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pulation and Aging of Rural Areas in Korea - A Case Study of Goryeong-gun, Gyeongsangbuk-do

고령군의 인구감소와 고령화

  • Kim, Boo-Sung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University)
  • 김부성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Demographic change is the best indicator to be able to show the rural change exactly and thus becomes the factor to be considered by all means in the setting-up process of the rural development policy. First of all,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two main themes, depopulation and aging process of Goryeong-gun(county), after a brief consideration of the demographic trends in rural areas of Korea. And then it will analyze the population structures of 8 administrative districts of Goryeong-gun(1 Eub, 7 Myeons) to reveal the areal differentiation of rural demographic change. Like other rural areas in Korea, Goryeong-gun experienced a sharp depopulation and aging during last several decades, and it represents typical rural backward areas in Korea. But within the same county, the process of population change differs from district to district. On the basis of several demographic indicators, 8 administrative districts(Eub and Myeons) in Goryeong-gun can be classified into 4 types of population change, namely 'type with stagnant population' like Goryeong-eub, 'type with increasing population' like Dasan-myeon, 'type with decreasing population' like Seongsan-myeon Gaejin-myeon Sangrim-myeon, 'type with rapidly decreasing population' like Deokgok-myeon Unsu-myeon Ugok-myeon. It highlights the need to develop differentiated rural policies according to relevant regional conditions.

인구변화는 농촌사회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지표이며 농촌 개발정책의 수립과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고령군의 전체적인 인구감소와 고령화과정을 우리나라 농촌지역과 비교 검토한 다음 고령군 각 읍 면 별로 세분해서 인구변화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다른 농촌지역과 마찬가지로, 고령군도 지난 40년 동안 인구감소와 고령화를 경험하였고, 전체적으로 고령군은 인구구조상 우리나라 일반농촌 내지 낙후지역의 평균적인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같은 군내에서도 읍 면 별로 인구변화는 다양하게 진행된다. 인구지표에 따라 고령군의 8개 읍과 면을 분류한 결과 고령읍과 같은 '인구정체 형' 다산면과 같은 '인구증가 형', 성산면 개진면 쌍림면과 같은 '인구완감 형', 덕곡면 운수면 우곡면과 같은 '인구급감 형'의 4개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동일한 군내에서도 읍 면에 따라 정주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라 차별화된 농촌개발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