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여대생이 지각한 유방 자가검진의 지식, 자기효능감 및 이행 간의 관계

Knowledge, Self-Efficacy and Compliance on Breast Self Examination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 발행 : 2009.03.30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self-efficacy and compliance behavior on breast self examination(BSE) of female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t sample of 499 female college student. Surveyed data collected from May to August 2008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of knowledge and self-efficacy concerning BSE was low, and compliance was high. The levels of knowledge, self-efficacy and compliance were differed significantly by experience of thinking about breast cancer, perceived susceptibility of breast cancer, experience of meeting with breast cancer patient, and educational experience of BS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knowledge and compliance, knowledge and compliance, knowledge and self-efficacy. Knowledge and self-efficacy were a powerful predictor of compliance. Conclusion: Focus on perceived knowledge, self-efficacy about breast self examination(BSE)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y be beneficial to improve compliance, and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BSE education program.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선희, 전형진. 35세 이하 젊은 연령 유방암 환자의 예루 : 36세이상 군과의 비교. 대한외과학회지 2007: 72(2): 101-106
  2. 고석환. 젊은 여성의 유방암. 경희의학 2005: 21(1): 31-36.국립암센터 국가암 정보센터 2007: http://www.cancer.go.kr
  3. 김미경. 유방암 자가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9
  4. 김은경, 이해정, 안숙희, 정은순. 일부지역 간호사의 유방 자가검진 이행 예측요소. 대한간호학회지 2003: 33(7):1047-1056
  5. 민연기, 김남렬, 조성진, 김애리, 배정원, 구범환. 35세 이하 한국 여성 유방암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 한국유방암학회지 2001: 4(1): 74-79
  6. 성미혜. 일부 성인여성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검진 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4: 21(2): 187-198
  7. 안혜정. 유방자가검진의 행위모델과 교육의 효과에 대한 분석. 성인간호학회지 2002: 14(1): 73-82
  8. 유근영, 윤하정, 신애선, 신해림. 유방암 조기검진의 한계. 암 예방학회지 2001: 6(3): 131-139
  9. 이미화, 최인희. 여대생에게 실시한 지지교육이 유방 자가검진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과의 관계연구. 성인간호학회지 2001: 13(3): 397-408
  10. 이상달, 박해린, 남석진, 양정현, 고영혜. 20대 여성의 유방암은불량한 예후를 보이는가? 한국유방암학회지 2001: 4(1): 63-67
  11. 이영휘, 이은현. 장년기 여성의 유방자가검진 수행에 대한 예측 변수. 성인간호학회지 2001: 13(4): 551-559
  12. 이영휘, 이은현, 신공범, 송미숙. 국내여성과 미국이주 한국 여성의 유방암에 대한 건강신념과 유방자가검진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2004: 34(2): 307-314
  13. 이은주. 간호사들의 유방 자가검진 실천도 관련요인〔석사학위논문〕. 대전: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2
  14. 이태정. 유방암 조기검진 교육프로그램 개발〔석사학위논문〕.대전: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7
  15. 조홍숙. 중년 여성의 유방암 위험 정도와 유방 자가검진 지식및 수행 여부와의 관〔석사학위논문〕. 충남: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16. 최경옥. 간호사의 유방자가검진에 관한 지식, 태도, 실천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994: 6(1): 81-100
  17. 최경옥. 유방자가검진 교육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교육의 효과.〔박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6
  18. 최종숙, 박재용, 한창현. 일부 보건소 내소 여성의 유방자가검진과 유방암 검진의 관련요인.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1: 18(1): 61-78
  19. 한미연, 정재원. 직장여성의 유방암 검진행위 분석.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4: 12(4): 363-370
  20. 허혜경. 박소미. 유방자가검진 행위단계에 따른 의사결정균형과 확신성 비교연구. 성인간호학회지2004: 16(3): 493-500
  21. Aspinall, V. An effective way to reduce mortarlity : screening for malignant breast disease. Professional nurse 1991: 6(5): 283-287
  22. Assaf, A.R., Cummings, K.M., Graham, S., Mettlin, C., Marshall, J.R. Comparison of three methods of teaching women how to perform breast self-examination. Health Education Quartely 1985: 12(3): 259-272 https://doi.org/10.1177/109019818501200304
  23. Bandura, 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1986
  24. Champion. V.L. Instrument refinement for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s. Nurs Res 1993: 42(3): 139-143
  25. Devine, S.K., Frank, D.I. Nurse self-performing and teaching others breast self examination : impliance for advanced practice nurses. Clinical Excellent Nurse Practitioner 2000: 4(4): 216-23
  26. Lerner, B.H. When statistics provide unsatisfying answers: Revisiting the breast self-examination controversy.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 2002: 166(2): 199- 202
  27. Lu, Z. J. Variables associated with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Chinese women. Cancer Nursing 1995: 18(1): 29-34
  28. Parviainen, M. Breast cancer becomes more common : early diagnosis gives a better prognosis, Sairaanhoitaja 2003: 76(8): 26-7
  29. Rosvold, E.D., Hjartaker, A., Bjertness, E., Lund, E. Breast self-examination and cervical cancer testing among Norwegian female physicians : A nation wide comparative study. Soc Sci Med 2001: 52(2): 249-258 https://doi.org/10.1016/S0277-9536(00)002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