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amjung-hwan($S{\={a}}nj{\={i}}ngw{\'{a}}n$) on Obesity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with High Fat Diet

삼정환(三精丸)이 고지방(高脂肪) 식이(食餌) 흰 쥐의 비만에 미치는 영향

  • Kim, Ji-Hyung (Dep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Geun-Woo (Dep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oo, Byung-Soo (Dep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김지형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김근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구병수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how the effects of Samjung-hwan ($S{\={a}}nj{\={i}}ngw{\'{a}}n$) extract on obesity and lipid metabolism of rats fed high fat diet. Methods : Crushed Samjung-hwan($S{\={a}}nj{\={i}}ngw{\'{a}}n$) 245 g was extracted with methyl alcohol. The extract was evapo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give 21.8 g. 20 rats were divided into normal, control, and two test groups. For 6 weeks, The normal group rats were supplied with a normal diet. The control group rats were supplied with a high fat diet. The test group 1 rats were supplied with a high fat diet and Samjung-hwan($S{\={a}}nj{\={i}}ngw{\'{a}}n$) extract 250 rug/kg and the test group 2 rats were supplied witha high fat diet and Samjunghwan($S{\={a}}nj{\={i}}ngw{\'{a}}n$) extract 500 mg/kg. Results : 1) The control group rat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weight of peritoneal fat than the nornal group rats. The test group 1 rat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 to the control group rats, and the test group 2 rat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weight of peritoneal fat than the control group rats. 2) The control group rat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triglyceride than the nornal group rats. The test group 1 rat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triglyceride than the control group rats, and the test group 2 rat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triglyceride than the control group rats. 3) The control group rat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LDL-cholesterol than the nornal group rats. The test group 1 rat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LDL-cholesterol than the control group rats, and the test group 2 rat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 to the control group rat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ffectiveness of Samjung-hwan($S{\={a}}nj{\={i}}ngw{\'{a}}n$) extract to control the obesity and abnormal lipid metabolism caused by a high fat diet.

Keywords

References

  1.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편. 한방신경정신의학. 초판. 경기도:집문당. 2005 :649-51.
  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내과학. 서울:군자출판사. 1996:852-62.
  3. 김달호 편역, 黃帝內經 靈樞. 서울:의성당. 2002:1061-2.
  4.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편. 한방재활의학. 재판. 서울:군자출판사. 2007:387,390.
  5. 許浚. 對譯東醫寶鑑. 서울:법인문화사. 1999:131-2,1916,1967,1970.
  6. 何紹奇, 宋乃光 編著. 中老年保健養生方. 北京:學苑出版社. 2002:219-20..
  7. 王殼, 靳長金, 朱君波 編著. 益壽效方 120. 北京:中國醫藥科技出版社. 1989:95.
  8. 정해주. 고지방 식이 흰쥐의 비만에 미치는 三精丸의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5.
  9. 김세윤. 三精丸의 대식세포 활성에 의한 면역증강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5.
  10. 김진원. 三精丸의 항산화 효과. 동국대학교대학원. 2005.
  11. 이동준. 三精丸의 Peroxynitrite 제거 및 염증 인자 단백질 억제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5.
  12. 이상택. 三精丸의 항우울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5.
  13. 박용우. 비만치료의 최신지견. 서울:한미의학. 2005:27-31,107.
  14. 김기수, 이기업, 송영기, 홍성관, 박중열, 김철희. 내분비질환의 진단과 치료. 서울:한국의학. 1999:356.
  15. 대한비만학회 편역. 비만의 진단과 치료. 서울:대한비만학회. 2003:37.
  16. Moon OR, Kim NS, Jang SM, Yoon TH, Kim SO.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prevalence of obesity related diseases based on the 1995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in Korea. Obesity Reviews. 2002;3:191-6. https://doi.org/10.1046/j.1467-789X.2002.00073.x
  17. Kim DM, Ahn CW, Nam SY.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 Obesity Reviews. 2005;6:117-21. https://doi.org/10.1111/j.1467-789X.2005.00173.x
  18. Lee JH, Jang MJ, Yoo HS, Lee YK, Ji YN, Kim EK, Kim JH, Lee BO, Lee NJ, Hong SY, Lee RG, Jeong EK, Kim YT, Oh KW. Epidemics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 The Kor J Obesity. 2006;15(S1):47.
  19. 한성호, 최슬기, 문봉경, 박주성, 조병만. 여대생에서 체형의 인식과 유행하는 다이어트 방법에 대한 실태 및 만족정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3;3(3):195.
  20. 김기진, 배영상, 이선장, 이성노, 이원재. 비만과 운동. 대구:계명대학교출판부. 2003:8.
  21. 민헌기. 임상내분비학. 서울:고려의학. 1990:337-54.
  22. 박혜순. 비만과 체중조절. 가정의학회지. 1992;13(4):289-99.
  23. 이영미, 최윤선, 홍명호, 김순덕. 비만의 유형과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와의 관련성. 가정의학회지. 1996;17(9):784-96.
  24. 대한비만학회 편. 임상비만학. 제3판. 서울:고려의학. 2008:281-8,417-20,532.
  25. 양유걸. 내경소문독해. 서울:대성문화사. 1991:310.
  26. 주진형. 단계심법부여(상). 서울:행림출판사. 1982:889.
  27. 진사탁. 석실비록. 서울:행림서원. 1982:76.
  28. 이중재. 의종필독. 臺南:종합출판사. 1976:10.
  29. 변진우. 비만에 대한 문헌적 고찰. 원광대학교 대학원. 1998.
  30. 조기혁, 박지하, 변부형, 이은숙, 최호영, 서부일, 변성희. 赤小豆가 高脂肪食餌로 유발환 비만 흰쥐의 생화학적 및 조직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02;23(4):1-8.
  31. 전찬일, 이진용, 김덕곤. 鹿茸이 흰쥐의 비만억제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5;26(1):148-60.
  32. 윤상구, 김호준, 이명종. 반하가 비만 쥐의 혈중지질 및 골격근 내의 지방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6;27(2):211-24.
  33. 이정호, 김호준, 이명종. 천남성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 흰쥐의 당지질대사 및 조직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07;28(1):211-23.
  34. 박재형, 전병훈, 김경요. 凉膈散火湯이 Gold thioglucose로 誘發된 白鼠의 肥滿症에 미치는 效果. 대한한의학회지. 1996;17(2):145-60.
  35. 최원호, 서부일. 體減薏苡仁湯이 고지방식이로 유발한 비만 흰쥐의 생화학 및 조직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0;21(3):31-9.
  36. 조세왕, 박성식. 太陰調胃湯이 비만유발 흰쥐의 체중감량, 혈청지질 및 UCPI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4;25(2):87-97.
  37. 변성희, 서부일. 비만 치료 및 예방에 대한 한약의 효능 연구 -4종 처방이 비만 흰쥐의 생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0;21(1):3-10.
  38. 李梴. 國譯 醫學入門(IV). 서울:남산당. 1988:680-2.
  39. 全國韓醫科大學本草學敎授. 本草學. 서울:영림사. 1995:237,289,598.
  40. Eun-Ah Bae, Yang-Jin Hyun, Min-Kyung Choo, Jin-Kyung Oh, Jong-Hoon Ryu, Dong-Hyun Kim. Protective Effect of Fermented Red Ginseng on a Transient Focal Ischemic Rats. Arch Pharm Res. 2004;27(11):1136-40. https://doi.org/10.1007/BF02975119
  41. 김동현, 한상범, 유기웅, 김유숙, 한명주. 복수암 생쥐에 대한 발효녹용의 항암작용. 약학회지. 1994;38(6):795-9.
  42. 마진열, 이정운, 김동현, 이영철, 나혜숙, 지옥표. 난소적출 흰쥐를 이용한 칡 醱酵物이 골다공증 예방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약학회지. 2005;49(6):495-504.
  43. Karlsson C, Lindell K, Svensson E, Bergh C, Lind P, Billig H, Caelsson LM, Caelsson B. Expression of functional leptin receptors in the human ovary. J Clin Endocrinol Metab Int. 1997;82(12):4144. https://doi.org/10.1210/jc.82.12.4144
  44. 김정천, 김정광 편저. 임상검사법제요 3판. 서울:고문사. 1993:437-45, 449-52.
  45. 김혜경. 비만과 지방대사. 대한비만학회지. 2000;9(1):63-5.
  46. Gerhard Meisenberg, William H. Simmons. 의학생화학. 서울:정문각. 2005:407-67.
  47. Tulenko TN, Summer AE. The physiology of lipoproteins. J Nucl Cardiol. 2002;9(6):638-49.
  48. 허영란, 임현숙. 지방 섭취 증가가 일부 젊은 여성의 혈장 지단백 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1995;28(8):697-705.
  49. Ridker PM.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potential adjunct for global risk assessment in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Circulation. 2001;103(13):1813-8. https://doi.org/10.1161/01.CIR.103.13.1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