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Propriety of Labor Input at Design Stage in Construction Management

건설사업 관리에 있어서 설계이전단계의 인력투입 적정성 분석

  • Published : 2009.05.31

Abstract

In the execut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such pre-design steps as a planning stage, a basic design stage, and a work design stage are regarded as more important than an actual construction stage. However, the manpower input criterion from the aspect of construction management price standard in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Management Law does not attach weight to the pre-design stage. In this regar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priety of manpower input in the pre-design stage of construction management and then present an improvement strategy of it. For thi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criterion of service price prescribed in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Management Law and then comparatively analyzed four sites of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actual state of manpower input based on the stepwise average price criter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is presented with such steps as the newly established planning step (6.6%), the basic design stage (3.9%$\rightarrow$5.6%), the practical design stage(7.6%$\rightarrow$13.5%), the construction stage (88.5%$\rightarrow$64.0%), and the newly established maintenance stage (10.3%). The average price criterion is classified by total construction expenses and calculated by improved rates and stage; and 2) the three-step criterion of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Management Law is classified into five stages including the planning stage and the maintenance stage by dividing it with the stepwise construction businesses.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calculation of price criterion in the actual site of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s must be operated in a practical and flexible manner and the systematic improvement of stepwise manpower input must be carried out actually.

건설사업관리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설계이전단계인 사업기획단계,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단계가 시공단계보다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기술관리법상 건설사업관리 대가 기준으로 본 인력투입기준은 설계이전단계의 중요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적 상황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업관리 업무의 설계이전단계 인력투입 적정성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기법의 용역대가기준과 건설사업관리 용역 4곳의 현장을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사업수행에 있어 개선된 인력투입의 적정성 분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실제 건설사업관리 용역의 단계별 대가평균기준의 인력투입현황을 사업기획단계 신설(6.6%), 기본설계단계(3.9%$\rightarrow$5.6%), 실시설계단계(7.6%$\rightarrow$13.5%), 시공단계(88.5%$\rightarrow$64.0%), 유지관리단계 신설(10.3%)로 제안하였다. 제안된 대가평균기준을 총공사비 기준으로 분류하여 개선후의 요율과 단계별로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2) 건설기술관리법 기준인 3단계기준을 사업기획단계, 유지관리단계를 포함하여 단계별 업무를 구분하여 5단계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건설사업관리 용역현장의 대가 표준 산정이 현실적이고 탄력적으로 운용되고 단계별 인력투입에 대한 제도개선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져야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5-447호 건설기술관리법 제22조의4 제 2항 규정
  2.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2003), '건설사업관리 업무 절차서'
  3. 김대호(외3인, 2001), '건설사업관리비용 산정' 한국건설업연구원
  4. 유병기(외2인, 2006), 'CM 대가 산정방식의 문제점 분석에 대한연구' 건설관리, 제7권, 제6호 한국건설관리학회,pp132-139
  5. 전형철(2002), '건설사업관리의 제도정비와 공공사업적용에 대한 고찰' 감사논집 제7호, 감사원,pp113-116
  6. 정재영, 윤태권(2006), '정부공사 건설 사업관리용역의 대가 산정에 관한연구' 제21호, 2006.09, 한국건축시공학회. pp115-122 https://doi.org/10.5345/JKIC.2006.6.3.115
  7. 김예상 (2007.4.) '건설사업관리 대가체계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건설회관 공청회의
  8.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7), '공공사업에서 책임감리와 건설사업(CM)의 관계 정립을 위한 연구', 한국건설감리협회
  9. PURDUE UNIVERSITY OFFICE OF THE UNIVERSITY ARCHITECT OUA Project Management Fee, Beginning July 1,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