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이단이층 복합여과시스템의 소규모 파일롯 플랜트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Evaluation of Two-stages and Dual Media Filtration System by the Small-scale Pilot Plant

  • 발행 : 2009.04.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수온강하, 여름철 우천시 표류수 중의 고탁도 물질 및 봄, 가을철의 조류성장 시기 등을 고려하여 기존의 급속모래여과시스템을 이단 이층 복합여과시스템으로 개량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기술은 기존 여과지의 개량 또는 신설 여과지 설계시 또 다른 부지의 확장 없이 기존 모래여과지를 대체하는 기술로서 하부집수장치 상부에 모래 + 활성탄 층을 두고 활성탄 층 상부에 일정한 간격의 역세 팽창층을 두고 전 처리의 개념으로 중간집수장치 위에 모래층을 두는 이단 이층 복합여과시스템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단이층 복합여과시스템을 경기도 S 정수장에 소규모 파일롯 플랜트를 설치하였으며, 탁도는 INTU 이하로 안정하게 유지되었고, TOC, THMFP, HAAFP는 약 90%정도 제거되어 S정수장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았으며, 이는 본 시스템의 하단에 충전된 활성탄층에서의 흡착 및 생물분해 효과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the two stage and dual filtration system. It has a sand + activated carbon layer above the underdrain system and a sand layer above the middledrain system for pretreatment. When retrofitting an old filter bed or designing a new one, this technology can substitute the existing sand filter bed without requiring a new site. In order to extend the filtering duration, the upper layer of the filter bed consists of the rapid sand filtration with large particles which pre-treats and removes coarse particles and turbidity matters. The middle layer has biological activated carbon(BAC) and granular activated carbon(GAC) to eliminate dissolved organic matters, disinfection by-products precursors etc. The lower layer consists of the sand filtration for the post filtering mode. In this study, a pilot plant of two stage and dual filtration system was operated for 4 months in the S water treatment plant in Kyounggi-Do. The stability of turbidity was maintained below 1NTU. The TOC, THMFP and HAAFP were removed about 90% by two stage and dual filtration system, which is almost 2 times higher than S WTP. From analysis result of HPC along the depth of activated carbon + sand layer at 2nd stage, microorganism was mostly not detected, however, increment of HPC was shown as it becomes deeper. It indicates that growth of microorganism is occurred at activated carbon layer.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태균, 이만호, 허현철, 최영준, 한강원수에 대한 막여과 고도정수시스템의 성능평가,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57-62, 2006.
  2. 이길숙, 이광윤, 이범구, 김영태, 이권기, 한강원수에 대한 막여과 조합공정 정수처리시설의 적용성 평가,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63-72, 2004.
  3. 김충환, 김한승, 정수 막여과 국제 세미나 리뷰, 상하수도학회지, 17(5), pp.594-605, 2003.
  4. 김진근, 정상기, 신창수, 조혁진, 국내 정수장의 소독 부산물 생성 특성, 상하수도학회지, 19(3), pp.301-311, 2005.
  5. 송시범, 조민, 남상호, 우달식, 여과 성능향상을 위한 이단이층 복합여과시스템의 공정선정 연구, 상하수도학회지, 21(2), pp.203-214, 2007.
  6. Lechevallier M. Y.,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Biologically Active Rapid Filters, J. AWWA, 84(4), pp.136-145, 1992. https://doi.org/10.1002/j.1551-8833.1992.tb07339.x
  7. 문성용, 김승현, 정수처리 공정에서 연속식 입자계수기의 적용성 검토에 관한 연구, 상하수도학회지, 19(2), pp.214-220, 2005.
  8. AWWA, Water Quality and Treatment. 5th Ed. McGraw Hill, USA. 1999.
  9. Rook, J. J., Formation of Haloforms during Chlorination of Natural Water, J. Water Treatment and Examination, 23(2), pp.234-243, 1974.
  10. Page, T., Harris, R. H., and Epstein, S. S., Drinking Water and Cancer Mortality in Louisiana, Science, 193, pp.55-57, 1976. https://doi.org/10.1126/science.935854
  11. Boorman, G.A., Dellarco, V., T., Dunnick, J.K., Chapin, R.E., Hunter, S., Hauchman, F., Gardner, H., Cox, M., Sills, R.C., Drinking Water Disinfection Byproducts: Review and Approach to Toxicity Evaluation, Environ Health Perspect, 107(Suppl 1), pp.207-217, 1999. https://doi.org/10.2307/3434484
  12. Amirtharajah, A., Optimum Backwash of Dual Media Filter and GAC Filter Adsorbers with Air Scour. AWWA Research Foundation, Denver, 1991.
  13. 문철훈, 이윤진, 고영송, 남상호, 생물활성탄 및 사여재를 이용한 여과공정에서의 역세척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5(2), pp.227-233,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