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f New Digital Generation's Utilization of Fashion Information

디지털 신세대의 패션트렌드 인지도와 수용도가 패션정보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

  • Kim, Yeo-Won (Dept. of Fashion Design Inform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oi, Jong-Myoung (Dept. of Fashion Design Inform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김여원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 최종명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cognition degree and acceptability of fashion trends of new consumers who live in digital era, and to determine how these factors have influence on their use of fashion trend inform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696 people from 15 to 34 years old.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was develop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mean, factor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w digital consumer's recognition degree (RD) of fashion trends is 7.85 on the average, given that the top of scale is 20.0, it is quite low. Of fashion trend RD, fashion item RD is the highest. The female subjects recognize fashion trends better than the male subjects. Second, fashion trend acceptance of new digital generation is classified into 5 factors: 'search acceptance', 'lead acceptance', 'follow acceptance', 'non-acceptance', and 'delay acceptance'. The female subjects show higher degree in the factors of 'search acceptance', 'lead acceptance' and 'follow acceptance' of fashion trend than the males; hence it means that the females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in fashion trend acceptance than the males.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 in the fashion information utilization. Compared to the males, the females more use fashion information on style, fabrics and color. Concludingly, their fashion trend recognition degree and acceptance made an influence in part on their utilization of fashion inform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선 (2000) 캐주얼 의류업체의 상품기획을 위한 정보활동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주희, 박옥련 (2005) 남성소비자의 패션의식에 따른 쇼핑행동연구: 구매행동, 효핑성향, 정보원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167-178.
  3. 김지연 (2003) 국내 여성복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기초한 패션 트렌드 선호도 분석 및 패션 상품 기획의 트렌드 반영 반향 모색: 베이비부머(baby boomer)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지영 (2002) 국내 여성복 소비자의 최근 패션트렌드 수용과 배경 분석: 20대 여성 및 2001 S/S와 2002 S/S 시즌 트렌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혜영 (1997) 상품 기획 과정에서 사용하는 패션정보의 감성 요소에 대한 연구(I). 복식문화연구, 5(3), 1-25.
  6. 노혜경, 이경희 (2002) 소비자 착장 스타일에 나타난 패션 트렌드 수용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5), 465-472.
  7.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자료검색일 2007. 2. 26, 자료출처 http://100.naver.com/100.nhn?docid=797664.
  8. 디지털 문화소비를 선도하는 'C세대' (2006. 3. 28) 헤럴드 생생뉴스. 자료검색일 2007. 3. 25, 자료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2&aid=0000034929.
  9. 박신희 (2000) 1990년대 해외컬렉션과 국내컬렉션의 패션트렌드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서성무, 홍병숙, 진병호 (2002) 패션비즈니스. 형설출판사.
  11. 서희정 (2004) 패션 산업의 정보 소통체계와 패션 정보 활용화를 위한 마케팅 기획 모형 설정에 관한 연구: 국내.외 패션 산업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신세대 소비백서 5(2005. 10. 12) LG주간경제. 자료검색일 2007. 3. 25, 자료출처 http://www.lgeri.co.kr/publication/weekly/weekly.asp?pyear=2005&grouping_seq=01040100_542&ctype=g.
  13. 신수래 (2003) 자아개념에 따른 패션 트랜드 수용도와 의복쇼핑성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신현숙 (2001) 패션 트렌드에 대한 국내 여성 소비자의 수용 현황과 수용 분석: 1998-2001년 트렌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연정 (2000) N세대의 인터넷 패션상품 정보탐색과 의복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운현 (2001) Mass Fashion의 패션트랜드 예측정보 수용도: 1990년대 후반 캐주얼정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재진 (2001) 패션 트랜드 정보가 여성복 디자인 기획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홍림 (2000) 패션디자인기업의 머천다이징 정보활용에 따른 정보데이터베이스 분류에 관한 연구, 디자인과학연구, 6, 51-58.
  19. 정송향 (2004) 패션기업의 패션정보 활용,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6), 699-706.
  20. 조윤정 (2000) 유행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세분집단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추구혜택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C세대 지향의 교육을 위하여 (2006. 12. 27) 전라일보. 자료검색일 2007. 3. 22, 자료출처 http://www.jeollailbo.com/news/general_view.php?An=186855.
  22. 2006년 문화콘텐츠산업 10대 전망 (2006. 1)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정책개발팀. 자료검색일 2009. 2. 9, 자료출처 http://www.kocca.kr/sub/contents/CMContent.srt?method=view
  23. Lewis, D., Bridger, D. (2001). 디지털시대의 신 소비자 혁명. 삼성전자 글로벌 마케팅 연구소 옮김. 위즈덤 하우스.
  24. Greenwood, KM. (1998). Fashion innovation & marketing. New York: Macmillian Publishing Company.
  25. Jernigan, MH., Easterling, CR. (1997) 패션 머천다이징 & 마케팅. 임숙자 외 4역. 서울: 교문사.
  26. Naisbitt, J., Aburdene, P. (1990) 메가트렌드 2000: 1990년대 대변혁 10가지!. 김홍기 역. 서울: 한국경제신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