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야외지질학습에 관한 과학영재학생들의 인식과 태도 분석: 2007년도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겨울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Fieldtrip-related Perception and Attitudes of Science-talented Students: A Case of Winter School in Korea Earth Science Olympiad, 2007

  • 류춘렬 (충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Ryu, Chun-Ryol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9.02.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지질학습 환경에서 과학 영재학생들이 학습의 성취를 가능하게 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해 2007년도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겨울학교에 참가한 19명의 참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야외지질학습에 관한 인식과 태도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야외지질학습에 관한 인식과 태도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인식의 유형은 탐구적 관점에서 경험적 탐구로 이해하고 있으며, 과학철학의 관점에서 인간 중심적 견해와 실증주의적 관점, 그리고 도구주의적 관점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태도의 유형으로 학생들의 겨울학교 참여 목적은 주로 지구과학에 관한 지식 습득에 있었으며, 과학자를 희망 진로로 선택하는 경향은 부모들 보다 학생들에게서 더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야외지질학습에 관한 학업적 자아개념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나며,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모두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to analyze the factors that enhance their learning achievement in a fieldtrip environment. For this academic goal, we analyzed a pattern of fieldtrip-related perception and attitudes of 19 science-talent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07 KESO winter school. As for the perception type,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 science-talented students understood a fieldtrip as an experimental inquiry from an inquiry perspective, and that their understanding about a fieldtrip was based on anthropocentrism, positivism and instrumentalism from a science philosophy perspective. Regarding theattitudes type,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purpose of the winter school was mainly to learn knowledge in earth science, a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tendency for the participating students to become a future scientist more eagerly than their parents expected. Students' fieldtrip-related academic self-concept was mostly positive while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홍진, 김찬종, 2007, 야외지질학숩에 대한 초임 지구과학교사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8, 14-23 https://doi.org/10.5467/JKESS.2007.28.1.014
  2. 권희숙, 2003, 중학생의 정서 지능과 과학과 관련된 태도 및 학업 성최도 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0 p
  3. 김민강, 2003, 수학영재의 신념, 태도 및 정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3 p
  4.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체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 357-369
  5. 노형환, 1998, 공업계 고등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0 p
  6. 박선희, 2003, 지구과학 야외학습에 대한 지구과학 교사와 고등학생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6 p
  7. 박종규, 1987, 야외 학습 지도의 이론과 실제. 과학교육, 271, 41-48
  8. 안순호, 1994, 야외지질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를 적용한 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9 p
  9. 양일호, 조현준, 한인경, 2006, 초등과학교육에서 실험활동의 목적에 대한교사와 살생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 235-252
  10. 유은정, 이선경, 김찬종, 2007, 야외지질답사 보고서에 나타난 과학영재학생들의 지구계 이해와 지구계 의미 생성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28, 671-683 https://doi.org/10.5467/JKESS.2007.28.6.673
  11. 윤성호, 장정일, 고정선, 2005, 고등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야회학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6, 611-623
  12. 이광해, 1991, 자아개념증진 훈련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p
  13. 이문원, 1985,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서울 , 626 p
  14. 이정희, 2005, 과학영재의 정의적 특성 및 영재성 인식에 관한 연구: 과학이지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1 p
  15. 장명덕, 홍상욱, 정진우, 2002, 중학교 2학년 과학영재들의 과학지식에 대한 과학철학적 관점과 이이 대한 토론 및 읽기 활동의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 397-405
  16. 장석민, 1974, 학업성취와 자아개념간의 관계연구. 한국교육학회, 12. 63-75
  17. 조규성, 변흥룡, 김정빈, 2002,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 649-658
  18. 한국지구과학회, 2007a, 2006년도 한국지구과학 올림피아드 겨울학교 운영 결과보고서. 한국지구과학회, 56 p
  19. 한국지구과학회, 2007b, 제1회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 최종보고서. 한국지구과학회, 284 p
  20. 한지숙, 1996,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 p
  21. Gennann, PJ., Aram, RA, and Burke, G, 1996a. IdentifYing pattern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responses of seventh-grade students to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designing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79-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1)33:1<79::AID-TEA5>3.0.CO;2-M
  22. Gennann, PJ., Odom, A.L., Aram, R., and Burke, G, 1996b, Students perfonnance on asking questions, identifYing variables and fonnulating hypothes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6, 192-201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6.tb10224.x
  23. Solomon, J., 1999, Envisiorunent in practical work: Helping pupils to imagine concepts while carrying out experiments. In Leach, J. and Paulsen, A. (eds.), Practical work in science education: Recent research studies. Roskilde University Press, Derunark, 60-74
  24. Marsh, H.W. and Parker, J.W., 1984, Detenninants of student self-concept: Is it better to be a relatively large fish in a small pond even if you dont't learn to swim as wel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213-231 https://doi.org/10.1037/0022-3514.47.1.213
  25. Wilson, J.T., 1974,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A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Education, 58, 127- 133 https://doi.org/10.1002/sce.3730580118

피인용 문헌

  1. Application of Oceanic Camp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Inquisitiveness and Affection to Ocean: from 2004 to 2012 vol.18, pp.3, 2013, https://doi.org/10.7850/jkso.2013.18.3.142
  2. An Analysis of the Change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Structure about Sedimentary Rocks before and after the Field Trip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vol.34, pp.2, 2013, https://doi.org/10.5467/JKESS.2013.34.2.173
  3. A Study on Educational Methods of Nature-Study for Science Education through Nature vol.59, pp.1, 2015, https://doi.org/10.5012/jkcs.2015.59.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