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Pharmacokinetics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Route

흡수경로에 따른 약물동태학적 고찰

  • 박민철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 김환영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 조은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과)
  • Received : 2009.11.14
  • Accepted : 2009.11.30
  • Published : 2009.12.25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more effective administraion route of herbal medicine. Methods : Pharmacokinetic issues with the methods in experimental papers, which deal with finding the effectiveness of two or more administration routes of herbal medicine, searched from KERIS, KSI, KISTI and KTKP, have been analyzed by, first, categorizing the papers and comparing the validity of administration routes. Results and Conclusions : 1. Upon comparing in total of 24 papers on the basis of each administration route, per oral(PO)-herbal acupuncture(HA) was most superior in terms of number in that there were 13 cases and PO-per rectal(PR) was next superior in that there were 5 cases. PO-per dermal(PD)-inhalation therapy(IT), PO-IT and PO-PR-HA had 3, 2 and 1 cases respectively. 2. Out of the total 24 papers which compares different administration routes, 16 of them were pharmacokinetically appropriate, whereas, the remaining 8 were pharmacokinetically inappropriate. 3.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PO-HA, PO-PR, PO-IT, PO-PD-IT and PO-PR-HA routes. However, none of them was not particularly effective regardless of the administered medicine or target organ. 4. No route was particularly effective against a particular drug target as a result of comparing damaged liver, asthma, endometriosis and anti-inflammation. 5. In the case of Injinhotang in medicine comparison, HA tended to be more associated with hepatotoxicity over PO. However, Cordyceps Militaris Mycelia, Gagamsohaphyangwon and Hongdeungtang showed no prominent effective administration route.

Keywords

References

  1. 최준식. 약물동태학 응용. 서울. 신일상사. 2000:3-19, 66-82, 179, 208-13, 363-6.
  2. 이혜경, 김영식. TDM과 약동학. 군자출판사. 2006:3-7.
  3. 강주섭, 강주희, 이민호. 임상 약동학의 이해. 신일상사. 2001:1-7, 15-22.
  4. 약제학분과회. 생물약제학과 약물속도론. 신일상사. 2005:1,2, 35-92, 197.
  5. 박정수. 투여경로에 따른 약물 전달체 개발. 전북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8.
  6. 보건복지부 한방정책관실 편집부. 한약제제의 연구개발 및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한의학 연구원. 2002.
  7. 이건목, 문성재, 황우준, 금기영. 肝纖維化(硬化)가 誘導된 白鼠에서 冬蟲夏草 期門藥鍼과 水浸液經口投與 方法의 抗纖維化 效果의 檢索 및 比較. 대한침구학회지. 1998;15(1):265-77.
  8. 崔寬晙. 冬蟲夏草 經口投與와 藥鍼이 白鼠의 氣管支平滑筋 張力과 炎症 및 免疫 反應에 미치는 影響. 동신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3.
  9. 金宰弘. 冬蟲夏草 藥鍼과 口腔投與가 Ovalbumin으로 유발된 Asthma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2.
  10. 김재홍, 윤대환, 나창수, 조명래. 윤여충, 채우석. 腎兪, 太谿의 동충하초 약침과 경구 투여가 좌측 신장 제거 백서에 대한 신장 Aquaporin-2 단백 발현과 신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5;22(1):61-75.
  11. 강기원. 고형균. 이윤호. 鹿茸四斤丸藥鍼 및 經口投與가 흰쥐의 成長과 지능발달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3;20(6):45-62.
  12. 안현석, 강성길, 박영배, 고형균, 금창환. 鹿茸 藥鍼刺戟과 鹿茸經口投與가 흰쥐의 骨多孔症 誘發抑制에 미치는 影響. 경희한의대논문집. 1997;20(1):308-29.
  13. 이건목, 김경식, 장종덕, 김기영. 附子 經口投與 및 足三里 藥鍼이 정상 白鼠의 體重, 血淸 變化에 관한 硏究. 대한침구학회지. 1999;16(1):269-82.
  14. 김형우, 정병한, 김계엽, 김영균, 백진웅, 조수인. 四逆散合平胃散加味方의 경구 투여와 약침이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 모델 백서의 유전자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7;22(2):163-8.
  15. 박종기. 채우석. 五積散엑기스顆粒의 經口投與와 水鍼이 疼痛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1992;9(1):273-91.
  16. 이승우, 한상원, 박창국. 茵蔯蒿湯의 藥鍼과 經口投與가 損傷肝에 미치는 影響의 比較硏究. 대한침구학회지. 1999;16(1):351-63.
  17. 韓相源, 朴渟達. 茵蔯蒿湯의 藥鍼과 經口投與가 損傷肝에 미치는 組織學的 比較觀察. 대한침구학회지. 1997;14(2):267-76.
  18. 朴師賢. 竹瀝(竹酢液) 經口投與와 肝兪 膽兪 藥鍼이 Alcohol 代謝 및 肝機能에 미치는 影響. 대한약침학회지. 2002;5(1):81-90.
  19. 권선호, 김철홍, 윤현민, 장경전, 안창범, 김훈, 송준호. 車前子의 藥鍼 및 經口投與가 白鼠 肝損傷에 미치는 影響.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6;23(2):155-66.
  20. 송미선, 임은미, 김윤상, 윤정문, 이태희. 康寧湯의 經口와 直腸投與의 抗炎症效果 比較硏究.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3):147-161.
  21. 송미선, 임은미. 半夏가 자궁내막증 유발 흰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07;20(2):107-23.
  22. 장성환, 김윤상, 임은미. 紅藤湯의 經口와 直腸投與의 抗炎症 效果 비교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2):56-67.
  23. 조현주, 김윤상, 임은미. 황기가 자궁내막증 유발 흰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2):43-59.
  24. 李賢熙. 黃芩의 경구와 직장투여가 실험적으로 유발된 자궁내막증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7.
  25. 김성수, 박광록, 이동웅, 구병수. 加減蘇合香元 精油香氣의 吸入, 經口投與 및 皮膚塗擦에 따른 鎭痛效果 比較. 동의신경정신과 학회지. 2008;19(2):223-230.
  26. 洪贊圭. 白芷香氣液의 投與方法의 변화에 따른 鎭痛效果에 關한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2.
  27. 具炳壽. 川芎香氣液의 鎭痛效果에 관한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2.
  28. 韓允昇. 加減蘇合香元 향기흡입 및 경구투여가 마우스의 우울증 억제효과에 미치는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6.
  29. 구병수, 김대근, 최정현, 이동웅. 감송향 정유 성분의 흡입 및 경구투여시의 중추신경 억제효과. 생명과학회지. 2006;16(1):156-61.
  30. 서지영, 김윤상, 윤정문, 이태희, 임은미. 紅藤湯이 LPS 膣內 注入 생쥐에 미치는 杭炎症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81-93.
  31. 권광일, 김옥희, 김종국, 김주일, 배균섭, 사홍기, 이용복, 이화정, 최선옥. 생물학적 동등성의 이해. 신일상사. 2006:2, 3, 22-5, 73-93.
  32. 생물학적동등성시험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5-31호 (2005. 6. 7).
  33. 생물의약품의 제조방법 변경에 따른 비교동등성 평가 가이드라인.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2009. 6).
  34. 崔容泰 외. 鍼灸學(下). 집문당. 2005:1457.
  35. 金賢濟 외. 最新鍼灸學. 서울. 成輔社. 1979:405.
  36. 李泰均. 慢性骨盤痛에 관한 文獻的 考察.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7;10(1):111-9.
  37. 孫冠蘭. 中藥保留灌腸臨床應用近況. 中醫雜誌. 1991;31(2):50-2.
  38. 裘沛然. 中國中醫獨特療法大全. 上海: 文匯出版社. 1991:515-8.
  39. 조성희, 진천식. 골반염 치료를 위해 사용된 보류관장요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2):79-93.
  40. Oh, H. J. 1996. Study on the literatures of aroma therapy. Hyehwaeuihak 5, 261-81.
  41. 裵秉哲. 黃帝內經讀解. 서울. 성보사. 2000:70.
  42. 李時珍. 本草綱目. 서울. 의성당. 1993:895, 900, 902.
  43. 최선옥, 권광일, 정성희, 엄소영, 정서정, 김주일, 정수연, 김옥희. 생체이용률에 미치는 음식물의 영향 및 식후 생물학적동등성시험. 한국임상약학회. 2005;15(2):82-8.
  44. 의약품의 체내동태 평가지침연구, 식품의약품안정청고시.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