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use and Solution of an Artifact Generation by Parameter in Computed Radiography System

Computed Radiography 영상에서 Parameter에 의한 Artifact 원인과 해결방안

  • Published : 2009.05.28

Abstract

There is a great deal of merit in CR system but artifact not produced in old system of film or screen newly is created. we studied 3 cases of artifact with CR system in one hospital, Gwangju. In the first case of the delay time and density, As the time was delayed, the density of the artifact was increased up to 67 percent in the natural radiation. The Second, Fading of the artifact decreased 33 percent in the rate of the emission after 10 hours, and the more the time was delayed, the less the quality of image was deteriorated. Third, Artifact was produced by the collimation when the radiologic technologist was performed, and by the Guiding plate and Suction cup when the radiation equipment was done. Therefore, when health care provider have to understand the artifact exactly and check regularly, the quality of the pictur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medical examination is increased.

CR방식의 도입으로 인해 많은 장점을 가지게 되었으나 기존의 Film/Screen방식에서 발생되지 않았던 Artifact가 새롭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광주에 위치한 일개 종합병원에서 획득한 CR 영상 중 Artifact가 발생한 경우를 3가지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시간 지연과 농도변화에 의한 Artifact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자연방사선에 의한 영향으로 1일보다 5일후에 67%의 농도가 증가 되었으며 잠상퇴행에 의한 Artifact는 즉시보다 10시간 후의 빛의 방출도가 33%감소하여 시판이 경과할수록 영상의 질이 저하되었다. 술자에 의한 Artifact는 Collimation에 의한 Artifact가 53%, 기기에 의한 Artifact는 Guiding plate, Suction cup으로 인한 Artifact가 65%로 가장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rtifact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한다면 영상의 질 및 진료의 만족도를 높여 갈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허 준, 21세기를 향한 방사선기술, 신광출판사, 1991.
  2. 이춘희, 이충희, 황선일, 2002 전자기술 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2.
  3. 정환, 이환, 김문찬, 디지털 의료 영상학, 정문각, 2003.
  4. 은성종, 장영일, 최성관, 홍성일, 최남길, PACS 기초이론, 청구문화사, 2005.
  5. 곽지연, 이경범, 이종만, 박태순, 오필제, 이민기, 서지숙, 황한열, "Imaging Plate를 이용한 극저준위 방사능 측정에 관한 연구", 방사선방어학회지, 제29권, 제4호, pp.231-236, 2004.
  6. 이재식, 이석균, 유세종, "디지털 영상에서 발생하 고 있는 Grid line artifact에 대한 고찰", 대한디지털의료영상기술학회지, 제6권, 제1호, pp.65-68, 2004.
  7. 백승민, 이광원, 이중희, 이강우, 이우식, 조영기, 김대현, "CR System Erasure가 Image Plate 초기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대한디지털의료영상기술학회지, 제8권, 제1호, pp.33-38, 2006.
  8. T. Freund, "An assessment of contrast and detail visualization Acta Radiologica", J. of Eur. Radial., Vol.13, No.4, pp.616-621, 2003.
  9. P. Siegfrid, "Resolution requiremensts for monitor viewing of digital flat-panel detector radio-graphys: a contrast detail anslysis", J. of Eur. Radial., Vol.13, No.2, pp.413-417, 2003.
  10. M. A. Thijeen, H. O. Thijssen, J. L. Merx, and M. P. Wensel, "Qulity analysis of DSA equiment," J. of Neuoradiology, Vol.30, pp.561-568, 1998.
  11. T. Yukio, L. Takeshi, and T. Masao, "Computed radiography," Springer-Verlag, 1987.
  12. L. JAIME, A. TAAFFE, A. BAUMAN,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PACS), Thieme, 1992.
  13. 백승민, 이강우, 조영기, 김금남, 이광원, 최창한, "Image plate의 time flow에 따른 noise 발생이 실제 촬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대한방사선협회지, 제31권, 제1호, p.84, 2005.
  14. P. Katheine, "Computed radiography technical overview," RSNA, Vol.82, 1996.
  15. A. Willis, "Quality Improvement in Computed Radiography," RSNA, Vol.84, 1996.
  16. E. Ogawa, S. Arakawa, M. Ishida, and H. kato, "Quantiative analysis of perfomance for computed radiography system," SPIE, 1995.
  17. 김선칠, 정재은, "F/S시스템과 DR시스템의 화질과 피폭선량 비교에 과한 검토",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제26권, 제3호, pp.7-11, 2003.
  18. M. Hidenori, S. Kazuyoshi, O. Yasumitsu, Y. Kazuo, and K. Koich, "A Two-dimensional Image Sensor with a-Si : H pin Diodes," Applied Surface Science, Vol.48, No.49, pp.521-525, 1991. https://doi.org/10.1016/0169-4332(91)90384-V
  19. H. Bell, "A Direct Digital Image Capture System: The Future of Digital X-ray," Medical Imaging Technology, Vol.17, No.2, pp.105-109,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