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Report of Functional Dyspepsia with Abdominal Distention

기능성 소화불량증으로 복부창만(腹部脹滿)이 지속되는 환아 증례 1례 보고

  • Kim, Cho-Young (Dept. of Oriental Pediatrics, East West Neo Medical Center, Kyunghee University) ;
  • Chang, Gyu-Tae (Dept. of Oriental Pediatrics, East West Neo Medical Center, Kyunghee University)
  • 김초영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한방소아과) ;
  • 장규태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한방소아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is to report a case that has an important meaning as a result of treating functional dyspepsia with oriental treatment. We investigated functional dyspepsia in 6 years child who had to continue abdominal distention for a month after gastroenteritis. The child has recovered from all dyspepsia symptoms after treating with oriental medicine. Methods The patient had dyspepsia symptoms all day, especially repeated abdominal distention. He sometimes had nausea, vomiting, diarrhea, abdominal pain. For those symptoms, we treated him with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The aim of treatment was to improve functional dyspepsia without western treatment. We measured patient's abdomen circumference for change of abdominal distention. Results The symptoms of functional dyspepsia were vanished and the patient maintains his condition with oriental medicine treatment without western treatment. After herb medicine treatment and acupuncture treatment the patient's dyspepsia symptoms (nausea, vomiting, diarrhea, abdominal pain, and abdominal distention) were vanished and maintained his condition for two months after complete the treatment.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oriental medicine can elevate the functional dyspepsia children's quality of life with continuous health care and treatment. For more accurate studies, further studies would be needed with more cases.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훈 외. 반복적 구토 및 복통으로 가성장 폐쇄로 진단받은 환자 1례.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4;18(1):93-4.
  2. 박재우, 윤성우.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심박변이도 및 양도락과의 상관성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7;(2):80-1.
  3. 김재훈, 고은상 외.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소음인 향사양위탕 치험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3;23(2):1-2.
  4. 박양춘, 조정효 외. 기능성 소화불량증에 대한 침치료의 효과: 무작위배정 대조군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7;24(1):1-2.
  5. 김종윤, 이진용, 윤상협.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아의 위전도에 대한 내소화중탕의 효과.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2;16(2):199-200.
  6. Hu WH,Talley NJ.Functional(non-ulcer) dyspepsia;unexplained butnot unmanageable. Med J Aust. 1998;12:417-33.
  7. 박영태. 소화불량증의 정의 및 진단적 접근. 대한소화관운동학회. 기능성 소화불량증. 서울: 진기획. 2006:13-29.
  8. 이존호, 김학양, 노승혁, 윤덕형, 김경호, 최종형 등. 한국인 소화불량 환자 중 어느 환자에서 내시경 검사를 할 것인가? 대한 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1;22:1-7.
  9. Agreus L, Svardsudd K, Nyren O, Tibbin G.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dypsepsia in the general populration: overlap and lack of stability over time. Gastroenterology. 1995;109:671-680. https://doi.org/10.1016/0016-5085(95)90373-9
  10. 이광재.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병태생리와 치료.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2003;9:85-91.
  11. 최명규, 최규완, 김나영, 임선희, 이계희, 김성국 등. 한국인의 소화불량증 환자에서의 증상관찰, 아형분류 및 이에 대한 시사 프라이드의 효과.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1998;4:1-12.
  1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편. 소화기학원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219-220.
  13. 윤상협, 류봉하, 류기원, 김진성.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 대한 반하사심탕 엑기스제의 임상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3;24(2):329-36.
  14. 전우현, 박재우, 김진석, 홍종희, 홍상선, 박석규, 김진성, 류봉하, 류기원.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한방치료 후 삶의 질 변화에 대한 임상적 평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1;22(3):361-6.
  15. 오중한, 김봉석, 임희용, 김동우, 최빈혜, 허진일, 김대준, 조종관, 변준석. 이진탕 가미방 투여 후 호전된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 3례에 대한 증례 보고.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5;26(3):641-651.
  16. 오상덕, 국윤형, 민재영, 임승만, 백은탄, 나수연. 소화불량에 대한 구육보사 자침의 효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한방성인병학회지. 2000;6(1):223-231.
  17. 박석규, 김진석, 홍종희, 홍상선, 임중화, 한숙영 등.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3인에 대한 평가 및 증례보고.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2;23(2):244-251.
  18. 이방성, 윤현민, 장경전, 송춘호, 안창범. 족삼리 자침이 가토소장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0;17(2): 221-30.
  19. 허성욱, 장경전, 송춘호, 안창범. 족삼리혈자침이 가토의 대장 운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9;16(3):214-20.
  20. 남세현, 이현. 합곡에 대한 유침, 저주파 및 고주파 전침이 흰쥐의 장운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8;25(4):11-29.
  21. 서만선, 이한철, 박은정, 채중원, 정규만. 소아 상유식사에 관한 소고.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990;4(1):87-90.
  22. 전국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사상의학. 서울:집문당. 1997;278-281.
  23. 윤희식, 박동원, 류기원, 류봉하. 곽향정기산과 소음인 곽향정기산의 효능에 관한 실험적 비교연구. 경희한의대 논문집. 1998;21(1). 206-8.
  24. 全國韓醫科大學 針灸經穴學敎室 編著. 針灸學. 서울:집문당. 2001:56-8,323-5.
  25. 임종국. 침구치료학. 서울:집문당. 1983:226-30. 304-6.
  26. 홍유성, 황우준, 김경식, 이호섭, 김정상. 나장수. 합곡, 족삼리 자침이 흰쥐의 위장관 세로토닌 면역반응세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9;16(3):3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