using ESDA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and SAR (Spatial Auto-Regression) mode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rimes had strong tendency of happening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with spatial contiguity. Spatial contiguity of crimes was made clear through the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on 5 major crimes. Especially, robbery revealed the highest spatial autocorrelation. However as a autocorrelation model, Spatial Error Model(SEM) had statistically the highest goodness of fit. Moreover, the model proved that old age population ratio, property tax, wholesale-retail shop number, and retail & wholesale numb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affect crime occurrence of 5 most major crimes and theft crime. However population density affected negatively on assault crime. Last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deas to make our cities safer with U-City strategies and services.

본 연구는 마산시의 범죄발생 데이터를 이용하여 범죄발생의 특성을 파악하고, 범죄발생의 영향인자를 찾아내어 안전한 도시환경 조성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범죄 밀도분석 및 핫스팟(hotspot)분석 등을 통해 지역 범죄 발생패턴을 지도화하고, 공간회귀모델링 등의 공간통계분석을 통해 범죄율과 범죄영향요인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 범죄는 생활주기 및 범죄유형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발생할 뿐 아니라, 공간적으로도 인접하여 발생하는 군집적 특성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모든 범죄유형의 발생에서 공간적 자기상관이 존재하였으며, 강도범죄율이 가장 높은 공간적 자기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대 총범죄율과 절도범죄율의 경우는 노령자인구비, 재산세, 도소매업수, 숙박음식업종수가 범죄율에 유의하고, 폭력범죄의 경우는 인구밀도가 유의미하며 범죄율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범죄로부터 안전한 U-City 구현을 위한 관련 정책수립 등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진, 이경훈. 2007. 도시주거지역에서의 근린관계 활성화를 통한 방범환경조성에 대한 연구-수도권 P시 단독주택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97-106쪽.
  2. 권오은. 2002. GIS를 이용한 범죄 지역 분석-파출소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4쪽.
  3. 김동근, 윤영진, 안건혁. 2007. 토지이용에 따른 도시범죄에 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 42(7):155-168.
  4. 남광우, 김호용, 이성호, 이상학, 하수욱, 최현. 2005. 사회경제적 지리정보 활용 및 데이터 요구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3):44-54.
  5. 이만형, 김정섭, 석혜준. 2007. 공간분석 기법에 기초한 주거지역 공간특성과 주거침입범죄와의 관계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41-150쪽.
  6. 이은혜, 강석진, 이경훈. 2008. 지구단위계획에서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기법 적용에 대한 연구-지구단위계획 요소별 CPTED기법 유형화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29-138쪽.
  7. 이희연. 1989. 지리통계학. 법문사. 664쪽.
  8. 장동국. 2004. 도시공간구조와 공간이용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공간이용패턴 예측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 39(2):35-46.
  9. 황선영, 황철수. 2003. GIS를 활용한 도시 범죄의 공간패턴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 38(1):53-66.
  10. Anselin, 2005. Exploring spatial data with GeoDaTM: A workbook. Center for Spatially Integrated Social Science.
  11. Bowers, K. and A. Hirschfield. 1999. Exploring links between crime and disadvantage in north-west england: An analysis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IJGIS vol.13(2), pp.159-184.
  12. Hillier, B. and S. Shu. 2000. Crime and urban layout: the need for evidence. In: Secure foundations: key issues in crime prevention, crime reduction and community safety.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London, UK, pp.224-248.
  13. Jeffery, C.R. 1971.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4. Levine, N. 2005. CrimeStat: A spatial statistics program for the analysis of crime incident location. Ned Levine & Associates, Houston, TX,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Washington DC.
  15. Lockwood, D. 2007. Mapping crime in Savannah.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Vol. 25(2), pp.194-209. https://doi.org/10.1177/0894439307298935
  16. Newman, O. 1972. Defensible Space: Crime Prevention Through Urban Design. New York: Macmil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