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ngshui's Interaction with Buddhism in Korea

한국에서 전개된 풍수와 불교의 교섭

  • Choi, Won-Suk (Gyeongnam Cultural Research Institut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최원석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인문한국)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In Korean history, Fengshui and Buddhism were closely connected in a harmonious and interrelated manner, together influencing the location and function of Buddhist temples, the forming of social and spatial ideologies, the spread of Fengshui, the development of Buddhist Bibo-Fengshui, ete. The interaction between Fengshui and Buddhism, which began after the introduction of Zen Buddhism in the late-Silla period, acted as a spatial ideology that empowered the powerful local gentries to trigger a social upheaval in the late-Silla period and was used by the government leaders for political purposes throughout the Goryeo period. In the Joseon period, the link between Buddhism and Fengshui weakened and was felt only at a grass-roots level.

이 연구는 한국에서 풍수와 불교의 교섭이 언제 시작되었고 정치주도세력에 의해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그 결과 사회 및 풍수와 불교 상호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구한 글이다. 역사상에서 풍수와 불교는 융합적인 문화형태로 교섭되어 사찰의 입지 및 기능, 사회 공간적 이데올로기의 형성, 풍수의 도입 및 확산, 비보사탑설의 전개 등에서 영향을 주었다. 풍수와 불교는 신라 하대에 선종의 전래를 계기로 본격적인 교섭을 시작하였고, 나말려초에는 사회변혁을 이끄는 공간적 이데올로기로 기능하였으며, 고려시대를 걸쳐서는 왕권의 중앙집중 및 지방의 효율적인 통어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이념적 장치로 적극 활용되었다. 조선시대에 와서 정치지배권에서의 불교와 풍수의 교섭은 쇠퇴되고 민간부문에서만 미약하게 유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익진, 1985, 한국고대불교사상사, 동국대출판부, 서울
  2. 서윤길, 1994, 한국밀교사상사 연구, 불광출판사, 서울
  3. 이몽일, 1991, 한국풍수사상사연구, 日馹社, 대구
  4. 조성호.성동환, 2000, '신라말 구산선문 사찰의 입지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6, 53-81
  5. 최병헌, 1975, '도선의 생애와 나말려초의 풍수지리설,' 한국사연구, 11, 101-146
  6. 최원석, 2003, '裨補에 관한 문화지리학적 고찰,' 문화역사지리, 15(1), 77-98
  7. 최원석, 2004, '사찰입지 선정의 역사적 경향과 비보사찰,' 불교문화연구, 4, 201-220
  8. 최원석, 2004, 한국의 풍수와 비보, 민속원, 서울
  9. 한기문, 2006, '高麗時代裨補寺社의 成立과 運用,' 한국중세사연구, 21, 255-292
  10. 高麗史, 鄭麟趾等撰, 國立中央圖書館(2002)
  11. 白鷄山玉龍寺贈諡先覺國師碑銘竝序, 崔惟淸, 東文選(1478)
  12. 三國遺事, 一然, 國立中央圖書館(2005)
  13. 成宗實錄, 實錄廳編, 國史編纂委員會(1959).
  14. 有唐新羅國初月山大嵩福寺碑銘竝序, 崔致遠, 海雲碑銘註 (1881)
  15. 鄭鑑錄集成, 아세아문화사 영인본(1973)
  16. 渡邊欣雄, 2006,' 일본풍수사: 과학과 점술의 역사,'동아시아의 풍수, 국립민속박물관 국제학술심포지움자료집 별쇄본
  17. 西村惠信, 2006,' 일본 간화선의 전통과 변용,' 보조사상, 25, 105-152
  18. 高友謙, 1992, 中國風水, 中國華僑出版公司
  19. 劉沛林, 1995, 風水-中國人的環境觀, 上海三聯書店
  20. 何曉昕.羅雋, 1995, ‘風水史’, 上海文藝出版社
  21. Hong-key Yoon, 2006, The Culture of Fengshui in Korea, Lexington Books,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