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학습능력 평가를 위한 계속학습조사도구(OCLI: Oddi Continuing Learning Inventory) 타당화 연구

A Study on Validation of OCLI for Evaluating of Life-Long Learning Ability

  • 한지영 (인하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 이민영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 투고 : 2009.05.17
  • 심사 : 2009.10.23
  • 발행 : 2009.12.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따라 학습자의 평생학습능력을 요구하는 공학교육인증 기준에 적합한 도구를 찾기 위해 계속학습조사도구(OCLI)의 요인구조를 밝히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인천 소재 I대학에서 창의적 공학설계와 창의적 사고훈련을 수강하는 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이중 33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15.0과 AMOS 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설명량은 40.57%, 전체 신뢰도는 .774였으며, 전체 문항 중 5개 문항이 제거되었다. 7번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이 선행연구(Oddi, 1984)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요인구조의 최종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 문항이 요인부하량 및 수정지수를 고려하여 제거되었으며, GFI .938, AGFI .915, CFI .908로 나타나 모든 지수가 적합도 기준을 만족하고 있었다. 또한 RMSEA 지수는 .08 이하(.054)이고 상한값이 .08 이하(.066)로 나타나 적합도가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인천 소재의 I대 학생으로 하였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해석이 제한적일 것이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좀 더 다양한 맥락 속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OCLI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해 보아야 할 것이며, 문항의 요인과 문항 수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factor structure and validation of Oddi Continuing Learning Inventory (OCLI) and prove up possibility of usage as an evaluation tool for evaluating life-long learning. 330 students in school of engineering of I university at Incheon province were responded for OCLI.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24 items in original version were converted to 19 items. The total reliability was .774 and the total covariance was 40.57%. A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four items were removed and GFI .938, AGFI .915, CFI .908 appeared to fit all the criteria. The RMSEA index 0.054 also appeared to fit significantly higher.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계수(2007).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
  2. 김지자 외(1996).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사회교육연구, 2(1), 1-25
  3. 이윤옥(2007). 자기주도학습 개념 분석 및 측정도구 개선방향에 관한 제언. 아동교육, 16(1) : 19-30
  4. 이윤옥(2008).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아동교육, 17(2) : 5-18
  5. 이석재 외(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6. 한지영(2008). 평생학습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SDLRS)의 타당성연구. 공학교육연구, 11(4) : 67-75
  7. Biggs, J. B., Kember, D., & D. Y. P,.(2001). The revised Two-factor study process questionnaire: R-SPQ-2F.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1 : 133-149 https://doi.org/10.1348/000709901158433
  8. Guglielmino, L. M.(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9. Harvey, B. J., Rothman, A. I., & Frecker, R. C.(2006).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Oddi Continuing Learning Inventory(OCLI). Adult Education Quarterly, 56(3) : 188-200 https://doi.org/10.1177/0741713605286167
  10. Martello, R. et al.(2007). Paul Revere in the Science Lab: Integrating Humanities and Engineering Pedagogies to Develop Skills in Contextual Understand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SEE Annual Conference
  11. Merriam, S. B., Caffarella, R. S., & Baumgartner, L. M.(2006). Learning in adulthood: A comprehensive guide (3r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12. Oddi, L. F.(198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ing. Doctoral dissertation. Nothern Illinois University
  13. Oddi, L. F. (198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identify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ers. Adult Education Quarterly, 36(1) : 97-107
  14. Owen, T. R.(2002). Self-directed learning in adulthood: A literature review. Columbus, OH: ERIC Clearinghouse on Adul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15. Six. J. E.(1989). The generality of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the Oddi continuing learning inventory. Adult Education Quarterly, 40(1) : 43-51
  16. Straka, G. A. (1996). Construct validation of the Oddi Continuing Learning Inventory. In H. B. Long & Associates (Eds.), Current developments in self-directed learning. Norman: University of Oklahoma, Public Managers Center, College of Education
  17. Todd, B. A.(2002). Short, instructional Module to address lifelong learning skills, American Society of Engineering Education Annual Conference & Exposition : session 1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