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카메라 영상분석 데이타를 이용한 충격흡수시설의 충돌거동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Behavior Analysis of Crash Cushion Using Analysis Data of High-Speed Camera

  • 장대영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도로시험팀) ;
  • 고만기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 이윤기 (조선이공대학 자동차학과) ;
  • 주재웅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도로시험팀)
  • 발행 : 2009.06.15

초록

충격흡수시설의 충돌거동은 보통 0.4초 미만의 짧은 순간에 일어나므로 삼차원의 매우 복잡한 거동을 수치적으로 계산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새로운 충격흡수시설을 개발할 때 특별한 설계단계를 거치지 않고 실물차량 충돌시험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충돌시험에서 탑승자 안전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계측기를 통해 가속도와 각속도를 추출하여 계산하고 있으며 고속카메라를 이용해 차량과 충격흡수시설의 충돌거동을 촬영한다. 하지만 고속카메라 영상의 활용범위는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탑승자 안전도 분석이나 충격흡수시설의 에너지소산 메커니즘을 분석하기위해 활용된 사례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계측기로부터 획득한 데이타와 고속카메라 영상분석을 통해 추출된 데이타를 비교해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고 탑승자 안전도 해석이나 충돌거동을 분석 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Collision behavior of clash cushion occurs for a second of less than 0.4sec usually so that it is too hard to calculate numerically. Therefore, for development of trash cushion, it rely on full-scale vehicle crash test without any design procedure. Occupant safety indices if calculated from acquired data by data measurement system and collision behavior of vehicle and crash cushion is filming using high-speed camera in the crash test. But practical ufo scope of high-speed camera is limited and it is not using to calculated the occupant safety indices or analyzed the energy dissipated mechanism of crash cushion. This work is to estimate to be suitable or not for compare the data from measurement system with the data from high-speed camera. And also it is to grope for practical use scheme to calculation of occupant safety indices or analysis of collision behavior.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1),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차 량방호 안전시설 편.
  2. 고만기(2004), 충돌차량 탑승자 안전을 고려한 충격흡 수시설 설계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4권 5A호 pp1031-1041.
  3. 주재웅(2008), 충격흡수시설의 실물차량 충돌시험 데이터 를 이용한 탑승자 안전도 및 충돌거동 분석에 관한 연 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8권 2D호 pp163-170.
  4. European Standard EN 1317-3(2000), "Road Restraint Systems-Part 3", Status of a British Standard, BSI.
  5. E. Ross. Jr., D. L. Sicking, and R. A. Zimmer(1993)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Safety Performance Evaluation of Highway Features,"NCHRP Report 35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