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e Eye in Biological Science Educ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부산광역시 중고등학생의 눈에 대한 생물교육학적 이해도와 지식도

  • Lee, Jeong-Ha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Busan Women's University) ;
  • Choi, Woon Sang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Busan Women's University) ;
  • Kim, Yoon Kyung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Gimhae College) ;
  • Lee, Jae Yoon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Myung Suk (Department of Micro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이정하 (부산여자대학 안경광학과) ;
  • 최운상 (부산여자대학 안경광학과) ;
  • 김윤경 (김해대학 안경광학과) ;
  • 이재윤 (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
  • 이명숙 (부경대학교 미생물학과)
  • Received : 2009.07.28
  • Accepted : 2009.12.08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e eye in biological science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Methods: A total of 82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four different schools participa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est.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grade and gender. Results: In the survey of the understanding about the eye in the biological science curriculum,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re learning of the eye in biological science lecture led to the more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the eye.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the eye between learned and unlearned students in biological sciences lecture was significant (p<0.01). In the survey of the knowledge of the eye, students did not know about myopia and astigmatism (average value <50). Conclusions: As biological science education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eye, this result suggests that more information about the eye in the curriculum of biology is included.

목적: 부산지역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눈에 관한 생물교육학적 이해도와 지식도를 조사하였다. 방법: 4개 학교의 중고등학생 821명에 대해 설문 조사하였으며, 학년별, 성별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생물교육과정 속에서 눈과 관련된 내용은 교육을 받을수록 눈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으며, 눈과 관련된 지식에 대한 이해도는 피교육생과 비피교육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학생들의 눈에 대한 생물교육학적 지식도 중에서 근시, 난시에 관한 지식은 낮았다(평균값<50). 결론: 생물 교육은 눈과 관련된 분야의 이해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생물 교육과정에 눈과 관련된 개념의 정보를 많이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오중협, 홍영재, 김성덕, 홍순각, "학동의 굴절상태", 대한안과학회지, 16(1):36-42(1975).
  2. 박병일, 박영걸, 이홍수, 채규원, "학동의 시력 및 굴절상태에 대한 연구", 대한안과학회지, 19(4):391-397(1978).
  3. 박병일, 최광주, 조재갑, "중학생의 시력 및 안굴절 상태", 대한안과학회지, 24(4):695-703(1983).
  4. 김시한, 김상민, "학동근시의 원인에 관한 조사", 대한안과학회지, 18(1), 45-49(1977).
  5. "학생신체검사 결과 중 시력검사 보고서", 교육인적자원부(1999, 2002, 2005).
  6. 전예진, "서울시내 일부 중학생의 시력 및 안경착용과 그에 따른 보건 행태 및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7-83(1994).
  7. 김재찬, "서울시 청장년의 안 상태에 대한 통계적 고찰", 대한안과학회지, 26(6):107-113(1985).
  8. 유재복, "중학교 남녀학생의 시력변화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4:159-175(1991).
  9. 이광만 외 16인, "과학", (주)지학사, pp. 140-141(2007).
  10. 최돈형 외 8인, "공통과학", 대한교과서, pp. 271-274(2000).
  11. 김윤택 외 7인, "생물 I",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pp.126-128(2004).
  12. 이정하, 최운상, 이명숙, "부산시내 중고등학생의 시력과 안경착용실태", 한국안광학회지, 14(2):53-59(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