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이하 심평원)에서 전산화되어 관리되는 보험대상 환자들의 진료기록을 이용하여 턱관절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로 인해 병원을 찾고 있는 환자의 유병률과 진료양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심평원 전산시스템에 등록된 국내 보험대상 환자 중 2003년, 2004년, 2005년의 3년에 걸친 환자 자료를 사용하여 턱관절장애 (K07.6)를 주상병으로 하여 진단과 치료를 받은 환자에 대하여 성별 및 연령별 진료인원, 지역별 진료인원, 요양기관종별 진료인원, 치료기간 및 진료건수, 진료과목별 진료건수와 평균치료기간, 진료과목별 1인당 소요비용, 원외처방 치료약제 약효분류코드(효능군)별 연간 투약일수, 외과적 수술 실시 횟수 등을 분석조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TMD로 인해 병원을 찾는 평균 환자수는 전체인구의 0.15%이었으며, 3년간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 중 99.8%가 여자였고, 20대의 유병률이 가장 높고 연령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3년간의 변화추이를 볼 때 20대의 유병률은 감소하고 40대 이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16개 시도별 분포에서는 인구가 많은 서울, 경기 지역의 환자수가 많았고, 매년 전체 환자수가 증가하면서 각 지역별로 유사한 비율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부산과 대구에서는 감소세가 뚜렷하였고 울산, 경기, 전남의 증가세가 관찰되었다. 의료기관별로 내원한 환자 수는 치과를 포함한 일차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진료한 경우가 평균 56.8%로 전체의 과반수를 차지하였고 TMD와 관련한 입원건수는 치과 입원(86.6%)이 의과전체(13.4%) 보다 훨씬 많았다. 외래내원건수에서는 치과가 전체 건수의 38.4%로서 가장 많았으며, 정형외과(28%), 이비인후과(13.6%)의 순서였다. 약물치료에서는 해열소염진통제가 가장 빈번하게 투여되었고 정신신경용제, 골격근이완제의 순서였다. 심평원의 자료는 TMD때문에 병원을 찾는 환자들의 역학적 특성과 진료양태에 대한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진료실에서 정확한 진단과 표준화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가 함께 이루어질 때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While previous epidemiological studies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 have been based on a given health center or population sample, no study has been performed on general population of Korea, especially concerning about treatment pattern such as clinician’s specialty involved in TMD treatment, types and amount of prescription medication and cos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magnitude of health visits and treatment patterns for Korean patients with TMD through the computerized database of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IRAS). Inclusion criteria were all patients registered on the HIRAS database over 3 years' period from 2003 to 2005 an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TMD as a main diagnosis were extracted. Information collected was as follows; distribution related to gender, age and region and type of hospital the patients visited, treatment duration, clinicians' specialty involved in treatment, cost, types of prescription medication and surgical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0.15% of the population yearly sought TMD treatment, presenting with increase of incidence over the three years. Most of TMD patients were women (99.8%) and the biggest age group was second and third decades and decreased with age. Seoul and Kyeonggi province presented with higher incidence of TMD compared to the other regions of Korea, which seems to be related with magnitude of population. 56% of TMD patients visited primary care sector and the numbers of treatment visits was the highest in dental clinic (38.4%), followed by orthopedics (28%) and ENT (13.6%) clinics in order. Duration of prescription medication was the longest for anti-inflammatory analgesics, followed by antipsychotic drugs and muscle relaxants. Inpatient care related to TMD was primarily performed in dental hospital compared to medical hospital. Medical database of HIRAS provided comprehensive and vast information on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patterns for patients seeking TMD treatment, which can be more reliable data to expect medical demand for TMD in condition that accurate diagnosis and standardized treatment is delivered in clinical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