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st Items for Students' Spatial Ability

중학교 학생의 공간능력을 위한 학습자료와 문항개발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instruments including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st items for enhancing spatial ability. A mixed methodology was chose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o find students' achievement, 5 units of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developed through the qualitative method and test items were tested through the quantitative method with 152 of the 8th-graders. The strategies to develop the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firstly to focus on mathematics properties for developing spacial ability; secondly, to allow students to follow hierarchical procedure o[ mathematical properties from 2-d to 3-d; thirdly, to recognize what the manipulative can do and can not; and fourthly, to guide students tn develop the process oriented thought, not the result oriented thought. For the test, 25 items were analyzed to assess students' achievement using validity, difficulty, and discriminator.

공간능력 향상을 꾀하는 학교현장에서 도구로써 사용할 수 있는 교구의 효과를 파악하는 것은 현장의 수업을 안내하기 위해 필요하다. 학생의 공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의 구성을 위해 우선 학습 자료와 검사지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공간능력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구를 활용하는 5차시의 귀납적 수입모형과 공간능력의 하위요소인 공간시각화와 공간방향화에 각각 10문항, 15문항으로 모두 25문항의 검사지가 고안되었다.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교에서 중간고사 성적이 동질집단인 4개 반 15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평가문항에 대한 난이도, 변별도, 신뢰도가 조사되었고, 개발된 학습자료의 수정과 보완이 이루어졌다. 차후 공간능력을 다루는 후속연구소에서 그들의 연구목적에 따라 한층 수정 보완된 문항개발이 더욱 다양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