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xpressive Methods and Application of Aesthetics Factors for Design of Hosing Space with the Differentiation

주거공간의 차별화된 디자인을 위한 심미적요소의 표현방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서지은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 정지석 (대구한의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Published : 2009.04.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the housing space for unit that factors in the sentiment of the residents by using aesthetic elements and expression method to search for the ways to design housing space for differentiated un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esthetic elements in the aesthetic element in the unit housing space for unit can be classified into basic elements and detailed elements. Second, it is possible to classify into distortion, mixing, superposition and juxtaposition methods. Third, use of the 'material' for 'wall' is recommended when designing differentiated housing space by using basic elements. At this time, expression using the method of 'mixing' is effective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In particular, elements that can perceive the difference in time are mixed, to add on slight differentiation. Fourth, 'illumination' and 'material' are used when designing differentiated housing space by using detailed elements. Fifth, preference degree of the expression method is manifes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lected elements. Lastly,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preference level of the aesthetic elements and expression method targeting the experts alone to differentiate the design of the residential space for unit.

Keywords

References

  1. 박영순.오혜경(2003), 인테리어 디자인, 다섯수레
  2. 오인욱(2002), 실내디자인학, 기문당
  3. 한영호.이진영(2003), 주거공간디자인의 이론과 실제, 기문당
  4. 김영애(2004), 실내공간에서 초현실주의적 표현경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5. 김미경(2007), 최근 분양된 수도권 공동주택 단위세대의 공간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6(6)
  6. 김수정.이상호(2006),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 논의를 위한 개념적 고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5(5)
  7. 김태현(20070, 디자인차별화 매뉴얼 소개, '건설기술_쌍용'
  8. 배정익 외(2003), 브랜드아파트의 차별화 계획요소에 대한 거주자의 선호도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
  9. 신중진·임지영(2000), 아파트 분양가 자율화 이후의 차별화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12)
  10. 심은주·권영걸(2006), 안드레 퍼트먼의 디자인에 나타난 실내공간 요소의 오브제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5(1)
  11. 이연숙 외(2004), 아파트 차별화 계획요소에 대한 거주자의식조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3(6)
  12. 이정열(2007), 데페이즈망을 활용한 현대 실내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6(2)
  13. 이찬·배연준(2005), 공간과 오브제 요소의 인터랙션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4(6)
  14. 조성희·박지혜(2006), 아파트 단지공간구성에서 차별화계획요소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12)
  15. 황현절·이동언(2001), '낯설게 하기'를 通해 建築에 나타나는 技法에 關한 硏究,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