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설치미술의 배경과 전시디자인에 관한연구 - 국제교류 환경포스터 디자인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f Exhibition Planning based on the Installation Art - Focused on an Environmental Poster Exhibition -

  • 신승훈 (서울예술대학 시각디자인과)
  • 투고 : 2009.10.13
  • 심사 : 2009.11.18
  • 발행 : 2009.12.28

초록

경제적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예술과 디자인에 대한 사회적 욕구상승은 예술의 경제적 가치를 인식한 산업계의 경영전략과 합류하여 새로운 물길을 만들고 있다. 그 결과 사회적 수요와 공급자의 인식의 변화에 힘입은 각종 예술 및 디자인전시는 그 양적 증가와 더불어 전시방법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보였다. 특히 최근의 전시경향은 전통적 의미의 전시관에서 뿐 만 아니라 현대 건축물이 제공하는 다양한 공간에서도 빈번하게 기획된다. 이렇게 최근의 전시는 전시 목적이외의 환경에서 열리는 까닭에 각 전시공간의 독특한 환경에 적합한 맞춤형 전시기획이 요구된다. 현대의 다양한 건축물의 내 외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최근의 전시 중에서 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전시기획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이론적 근거로써 현대 상업적, 비상업적 전시의 원류가 된다고 판단되는 20세기 설치미술에 관한 역사적 배경과 이론적 근거를 고찰한 후 최근의 전시기획과 어떤 맥락에서 접점을 찾을 수 있는지를 밝혀 보았다. 본론에 예시된 사례는 2009.06.10부터 06.19까지 서울예술대학의 종합 강의동인 마동 1층 로비에서 개최 되었던 포스터디자인 전시회이다. 서울예술대학과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 노스리지대학교(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와 공동개최한 국제교류 환경포스터 디자인전은 불특정공간에서의 전시기획의 한예로 적정하다고 판단되었다. 이 전시회의 전시기획과 그 전개방법은 다양한 전시환경에서의 전시가 당면하는 문제점과 그에 대한 대안을 도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전시기획자에게는 주어진 공간에서의 전시의 기획에 있어 유연한 태도와 창의적 사고를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주지시키고 있다.

Increased appetite for art and design due to improving the economic standard of living and industrial community recognized the value of art in the profitable aspect currently demands various exhibitions in various environments. These social needs and changes in corporate culture to meet the rapidly expanding opportunities for artistic exhibitions, and this modern exhibition outside of the conventional gallery requires more for designers to work with various exhibition spaces, and the opportunities are increasing further. Various types of exhibition space in the exhibition planning an unspecified environment best suited to each exhibit space has been designed to require. This comprehensive study of an environmental poster exhibition held in the Seoul Institute of the Arts, MA-block lobby during 2009.06.10-06.19 was a part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s between Seoul Institute of the Arts and 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 Planning and designing throughout the exhibition in an unspecified space for exhibition requires more creativity and flexible approaches than in the general exhibition gallery.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주동, “전시시나리오의 구조와 공간연출 프로그래밍에 관한 연구”, 홍익대대학원석사논문, pp.8-77, 2000.
  2. 한도룡, “박람회의 전시 디자인”, 대한건축학회지, 제36권, 제6호, p.30, 1990.
  3. 강유진, “오브제의 개념과 환경디자인에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대학원석사논문, p.52, 1998.
  4. 문대하, 김현철, “현대 건축전시회의 기획중심 전시디자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pp.163-165, 2005.
  5. 신문영, “과학관 전시디자인에 있어서 연출기법과 디자인기획과정에 관한 연구”,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pp.46-52, 1998.
  6. 승지현, “현대도시의 이벤트 공간에 관한 연구”, 홍익대대학원석사논문, pp.27-66, 2003.
  7. 신재희, “현대 예술의 표현양식으로서의 인스톨레이션에 관한 연구”, 시각디자인학연구, 제4호, pp.112-114, 1999.
  8. 황미영, 임채진, “전시공간디자인의 시지각적 Sequence구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권, 12호, pp.67-74, 2003.
  9. 김주연, 정유리, “뮤지엄 전시의 과학적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미술디자인논문집, 제7호, p.119, 2001.
  10. 박성순, “미술관 전시의 유형과 공간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예술대학원석사논문, pp.45-53, 2003.
  11. 장순석, 김필연, “박물관 그래픽패널 디자인에 관한 연구”, 시각디자인학연구, 제12호, p.21,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