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역사 및 일반철도역사의 환승저항 산정

A Study of Transfer Impedance of KTX and Rail Stations

  • 투고 : 2009.05.18
  • 심사 : 2009.09.02
  • 발행 : 2009.10.31

초록

환승은 대중교통의 대표적인 취약점으로 꼽히는 불편함으로, 대중교통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소이다. 이에 환승으로 인한 불편함 중 개선가능한 요소들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환승시설 및 환승체계의 물리적 요소들에 대한 보행자 편의성을 계량화하여 환승역사의 환승 편의성에 대한 객관적 평가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특히 KTX 역사 및 철도 역사를 대상으로 지역간 통행에 있어서 환승역사의 물리적 특성이 환승수단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환승저항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국내 주요 KTX역사 및 철도역사 환승시설을 대상으로 환승저항값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KTX 역사와 철도역사의 물리적 요소들 중 환승 의사결정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환승패스의 외부보행거리, 환승패스의 내부보행거리, 계단 수, 에스컬레이터 수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환승저항 요소의 상대적 크기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에스컬레이터 1대는 약 1~3분의 체감시간 절감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된 환승저항 모형은 환승역사별 시설여건을 비교하고 시설개선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데에 객관적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ransfer impedance is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decreasing the competitive power of public transpor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ransfer impedance of KTX and rail station users in order to increase the usage of public transportation.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ransfer decisions include exterior walking distance, interior walking distance, steps, and escalators. However, their comparative impedances are different. This study constructed a model for calculating transfer impedance based on bodily sensational transfer time in KTX and rail stations and calculated transfer impedance on major KTX and rail stations in Korea.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addition of one escalator decreases travel time by one to three minutes. The calculated transfer impedance based on bodily sensational transfer time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objective criteria to compare transfer conditions of different KTX and rail stations and to prioritize them for facility improvement. The calculated transfer impedance also can be used as facility guidelines for designing a new transit center.

키워드

참고문헌

  1. 양창화.손의영(2000), '서울시 지하철 이용객의 환승 관련 변수의 가치 추정 (선호의식(SP) 및 현시선호(RP) 분석을 이용)', 대한교통학회지, 제18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9-30
  2. 이경재(2004), '환승역사의 동선체계를 고려한 환승 패널티 추정: 서울시 지하철 사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차동득.박완용.박선복(2008), '환승센터의 두 수단간 환승거리의 적정성 평가', 제59회 학술발표회, 대한교통학회, pp.251-257
  4. Guo(2009), 'Transfer Behavior and Transfer Planning in Public Transport Systems: a case of the London Underground',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systems for public transport, Hong K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