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학생들의 확률적 사고 수준 평가 기준 개발 : 미국의 사례

A Framework for Assessing Probability Knowledge and Skill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 Case of U.S.

  • 발행 : 2009.03.31

초록

일부 연구자들 (Jones et al., 1997; Tarr & Jones, 1977; Tarr & Lannin, 2005)은 학생들의 확률적 사고틀에 대해 연구해왔다. 이들 연구는 학생들의 확률적 사고 수준을 이해하는 도구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중학교 학생들의 확률적 사고 수준 관련 연구는 조건부 확률과 독립성 개념에만 머물러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Jones et al.(1977), Polaki (2005), and Tarr and Jones(1977)의 연구를 분석하고, 미국의 교육과정과 국가 수준의 평가 자료를 분석하여 중학교 학생들의 확률적 사고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틀을 개발한다.

Some researchers (Jones et al., 1997; Tarr & Jones, 1997; Tarr & Lannin, 2005) have worked on students' probabilistic thinking framework. These studies contributed to an understanding of students' thinking in probability by depicting levels. However, understanding middle school students' probabilistic thinking is limited to the concepts in conditional probability and independence. In this study, the framework to understand middle school students' thinking in probability is integrated on the works of Jones et al. (1997), Polaki (2005) and Tarr and Jones (1997). As in their works, depicting levels of probabilistic thinking is focused on the concepts and skills for students in middle school. The concepts and skills considered as being necessa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integrated from NCTM documents and NAEP framework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