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ceptual information model for sensor-based urban facilities management - focused on urban ground and underground facilities -

센서기반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한 정보모델 - 지상.지하시설물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adoption of ubiquitous technologies is increasing for the realization of new effective u-City services. u-City is defined as a next-generation informatization city that can innovate a city's various functions, such as improving the welfare of the citizenry, ensuring safety based on systematic urban management, improving the quality of lives, and increasing convenience in city life, by merging cutting-edg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and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s with urban space. There is therefore a need to recognize that a successful u-City implementation strategy involves developing the previous UIS into a ubiquitous technology-based UIS and integrating UIS's various urban informations with effective u-City services. In this paper, for UIS-based u-City implementation, the intelligent integration model of urban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interoperability is proposed.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기술은 도시정보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기능을 제시하고 있다. u-City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도시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 관리 등 도시의 제반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차세대 정보화 도시이다. 성공적인 u-City 건설을 위해서는 기존 지자체GIS 서비스를 확대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의 개념이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도시공간정보에 대한 연계통합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도시시설물의 효율적 관리와 상호운용성 기반의 센서기반 도시정보 활용을 위한 '센서기반 도시시설물 정보모델'을 제시하도록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형, 2006, "u-City를 위한 지자체 GIS 연계통합방안 연구", 한국GIS학회지, 제14권 제3호
  2. 김은형, 2007, "지자체 GIS 통합․연계 고도화 모델연구", 한국GIS학회지, 제14권 제3호
  3. 건설교통부. 2007, "지자체 GIS 통합구축 및 u-City 활용방안 연구", 2006년도 국가GIS지원연구과제
  4. 건설교통부, 2003, "지방자치단체 GIS 정보화 전략 계획 수립 지원연구"
  5. 한국전산원. 2005, "한국형 u-City 모델제안", 한국전산원
  6. Gordon N. Keating, Paul M. Rich, and Marc S. Witkowski, 2003, "Challenges for Enterprise GIS", URISA Journal . Vol. 15, No.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