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iterature analysis with the recent trend of researches concerning the postpartum depression and Sanhupung(産後風)

산후풍과 산후우울증의 관계에 대한 문헌적 고찰

  • Bae, Geung-Mee (Dept. of OB & 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Cho, Hye-Sook (Dept. of OB & 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Lee, Seung-Hwan (Dept. of OB & 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Lee, In-Sun (Dept. of OB & 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배경미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 조혜숙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 이승환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 이인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Published : 2009.05.29

Abstract

Purpose: For mothers just delivered of a child, sanhupung(産後風) is a critical disease which can threaten their health. The symptoms of sanhupung were diverse and divided into pain symptoms, general symptoms, and neuropsychiatric symptoms. We tried to search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anhupung and somatization of postpartum depression. Methods: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materials concerning the postpartum depression and sanhupung. For the analysis, materials related with the issue of this study were searched at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Results: 1. The range of period and symptoms of sanhupung has been broaden. The symptoms of sanhupung were divided into pain syndrome, general symptoms, and neuropsychiatric symptoms. 2. As the symptoms of postpartum depression might indicate not only physical symptoms but also mental disorder, more attention should be placed on wether the symptoms were involved in somatization of postpartum depression. Conclusion: The authors conclude that obstinate sanhupung that do not healed up and improve in symptoms have a relation to somatization of postpartum depression.

Keywords

References

  1. 배원식. 최신 한방 임상학. 서울: 남산당. 1981;678-680.
  2. 배경미, 조혜숙, 이인선. 문화별 산후조리의 전통과 실재에 대한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1):231-242.
  3. 송병기. 한방부인과학. 서울: 행림출판. 1992;98-108, 473-474.
  4. 김영미, 최은정, 이호승. 産後風의 治療에 관한 臨床報告. 大韓醫療氣功學會誌. 1999;3(1):162-171.
  5. 이동규 등. 부인과 외래의 산후우울증에 관한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2001;14(1):328-335.
  6. 변상현 등. 산후풍 인식 차이 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4):148-158.
  7. 이윤재 등. 산후풍 환자의 심박변이도 특성 관찰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3):178-184.
  8. 崔銀洙, 李仁仙. 産後風의 原因과 治療法에 關한 文獻的 考察.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1999;12(1):253-278.
  9. 손용훈, 이인선. 産後風과 七情과의 관계에 대한 考察.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1):287-290.
  10. Bashiri N, Spievogel AM. Postpartum depression: a cross-cultural perspective. Prime Care Update Ob/Gyns. 1999;6:82-87. https://doi.org/10.1016/S1068-607X(99)00003-7
  11. 정학송. 우울증 환자의 신체증상. 神經精神醫學. 1977;16(4):358-365.
  12. 박철훈 등. 산후풍 환자 12례의 MMPI 특성 분석.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3;16(4):112-123.
  13. 박병곤. 한방 임상 40년. 서울: 대광출판사. 1989;573-574.
  14. 김인순, 정은순. 모성간호학. 서울: 수문사. 1997;98-103.
  15. 배정이. 산후우울 사정을 위한 도구 개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97:27(3):588-600.
  16. 한방여성의학 편찬위원회. 한방여성의학 II. 서울: 정담. 2007;425-428.
  17. 황진영 등. 산후우울증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999;42(7):1508.
  18.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신경정신과학. 서울: 하나의학사. 1998;354-355.
  19. 나용진 등. 산후우울증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993:36(10):3540.
  20. David D Youngs. Postpartum depression: Hormonal versus alternatives. Psychosomatic Obstet Gynecol. 1979;29-38.
  21. 민성길. 최신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2000;293-294.
  22. 양미선.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산후우울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생활과학논집. 2001;5(1):79-87.
  23. Pletnef S. Zur Frage der Somatischan cyclothyme. Ztschr.KlinMed, 1928;107:145.
  24. Lindsay P, Wyckoff M. The Depression-pain syndrome and its response to antidepressants. Psychosomatics. 1981;22:511-577.
  25. Muncie W. Psychobiology and Psychiatry 2nd. St. Louis:Mosby. 1948;78-85.
  26. 민성길, 김경희. 우울증에서 보는 신체 증상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1978;17(2):151.
  27. 박진성, 김명정. 유동통우울증과 무동통우울증간의 증후학적 차이. 신경정신의학. 1987;26(2):286-293.
  28. 노재영, 김정명. 여성주요 우울증 환자에 서의 통각예민도와 혈장 $\beta-endorphine양면역 반응치. 신경정신의학. 1986;25(1):12-18.
  29. 박제민, 김명정. 소동통우울증과 다동통우울증간의 통각내성치에 대한 Naloxone효과의 차이. 신경정신의학. 1986;25(3):396.
  30. 박진성, 김명정. 유동통우울증과 무동통우울증간의 증후학적 차이. 신경정신의학. 1987;26(2):286-293.
  31. Wittenborn JR, et al. Somatic Discomforts among Depressed Women. Arch. Gen. Psychiatry. 1979;36:465-471. https://doi.org/10.1001/archpsyc.1979.01780040107012
  32. 박재순, 이근후. 여성 우울증 환자의 신체 증상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1981;20(4):382-390.
  33. 장혜숙 등. 산후우울경험에 관한 연구-Q방법론적 접근. 간호학회지. 1996;26(4):917-929.
  34. 김용구 등. 한국판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의 임상적 적용. 대한 신경정신학회지. 2008;47(1):36-44.
  35. 홍종문, 송수식. 산전산후의 정서변화연구. 신경정신의학. 1986;25(3):431-438.
  36. 조영숙. 산욕기 산모의 자아존중감과 산후우울과의 관계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992;1(1):97-107.
  37. 이승휘 등. 출산후 여성의 우울성향과 영아기질 양육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 연관성. 신경정신학회지. 1998;37(1):95-102.
  38. 이민규 등. 한국판 Beck 우울 척도의 표준화 연구I: 신뢰도와 요인 분석 1995;4(1):77-90.
  39. 한귀원, 김정명, 박제민. 한국어판 에딘버러 산후우울 척도: 신뢰도와 타탕도. 생물치료정신의학. 2004;10(2):201-207.
  40. 우종민 등. 공황장애 환자에서 약물치료와 심박동수 변이(Heart Rate Variability)의 관련성. 신경정신의학.2005;44(3):342-349.
  41. 이성인, 이병관, 김임. 출산전후의 우울과 불안 비교. 신경정신의학회지. 1990;29(2):320-332.
  42. 김창윤 외. 정신장애 평가도구. 서울: 하나의학사. 2001.
  43. 김정택, 신동균. STAI의 한국 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 의학. 1978;21:1223-1229.
  44. 김광일 등. 간이 정신진단 검사 SCL-90-R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I: 정상인의 반응 특성. 신경정신의학. 1978;17:449-458.
  45. 이정인, 이병관, 김임. 출산 전후의 우울과 불안 비교. 신경정신의학회지. 1990;29(2):320-333.
  46. 권정혜. 심리사회적 요인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97;16(2):55-66.
  47. 박시성, 한귀원. 산후우울증의 심리 사회적 위험요인. 정신신체의학. 1999;7(1):124-133.
  48. 최의순, 오정아. 산욕기 산모의 산후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0;6(3):358-371.
  49. 양미선. 조복희.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산후우울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생활과학논집. 2001;5(1):79-87.
  50. 한창수 등. 월경전 기분 변화와 출산 후 불안-우울 증상간의 상관성. 생물치료정신의학. 2001;7(1):61-65.
  51. 김분한, 전혜원, 정연. 분만 여성의 산후우울과 신체상과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2002;32(6):906-916.
  52. 김락형. 산후 우울증에 대한 임상적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0;11(2):123-130.
  53. 김재원 등. 산후 우울 증상과 연관된 심리사회적, 산과적 변인에 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47(10):1865-1871.
  54. 남궁연옥, 양혜경, 조영채. 도시지역 일부 산모들의 산후우울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련성.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007;11(2):149-161.
  55. 유정미. 산후 6개월 이내 산모의 산후우울정도와 예측요인. 2008.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 Wrate RM, Rooney AC, Thomas PF, et al. postnatal depression and child development: A Three-year Follow-up study. Br J Psychiatry. 1985;146:622-627. https://doi.org/10.1192/bjp.146.6.622
  57. Whiffen VE, Gotlib IH. Infants of postpartum depressed mothers: temperament and cognitive status. J Abnorm Psychol. 1989;98(3):274-279. https://doi.org/10.1037/0021-843X.98.3.274
  58. 송선영, 김광웅. 모의 산후 우울과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과의 관계. 놀이치료연구. 2000;3(1):28-37.
  59. 이병관. 산후정신장애에 대한 고찰. 신경정신의학. 1982;21(4):579-584.
  60. Philipps & O'Hara. Prospective study of postpartum depression: 4 1/2-year follow-up of women and children. J Abnorm Psychol. 1991;100(2):151-155. https://doi.org/10.1037/0021-843X.100.2.151
  61. 김종원. 산후우울증에 대한 동서의학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7;10(1):168.
  62. 徐光潤, 吳吉成, 朴魯澤. 産後 精神障碍에 對한 臨床的 考察. 神經精神醫學. 1969:8(1):39-42.
  63. 임규혁. 간이 정신진단 검사(SCL-90-R검사)의 심리학적 재조명: 확인적 요인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997;11(1):185.
  64. 조홍건. 스트레스병과 화병의 한방치료. 서울: 열린책들. 1991;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