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소년의 간식을 통한 첨가당섭취량 및 고당류식품 관련 이벤트 데이 참여행동에 대한 조사

A Survey on Added Sugar Intakes from Snacks and Participation Behaviors of Special Event Days Sharing Sweet Foods among Adolescents in Korea

  • 김현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김선효 (공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외식상품학과)
  • Kim, Hyun-Ju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Hyo (Depart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and Nutrition, College of Natur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9.03.31

초록

본 연구는 간식 중의 첨가당 함량에 관한 자체 DB를 제작해 청소년의 간식을 통한 1일 첨가당섭취량을 파악하고, 고당류식품 섭취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고당류식품 관련 이벤트 데이에 대한 청소년의 참여행동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문조사, 식사조사, 간식조사가 실시되었는데, 설문 조사대상자는 전국의 읍 면, 중소도시, 대도시에 소재한 일반계 및 실업계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2{\sim}18$세의 남녀 학생 959명, 식사조사 대상자는 공주시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71명, 간식조사 대상자은 공주시와 서울시에 소재한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간식조사, 식사조사 간에 대상자는 서로 중복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조사대상자는 평소 간식으로 빵/패스트푸드를 가장 즐겨 먹으며, 그 다음이 과자류, 우유 및 발효유의 순이었다. 중학생은 고등학생에 비해 우유 및 발효유를 선호하며, 고등학생은 중학생보다 빵/패스트푸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01). 간식 섭취 빈도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일주일에 $3{\sim}6$번이 가장 많으며, 그 다음이 하루에 1번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은 고등학생보다 간식 섭취 빈도가 낮은 경향이었다 (p < 0.05). 간식 섭취 시간은 중학생은 고등학생보다 점심${\sim}$저녁식사 사이에 섭취하는 경우가 많으며, 고등학생은 중학생보다 오전시간 및 밤 9시${\sim}$잠자기 전에 섭취하는 경우가 많았다 (p < 0.001). 2) 조사대상자의 1일 평균 에너지섭취량 및 대부분의 비타민과 무기질섭취량은 이들의 성별과 연령에 대한 KDRI를 충족시키는 수준이어서 양호하였다. 그러나 엽산과 칼슘의 1일 평균 섭취량은 남중생과 여중생 모두 KDRI의 1/2 수준이어서 불량하였다. 1일 평균 나트륨섭취량은 남중생의 경우 KDRI의 300%, 여중생은 240%으로 과다 섭취하였다. 3) 이벤트 데이가 주는 장점에 대해‘우리들만의 행사를 즐기는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친구와 어울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관한 응답은 중 고생간에 차이가 있었다 (p < 0.01). 이벤트 데이에 선물을 주는 대상자로‘학교 친구'가 가장 많으며, 그 다음이‘이성 친구',‘부모' 등의 순이었다. 중학생은 고등학생에 비해‘학교 친구'에게 선물을 주는 비율이 높으며,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이성 친구'에게 선물을 주는 비율이 높았다 (p < 0.001). 이벤트 데이를 위해 고당류식품을 구입할 때 식품표시와 식품포장상태를 확인을 하지 않는 비율 (61.6%)이 높으며, 이 점에 관해 중 고생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이벤트 데이를 준비하기 위해 조사대상자가 고당류식품을 구입할 때 선택 기준을‘예쁜 모양'에 두는 비율이 높으며, 그 다음이‘맛',‘가격'의 순이었다. 이점에서 중학생은 고등학생에 비해‘가격'을 중시하며,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예쁜 모양'을 중시하였다 (p < 0.01). 4) 이벤트 데이에 주고받는 선물로는 사탕, 초콜렛, 빼빼로, 엿 등이 있으며, 친구 생일 (68.4%)과 빼빼로데이 (61.5%)에 참여한 비율이 높았다. 중학생은 고등학생보다 빼빼로데이, 발렌타인데이, 화이트데이에 더 참여하였으며,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수능이나 학교 정기시험과 같은 큰 시험일에 더 참여하였다. 5) 간식 종류별 1일 첨가당 섭취 비율을 보면 중 고생 모두 /과자, 비스킷, 빵류, 케이크/으로 부터 첨가당을 많이 섭취하며, 그 다음이 음료수, /양갱, 쵸코렛, 캔디/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을 통한 1일 평균 총첨가당섭취량은 중학생 $30.5{\pm}23.5g/d$ ($3.0{\sim}137.9\;g/d$), 고등학생 $31.7{\pm}23.2g/d$ ($1.2g{\sim}126.1g/d$)으로 나타나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간식 종류별 1일 첨가당섭취량은 대부분의 간식에서 중 고생간에 차이가 없으나, 요구르트에 의한 것은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았다 (p < 0.05). 간식에 의한 1일 첨가당 에너지 비율은 중학생 $0.6{\sim}26.1%$ (평균 $6.3{\pm}4.7%$), 고등학생 $0.3{\sim}23.9%$ (평균 $6.3{\pm}4.4%$)로 나타났다. WHO/FAO에서 정한 1일 첨가당 에너지 비율인 10%를 초과한 대상자는 중학생 17.8%, 고등학생 20.9%로 나타나,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간식을 통한 총첨가당 섭취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이상에서 우리나라 청소년들 사이에 고당류식품을 주고 받는 각종 이벤트 문화가 이미 자리 잡았고 간식으로 맛이 달은 식품이 자주 섭취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 구입시 영양소 함량 등의 내용면보다는 모양이나 포장과 같은 외형이 중시되고 있는 경향 등에 의해,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당류를 과다 섭취할 수 있는 식생활 환경에 노출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실제로 본 연구에서 일부 청소년의 경우 간식만으로도 1일 첨가당 에너지 비율이 WHO/FAO의 상한선인 10% 이상을 초과하고 있어 청소년의 고당류섭취 현상을 확인해주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고당류 섭취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인식과 함께 당류 섭취 저감화를 위한 영양정책 수립 및 영양교육 실시 등의 실효성 있는 지원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dded sugar intakes from processed food-snacks and participation behaviors of special event days sharing sweet foods among adolescents in Korea. Questionnaire survey (n = 959), dietary survey (n = 71) by food record method for 3 days, and snack survey (n = 230) for 3 days were carried out, and subjects were overlapped among three surveys. As a result, middle school students (MS) preferred milks and fermented milks while high school students (HS) preferred breads and fast foods as a snack (p < 0.01). MS and HS took snacks three to six times a week, and HS took snacks more frequently than MS (p < 0.05). Most subjects participated in special event days sharing sweet foods such as friend's birthday (68.4%), Peppro's day (61.5%) and Valentine's day (42.6%). As for merits of these events, MS said ‘they could get along with their friends' and ‘relieve stress', while HS said ‘they could enjoy their own events' and ‘confess their affection to whom they like' (p < 0.01). A group of cookies, biscuits, breads and, cakes was major source of added sugars followed by beverages, sweet jellies of red bean, chocolates and candies for subjects. For MS and HS, daily total added sugar intakes from whole processed food-snacks were $30.5{\pm}23.5g/d$ (3.0-137.9 g/d) and $31.7{\pm}23.2g/d$ (1.2-126.1 g/d), and ratios of daily total energy taken from added sugars of whole processed food-snacks in proportion to daily total energy taken from diet (energy percent of added sugars from snacks) were $6.3{\pm}4.7%$ (0.6-26.1%) and $6.3{\pm}4.4%$ (0.3-23.9%),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subjects frequently participated in special event days sharing sweet foods. In addition, energy percent of added sugars from snacks was more than the UL suggested by WHO/FAO for some subjects. Therefore, it is highly critical to monitor adolescents' sugar intakes on a long-term basis and to take nutritional management on their high sugar intakes.

키워드

참고문헌

  1. Lee YS, Lim HS, Ahn HS, Chang NS.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Seoul: Kyomoonsa; 2007. p.275-307
  2. Choi SK, Choi HJ, Chang NS, Cho SH, Choi YS, Park HK, Joung HJ. Snacking behavio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8; 13(2): 199-206
  3. Kim SH, Lee OH, Lee HS, Joe JY. Nutrition and Exercise. Seoul:Powerbook; 2007. p.43-73
  4. Cho SH, Chung CE, Kim SH, Chung HK. Establishment of total sugar reference value for Koreans. Korean J Nutr 2007; 40(Suppl):3-8
  5. Chung CE. Dietary intakes and food sources of total sugars from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02. Korean J Nutr 2007; 40(Suppl): 9-21
  6. Block G, Dresser CM, Hartman AM, Carroll MD. Nutrient sources in the American diet: quantitative data from the NHANES II survey. I. Vitamins and minerals. Am J Epidemiol 1985; 122(1):13-26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4072
  7. Block G, Dresser CM, Hartman AM, Carroll MD. Nutrient sources in the American diet: quantitative data from the NHANES II survey. II. Macronutrients and fats. Am J Epidemiol 1985; 122(1): 27-40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4084
  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ood Composition Table, 7th edition, Seoul; 2006
  9.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Food Supply Table, Seoul; 2006
  10. Kim SH, Chung HK. Sugar supply and intake of Koreans. Korean J Nutr 2007; 40(Suppl): 22-28
  11.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Food Supply Table, Seoul; 1962-1990
  12. Anonymous.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A report of the WHO study group on diet, nutrition and prevention of noncommunicable diseases. Nutr Rev 1991; 49(10): 291-301 https://doi.org/10.1111/j.1753-4887.1991.tb07370.x
  13.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5 Report on Statistical Analysis of Education. Seoul; 2005
  14. Yi NY, Kwak TK, Lee KE. Food habits and nutrient intakes by self-reported food consump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Gyeongnam area. Korean J Food Culture 2006; 21(5): 473-480
  15. Han SS, Kim HY, Kim WK, Oh SY, Won HS, Lee HS, Jang YA, Kim SH. The relationships among household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 statu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Nutr 1999; 32(6): 691-704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2005
  17. Kim SH, Lee SH, Hwang YJ, Kim WY. Exposure assessment of vitamins and minerals from various sources of Koreans. Korean J Nutr 2006; 39(6): 539-548
  18. Park SS. Sugar intake and dietary behavior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school lunch program 'master thesis'. Cheonan: Hoseo University; 1994
  19. Han JH, Kim SH. Vitamin·mineral supplement use and related variables by Korean adolescents. Korean J Nutr 1999; 32(3): 268-276
  20. Yang JK, Kim SH. Patterns of fortified food use among teenagers in Chungnam province and Daejeon city i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2004; 19(4): 447-459
  2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005
  2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Database of Sugar Content, Seoul; 2006
  23. Korea Consumer Agency. A survey on safety of beverage and fermented milks of kids, Seoul; 2006
  2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ood Composition Table, 6th ed., Seoul; 2001
  25. Lee YM, Han MS. Nutritional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in Sungnam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996; 11(3): 305-316
  26. www. kfda.go.kr
  27. Song YM. Snacking pattern and it’s related factors especially with smoking behaviour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 & Daejeon area 'master thesis'.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7
  28. Chung HK, Park SK. The Effect of sugar intake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of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1995; 28(7): 644-652

피인용 문헌

  1. Use of School Tuck-shop and Desire for Healthy Tuck-shop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Snack Frequency vol.22, pp.5, 2013, https://doi.org/10.5934/kjhe.2013.22.5.507
  2. Dietary sugar intake and dietary behaviors in Korea: a pooled study of 2,599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9-14 years vol.10, pp.5, 2016, https://doi.org/10.4162/nrp.2016.10.5.537
  3. Sugar contents of ready-to-eat foods distributed at major amusement parks in Korea and their substitution with artificial sweeteners vol.121, pp.8, 2009, https://doi.org/10.1108/bfj-01-2019-0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