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지출과 마케팅성과의 측정을 위한 분류체계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Measuring Marketing Expenditure and Marketing Performance

  • Jeon, In-Soo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Hongik University) ;
  • Jeong, Ae-Ju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Hongik University)
  • 투고 : 2008.07.29
  • 심사 : 2009.02.15
  • 발행 : 2009.04.30

초록

최근 들어 마케팅지출의 수익책임성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재무제표에서 마케팅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쟁점을 연구하는 기초 작업으로서 마케팅지출과 마케팅성과를 분류하는 체계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마케팅지출과 마케팅성과의 관계를 다섯 가지 가설로 검증하였으며 검증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분류체계를 제안한다. 첫째는 투자성업무비가 마케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많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마케팅지출을 투자성업무비로 정의하는 것이 타당함을 제안한다. 재무제표상의 계정과목으로 시장조사비, 경상개발비, 광고선전비, 판촉비, 해외시장개척비 등이 여기에 속한다. 둘째는 마케팅지출은 여러 시기에 걸쳐서 마케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마케팅지출은 투자라고 할 수 있다. 장기간에 걸쳐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일반적으로 투자라고 하기 때문이다. 셋째는 마케팅지출은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중요하지만 업계의 비율과 비교한 초과개념이 중요하다. 끝으로 마케팅성과는 과정모델보다는 균형모델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 이유는 마케팅성과인 고객성과, 시장성과, 재무성과 간의 영향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과정모델과 균형모델을 선택할 것을 제안한다.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accountability, it is getting necessary to test the impact of marketing expenditure on marketing performance. Including recent ROM, we can find a few researches about marketing accountability. But there are a few problems about definitions and metric of marketing expenditure and marketing performance. Therefore, by defining and analyzing the impact of marketing expenditure on marketing performance, we are going to set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marketing expenditure and marketing performance. Based on research findings, new definitions and metrics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we suggest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marketing expenditure. Marketing expenditure is defined as expense accounts in the balance sheet for doing marketing tasks. Marketing expenditures includes many accounts, for example, marketing research, advertising, sales promotion, foreign market development, physical distribution, after services. Among these marketing investment, advertising expenses have a positive effect on marketing performance. Second, we suggest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marketing performance. Already, marketing performance has been defined as financial metrics, customer metrics, market metrics,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ut, in this study, we find that the process model is not relevant for explaining associ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metrics. The process model is a virtuous cycle: "customer metrics→market metrics→financial metrics→firm valuation metrics." But, in this study, it is not supported or a little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se metric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balance model or flower model as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marketing performance.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08년도 홍익대학교 학술연구진흥비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