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고대신화를 모티브로 하는 키비주얼제작 연구

A Study on Producing Key Visuals Which are Motivated by the Ancient Myth of Goguryeo

  • 한명희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디지털영상제작) ;
  • 강태완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신문방송) ;
  • 김치용 (동의대학교 영상정보대학 영상정보공학과)
  • 투고 : 2009.02.12
  • 심사 : 2009.03.31
  • 발행 : 2009.06.30

초록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의 원형을 복원하고 이를 기반으로 콘텐츠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있어 가장 실질적인 문제점이 키비주얼에 대한 인식 및 키비주얼제작이 이루어지 안는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고대 판타지를 소재로 한 독창적인 원형소재를 시각화함에 있어, 실제 콘텐츠 제작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고려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시각화를 통한 키비주얼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높은 고구려 고대 신화와 설화를 대상으로 판타지 요소를 시각화하기 위한 문헌과 고증자료들을 바탕으로 원형의 이미지를 시각화하는 프로세스를 제작과 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The paper starts off with a notion that the most realistic problem in restoring cultural contents' archetype and developing contents industry based on it is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about key visual. Thus, with the premise that, in visualizing ancient fantasy as an original archetype subject material, one has to take into account design process for an actual content production, the paper aims for the suggestion of the necessity of key visual through visualization. For this, the paper made an artwork of archetype image based on literature and historical data with which to visualize fantasy elements of Goguryeo's ancient myth and tales that have high utilization value as various subject matters, such as animation and games.

키워드

참고문헌

  1. 문화콘텐츠닷컴(http://www.culturecontent.com)
  2. 다음문화원형(http://culturedic.daum.net)
  3. 2008. 04. 28 생활, 문화 / 한국경제
  4. 고대국가의 건국설화 이야기 (http://sulhwa.culturecontent.com)
  5. 2006. 05. 01 MBC '주몽' 역사고증 논란 후끈 / 스포츠서울
  6.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사업 성과와 비전, 2006, p. 139
  7. 주진오, 우리콘텐츠의 미래, '문화원형'에서 찾는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사업 성과와 비전, 2006, pp. 101-111.
  8. 심상민,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의 산업적 활용 방안을 위한 기초 연구, 인문콘텐츠 제5호, 2005, p.57.
  9. 배영동, 문화콘텐츠화 사업에서 '문화원형' 개념의 함의와 한계, 인문콘텐츠 제6호, 2005
  10. 송성욱, 문화콘텐츠 창작소재와 문화원형, 인문콘텐츠 제6호, 2005, p. 87.
  11. 최창원, 광고 크리에이티브에 있어서 카피라이터와 그래픽 디자이너의 키 비주얼 발상 차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pp. 16-17.
  12. 김광욱, 문화콘텐츠 창작소재화의 문제점과 대안, 한국고전연구 14집, 2006, p. 361.
  13. 박정희, 문화원형 콘텐츠 비즈니스 활용 연구: 고구려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p. 20.
  14. 두산백과사전(www.encyber.com)
  15. 김미자,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본 고구려 복식에 관한 연구, 고구려연구회, 1997
  16. 한국의 고유복식 (http://costumekorea.culturecontent.com)
  17. 대천화랑 한국미술 자료실(http://www.daechonnet.co.kr)
  18.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19. 이광표, 사진으로 보는 북한의 문화유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20. 집안현문물지, p.61-62
  21.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22. 천석근 안악 제3호 무덤벽화의 복식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1996-3
  23. 전호태 분류, 고구려 고분벽화연구, 사계절, 2000. pp.417-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