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sign Load of Artificial Soil Ground

인공지반의 설계하중 산정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rtificial soil ground on a structure. When the artificial soil ground is planted, the technical factors to be considered will be the load for buildings and the growth of plants. There are no current studies of the effect of artificial soil ground on a structure and this study will analyze the load effects of artificial soil ground, which mixes both pearlite and natural soil on structures. The load affecting the structures due to artificial soil ground will be maximized when the artificial soil ground becomes saturated, and which would occur when the rainfall intensity exceeds the infiltration capacity of the artificial soil groun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artificial soil ground has reached saturation or not, a 10 years frequency and 10 minutes rainfall intensity which is used for in urban drain design, is utilized.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artificial soil and mixed soil has been changed depending on the proportion of the mix, It has a range of fluctuation in the degree of hardening, in particular, but does not exceed the 10 minutes rainfall intensity over 10 years frequency in the most cases. Therefore, it would be efficient to apply the saturated unit weight of artificial soil ground as the design load of a structure.

이 연구의 목적은 녹화를 위한 인공지반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인공지반 녹화 시 고려해야 할 기술적 사항은 건물에 미치는 하중과 식물의 생육에 관한 것이다. 인공지반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펄라이트와 자연토양이 혼합된 인공지반이 구조물에 미치는 하중으로 인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인공지반이 구조물에 미치는 하중은 인공지반이 포화되었을 때 최대가 되며, 강우강도가 인공지반의 침투능을 증가할 때 인공지반이 포화된다. 인공지반의 포화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강우 강도는 도시배수시설물 설계에 이용되는 10년 빈도 10분 강우 강도를 이용하였고, 침투능은 정수위투수계수 측정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인공토 및 혼합토는 그 비율에 따라 투수계수가 변하며, 특히 다짐 정도에 따라 변동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경우 재현기간 10년의 10분 강우강도를 초과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인공지반의 포화단위중량을 구조물 설계의 설계하중으로 적용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0) 한국 확률강우량도
  2.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1995) 아파트단지 내 인공지반 조경녹화 방안연구. 대한주택공사
  3. 심경구, 허근영, 강호철(1999) 소성 점토다공체 및 코코넛 피트를 이용한 인공지반용 혼합배지의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27(3): 109-113
  4. 안원용, 김동엽(2001) 옥상녹화 후 인공토양의 이화화적 특성 변화. 한국조경학회지 28(6) : 77-83
  5. 이은엽, 문석기(2000) 옥상녹화공법의 배수층 구조별 식물생육 효과. 환경복원녹화 3(4) : 11-21
  6. 최희선, 이상수, 이용범(2001) 옥상전원에 이용 가능한 혼합 인공토양의 종류 및 토심에 따른 비비추의 생육반응. 한국조경학회지29(3) : 46-54
  7. 한국조경학회(1999) 조경설계기준. 서울: 조경
  8. 현대건설 기술연구소(1997) 인공지반 조경 녹화기술에 관한 연구. 현대건설주식회사
  9. 한국수도협회(2002) 하수도 시설기준
  10. 허근영, 심경구(2000) 인공지반의 녹화를 위해서 단용 또는 노지토양과 혼합하여 이용되는 인공토양의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28(2): 28-38
  11. 허근영, 심경구(2001) 인공지반 녹화용 신소재 인공토양 개발. 한국원예학회지 42(3): 355-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