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ake-up as a Component of Ethnic Image Fashion - Focusing on Japan and Africa -

에스닉 이미지 패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연구 - 일본과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

  • Seo, Jung-Yun (Dept. of Clothing & Textile, Human Ec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Hyo-Jin (Dept. of Clothing & Textil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서정윤 (전북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과) ;
  • 이요진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
  • Published : 2009.05.28

Abstract

This Study is purposed to comparative analysis in the case of balanced with Ethnic image fashion and the event of an unbalanced between fashion and make-up and to reconfigure on the make-up of the features on the Ethnic image Fashion in the 21st centur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Japanese ethnic image make-up, to emphasize applied forms and formative characterization, they generally use circles and horizontal lines. Also the harmony between Japanese image make-up and primary colors like white and red strengthen ethnic images better. In the event of an unbalance between fashion and image make-up, fashion occurs dynamically in Africa and linearly in China. Sexy & natural image make-up also widely appear in the modern view. Second, in the case of African ethnic make-up balanced with African image fashion, the form is repeatedly dotted, widely water-colored, and mattedly textured using ash make-up colors such as white, red, gold, gray and so forth. African image make-up strongly expresses primitive natural beauty adding primal tribal painting art and mask forms. In case of an unbalance between fashion and image make-up, no distinctive ethnic image make-up appears. To emphasize natural patterns as well as splendid & decorative fashion, they try not to use primary colors, but instead focus on natural make-up and monotone colored point make-up, sexy make-up, avant-garde make-up, goth make-up, romantic make-up, glossy make-up.

Keywords

References

  1. 박성희 (2006). 아프리카 에스닉 이미지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1
  2. 황춘섭 (1999). 민속의상. 서울: 수학사, p. 82
  3. 이순홍, 이경손, 조선희 (2002). 세계복식과 패션정보. 서울: 교문사, pp. 120-121
  4. 이상례 (1994).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동방 풍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
  5. 간문자, 박병희 (1996). 저항패션이 모 패션으로 전이된 형상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28, p. 40
  6. 권수애, 이은경, 최종명 (2005). 현대사회와 패션. 교학사, p. 12
  7. 서남준 (2003). 월드뮤직 멀리서 들려오는 메아리. 대원서, p. 12
  8. 김은경, 채금석 (2006). 현대 스포츠 패션에 나타난 에스닉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7)호, p. 38
  9. 장현숙 (2004). 패션쇼에 나타난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7
  10. 자료검색일: 2008.7.12. 출처: http://www.naver.com
  11. 자료검색일: 2008.7.12. 출처 http://www.naver.com
  12. 문헌상으로 인도 최고의 종교철학 문헌인 <라그베다>에 나타나며 폭풍의 신 루드라의 호칭이라고 한다. 자료검색일: 2008.9.18, 자료출처: http://www.encyber.com
  13. 자료검색일: 2008.9.21, 출처: http://www.naver.com
  14. 김희숙 (2000). 앞의 책, p. 45
  15. 유종현 (2000). 아프리카 부족과 문화: 문명의 저편, 검은 대륙 사람들. 금광, p. 56
  16. 출처: 아프리카 부족과 문화. 금광, p. 38
  17. 조민정 (2006). 앞의 책, p. 38
  18. 유세희 (2006). 현대복식에 나타난 북 유럽풍 에스닉 룩에 대한 고찰.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1
  19. 김교희 (2003). 앞의 책, p. 17
  20. 김은경 (2004). 21세기 초 복식쇼를 통해 본 오리엔탈리즘의 표현법.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3
  21. 출처: <동아TV Collection>. 동아TV
  22. 출처: <동아 TV Collection>. 동아TV
  23. 출처: <동아TV Collection>. 동아TV
  24. 출처: . 정은 도서
  25. 김민자 (2002). 현대복식에 표현된 한국과 인도 에스닉 건물 문양 이미지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8
  26. 박성희 (2006). 앞의 책, p.41
  27. 출처: <동아TV Collection>. 동아TV
  28. 출처: . 정은도서
  29. 출처: <동아TV Collection>. 동아TV
  30. 출처: . 정은도서
  31. 이경은 (2007). 메이크업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특성에 관한 연구. 성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4
  32. 김희숙, 이연희, 이화진 (2002). 뷰티 & 스페셜 메이크업. 신정, p. 57
  33. 오정희 (2005). 복식쇼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메이크업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0
  34. 박성희 (2006). 앞의 책, pp. 27-28
  35. 김희숙 (2006). 앞의 책, pp. 41-42
  36. 김지희, 정윤희, 황윤정 (2006). 20세기 화장문화사. 경춘사, p.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