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Regarding climate change, the most significant challenge the world faces is achieving the goal of stabilizing the global concentration of greenhouse gases. However, this cannot be accomplished by greenhouse gas reduction efforts of developed countries alone. In this context, a "sectoral approach" has been brought up as a way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Kyoto Protocol and induce the participation of developing countries. This paper focuses on the different types of sectoral approaches that have been suggested so far, and their criteria, scope and effectiveness. It therefore explores the potential each approach has as a policy alternative under the post-2012 scheme. On top of that, with the possibility of these sectoral approaches becoming strong future policy alternatives in mind, this paper also analyzes their applicability to the Korean industry. For the steel, petrochemical and oil industries - in which energy efficiency exceeds the world average- a technology-based approach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For the cement, paper and power generation industries - in which energy efficiency is about the same as the global average - a sectoral crediting mechanism or an index-based approach or a sector-wide transnational approach are proposed as alternatives. Lastly, this paper suggests a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their adoption and implementation.
기후변화와 관련 국제사회가 안고 있는 과제는 개도국의 참여가 없이 선진국 중심의 온실가스 감축만으로는 전 지구의 온실가스 농도안정화 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다는 인식이다. 특히 교토의정서 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개도국을 참여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부문별 접근방식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우선 그동안 제기되어 왔던 부문별 접근방식의 종류, 적용기준, 범위, 유용성 등에 대한 논의 요지를 정리하여, post-2012 체제하에서 협상대안으로서의 부문별 접근방식의 잠재력을 살펴 보았다. 또한, 앞으로 부문별 접근방식이 협상대안으로 구체화될 경우에 대비, 우리나라 산업에서의 부문별 접근방식 적용 여건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세계 평균 이상의 에너지 효율을 실현하고 있는 업종은 기술 기반 부문별 접근방식, 세계 평균 수준의 에너지 효율을 보이는 업종은 부문별 크레딧 메카니즘 혹은 지수기반 혹은 부문 전체 국가간 접근을 검토대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부문별 접근방식채택 및 이행을 위한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