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Eating Habits and Living Habits in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or without Allergic Diseases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알레르기 질환 유무에 따른 식습관 및 생활습관 비교

  • Seo, Hui-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Han, Jae-K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Kim, Yun-H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서희연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한재경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윤희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Objectives Because allergic disease is currently prevalent and has tendency to become chron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llergic diseases on eating and living habits of children when they grow. Methods Questionnaire performed by 203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heonan was analyzed. Results Disease group had low frequency of eating ramen, watching TV or web-surfing than that of normal group, but had higher frequency of eating meat, eating breakfast. Conclusions The allergic disease group had more desirable habits. It was assumed that parent's greater interest and devotion toward their children to cure their allergic disease was the reason for the children's desire habits.

Keywords

References

  1. 안효섭. 홍창의 소아과학. 제9판. 서울: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7:1104-27.
  2. 김규수.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그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평가. 미래교육학회지. 2007;7(1):229-252.
  3. Eder W, Ege MJ, von Mutius E. The asthma epidemic. N Engl J Med. 2006 Nov 23;355(21):2226-35. https://doi.org/10.1056/NEJMra054308
  4.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Steering Committee. Worldwide variation in prevalence of symptoms of asthma,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and atopic eczema. 1998 Apr 25;351(9111):1225-32.
  5. 손병관, 임대현, 김정희, 전용훈, 김순기. 초등학교 아동의 알레르기 질환 빈도 및 알레르기 질환과 유관한 요인이 있는 아동과 정상 아동 사이의 폐기능 검사 비교.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1997;7(2):198-206.
  6. 홍수종, 안강모, 이수영, 김규언. 한국 소아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2008;18(1):15-25.
  7. 남승연, 윤혜선, 김우경. 학동 전기 소아에서의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과 위험 인자에관한 연구.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2005;15(4):439-45.
  8. 이수영, 홍수종, 김봉성, 김창근, 이동진, 이동근, 고영률, 이준성. 한국 초등학생에서 12개월 천식증상 유별율의 위험인자로서 최근 식이형태의 연관성.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2006;16(4):296-305.
  9. 편복양. 영유아 아토피피부염의 위험 인자.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2005:15(3);235-37.
  10. 문은경, 배형철, 남명수. 항원감작식품과 어린이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계.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007;27(3):337-44.
  11. 송윤정, 허순영, 강임주. 학동기전 아토피피부염 환아에서 항원 감작과 천식의 빈도와의 관계.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2006;16(3):216-24.
  12. 김자형, 김효빈, 이소연, 김봉성, 서희정, 홍수종. 천식 환아에서 집먼지진드기 항원 감작과 기도과민성 및 폐기능과의 관계.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2005;15(4):399-407.
  13. 윤인숙, 권세영. 알레르기 환자에서 Immunoglobulin E와 Eosinophil count 및 Allergen 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09;9(4):236-46.
  14. 우성일, 임정숙, 한윤수. 소아 아토피 천식 환자에서 실내 흡입 알레르겐 특이 IgE 농도와 총 IgE 농도 및 기도 과민성 사이의 연관성.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2009;19(1):47-56.
  15. 김승태, 최성구, 김상엽, 정유숙, 홍성도, 김선우, 이상일, 이흥재. 한국 천식아동의 기질특성. 신경정신의학. 1997;36(6):1080-88.
  16. Marshall PS. Allergy and depression : a neurochemical threshold model of the relation between the illnesses. Psychol Bull. 1993;113:23-43. https://doi.org/10.1037/0033-2909.113.1.23
  17. Padur JS, Papoff MA. Psychosocial adjustment and the role of functional status for children with asthma. J Asthma. 1995;32:345-53. https://doi.org/10.3109/02770909509082759
  18. Wamboldt MZ, Schmitz S, Mrazek D. Genetic association between atopy and behavioral symptoms in middle childhood.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98;39:1007-16. https://doi.org/10.1111/1469-7610.00403
  19. Roth, Beyreiss, Schlenzka, Bezer. Comcidence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 and atopic disorders in children : empirical findings and hypothetical background. J abnormal Child Psychology. 1991;19:1-13. https://doi.org/10.1007/BF00910561
  20. 김영근, 김병수, 이승철, 윤성필, 이주흥.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생활 환경 및 생활습관에 대한 연구. 대한피부과학회지. 1999;37(8):983-91.
  21. Dr Joanne Clough. 알레르기. 서울:아카데미아. 2005:15-21.
  22. Behrman RE. Allergic disorders:Bralow L.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4th ed. Philadelphia:W.B. Saunders Company. 1992:570-6.
  23. Barnetson RSC, Fogers M. Childbood atopic eczema. BMJ. 2002;324:1376-9. https://doi.org/10.1136/bmj.324.7350.1376
  24. Sears MR. Epidemiology of childhood asthma. Lancet. 1997;350:1015-20. https://doi.org/10.1016/S0140-6736(97)01468-2
  25. 오재원, 김규언, 편복양, 이혜란, 정지태, 홍수종, 박강서, 이수영, 송상욱, 김철홍, 안강모, 남승연. 1995년과 2000년의 학동기와 2003년 학동전기 소아에서의 아토피피부염의 역학적 변화에 관한 전국적인 연구.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2003;13(4):227-37.
  26. 신유경, 김명희, 정자용. 성남시 소재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아토피 피부염 환자군과 대조군의 식생활 비교.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08;23(5):655-61.
  27. 안홍석, 이선민, 이민영, 정지태. 소아 알레르기 환자의 현황 파악 및 섭식상태에 관한 연구.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1999;9(1):79-92.
  28. 손기영, 박광식, 황현희, 윤봉식, 이수진, 김명아, 박재용, 김규언, 장광천. 2005년 경기도 일산 지역 초등학생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률 및 환경변화에 따른 증상 변화.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2007; 17(4):384-93.
  29. 이연호. 남자 중학생의 라면 섭취 실태와 혈중 지질 농도간의 상관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0. St-Onge MP, Keller Kl, Heymsfield SB. Changes in childhood food consumption patterns. Am J Clin Nutr. 2003;78:1068-73.
  31. 이성숙. 초등학교 아동의 패스트 푸드 이용 실태 조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002;15(4):121-36.
  32. 박주원. 한국인의 연령․성별에 따른 식사 양상 비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3. 이효지, 김연수, 정낙원. 아동의 식습관과 기호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1990;6(2):105-19.
  34. 장남수. 한국인의 아침 식사 실태.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1997;3(2):216-22.
  35. 김숙희. 아침식사의 규칙성이 영양소 섭취와 학업성취도, 체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1999;5(2):215-24.
  36. 오원옥. 중학교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실태 및 중독 관련 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005;9(1):33-49.
  37. 송원임. 컴퓨터게임 문화가 초등학생의 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8. 이희숙, 백정자.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식습관과 성격특성과의 관계연구. 한국실과 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2;243-61.
  39. 조성연. 부모양육방식과 태도 및 부모와의 대화시간에 따른 청소년 인터넷 사용시간. 청소년복지연구. 2003;5(2):47-59.
  40. 김경민. 초등학생의 컴퓨터 게임 이용, 컴퓨터 게임중독 및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1. 조병희.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서울:집문당. 2006:167-78.
  42. 사라네틀턴.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4판. 서울:한울. 2007:2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