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between Space Law and the Law of the Sea

우주법과 해양법의 비교 연구

  • Received : 2009.11.27
  • Accepted : 2009.12.21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Space law(or outer space law) and the law of the sea are branches of international law dealing with activities in geographical ares which do not or do only in part come under national sovereignty. Legal rules pertaining to the outer space and sea began to develop once activities emerged in those areas: amongst others, activities dealing with transportation, research, exploration, defense and exploitation. Naturally the law of the sea developed first, followed, early in the twentieth century, by air law, and later in the century by space law. Obviously the law of the sea, of the air and of outer space influence each other. Ideas have been borrowed from one field and applied to another. This article examines some analog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outer space law and the law of the sea,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gal status, the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As far as the comparisons of the legal status between the outer space and high seas are concerned the two areas are res extra commercium. The latter is res extra commercium based on both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nd treaty, however, the former is different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ustomary law and treaty. Under international customary law, whilst outer space constitutes res extra commercium, celestial bodies are res nullius. However as among contracting States of the 1967 Outer Space Treaty, both outer space and celestial bodies are declared res extra commercium. As for the comparisons of the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f natural resources between the Moon including other celestial bodies in 1979 Moon Agreement and the deep sea bed in the 1982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the both areas are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The latter gives us very systematic models such as 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 however, the international regime for the former will be established as the exploit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of the celestial bodies other than the Earth is about to become feasible. Thus Moon Agreement could not impose a moratorium, but would merely permit orderly attempts to establish that such exploitation was in fact feasible and practicable, by allowing experimental beginnings and thereafter pilot operations. As Professor Carl Christol said until the parties of the Moon Agreement were able to put into operation the legal regime for the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they would remain free to disregard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principle. Parties to one or both of the agreements would retain jurisdiction over national space activities. In so far as the comparisons of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between the outer space and sea is concerned the legal instruments for the latter are more systematically developed than the former.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re are growing tendencies of concerning the environmental threats arising from space activities these days. There is no separate legal instrument to deal with those problems.

우주법과 해양법은 모두 국제법에 속하며 주권에 종속되거나 종속되지 않는 지리적 분야를 다루는 학문이다. 이 두 분야는 운송, 과학탐사. 자원개발, 국가방위와 관련되어 발달해 왔다. 우선 20세기 초반에 해양법이 먼저 발달하고 그 다음 20세기 후반에 항공법과 우주법이 발달되었다. 이 논문은 우주법과 해양법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관하여 비교법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특히 여러 비교적 요소 중에서 법적 지위와 자원탐사와 개발 그리고 환경적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첫째, 우주와 해양의 법적 지위를 비교하면 두 영역 모두 비전유원칙을 선언하고 있는데, 우주법에서 보면 우주를 마치 공해(公海)와 같이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하여 사용 수익이 가능하나 점유할 수 없다는 원칙을 내포하는 국제법상 '국제공역'(國際公域, res extra commercium)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1967년 우주조약은 동 조약 이전의 국제관습법 상 외기권 우주를 국제공역으로 보고 천체를 무주지(res nullius)의 상태로 보아왔던 입장을 우주와 천체 전부를 국제공역화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둘째, 두 영역의 자원의 탐사 및 개발의 측면에서 비교하면 1979년 달조약과 1982년 해양법협약의 심해저개발을 비교할 수 있다. 이 두 영역은 조약상 인류공동유산으로 선언되었는데, 1979년 달조약 제11조에 명시된 '달의 천연자원의 개발이 가능해질'(exploit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of the Moon is about to become feasible)시기에 국제제도를 수립해야 한다는 규정은 국제제도의 수립 전에는 자원개발을 금지하는 것을 의미하는가? 해양법에서 1982년 해양법협약이 제정되기 전 심해저자원과 해상(海床)의 자원개발을 금지하는 '개발유예'(moratorium)에 관한 UN총회의 결의 2574가 채택 되어 심해저의 국제제도가 조약으로 확정되기 까지는 심해저 자원의 탐사 및 개발을 금지시켜야 한다는 선언을 한 것과 비교한다면 달조약도 그러한가? 달 조약의 제정과정을 살펴보면 국제제도의 수립 전에 달과 다른 천체의 천연자원에 대한 개발유예는 예정되지 않았다고 해석해야 된다. 그러나 이것은 그와 같은 개발에 어떠한 제한이나 한계가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달과 다른 천체는 인류공동유산영역이므로 모든 개발가는 그들이 인류공동유산인 천연자원을 개발하고 있음을 명심할 것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환경보호에 관한 두 영역의 접근법을 살펴보면 해양의 경우 환경보전을 위한 법제정이 활발한 반면 우주의 경우는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는 점을 발견하게 된다. 우주환경을 다루는 법문서는 아직 제정되지 못한것이 현실이다. 결론적으로 이 두 영역의 비교법적 접근법이 주는 의미는 두 영역이 서로 같지는 않지만 유사한 면도 발견되고, 그 연구방법이 유사하므로 먼저 발달한 해양법 모델을 통해서 우주법의 발전가능성을 진단해 보고 상호 보완적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