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cept of Records-Archives and on the Definition of Archival Terms

기록물의 개념과 용어의 정의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9.07.30

Abstract

It has passed ten years since modern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our country launched. During times, it has dramatically developed in the fields of law, institution and education. However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records and archives was non be studied enough compared to development of various research fields. In fact the reason why study on the definition was non fulfilled is that some aspects such as historical, informational, archival perspective have been coexisting without order in Korea. This situation is the biggest barrier that archival science is to a disciplinary field. Historically, 'archivium' in Latin language had developed in starting of its means place, then whole entity of documents and those organic relations. In this point, archives is rigidly separate to material of Historical science which covers all of recorded. Unlike information which is produced in the process of intended themes and following its outputs like books, documents in archival science is made in the natural process of work. In addition, historical archives which finished the current and semi-current stage and transfer to the institute of permanent conservation after the process of selection so that it i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to satisfy its purpose of making. This changed trend is based on the Second World War and necessity of North American society which needs to effciency and transparency of work. In Korea,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has been dominantly affected by North American society and become a subject of not arrangement but of classification, not of transferring but of collection. It is also recognized as management of on formation on the all recorded or documents not as an whole documents and all organic relations. But the original type of recognition is the only technology, it cannot have dignity as a field of science.

올해로 한국의 기록물관리는 10년을 맞이한다. 그 동안 법, 제도 그리고 교육의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발전이 있었다. 하지만 빠른 성장의 과정에서 부족한 점도 없지 않았던 것이 사실인데, 그 중에서 가장 근본적인 것은 기록물의 개념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사실 개념에 대한 불충분한 연구는 한국의 경우 기록물에 대한 역사학적 관점, 정보학적 관점 그리고 기록물관리학적인 관점의 무질서한 공존을 초래하였으며 기록물관리가 학문의 한 영역으로 성립하는데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archivium'은 기록물관리를 위한 장소를 가리켰으나 오늘날에는 '문서들 전체'와 문서들 내부에 형성된 '유기적 관계들의 전체'를 나타내는 의미로 발전하였다. 특히 후자의 의미와 관련하여 기록물은 기록된 모든 것을 연구대상으로 간주하는 역사학의 사료와 구분되며 구체적인 의도(주제)에 따라 인위적으로 생산된 도서들이 제공하는 정보와는 달리 자연스러운 업무의 과정에서 생산된다. 뿐만 아니라 기록물은 현용, 준현용의 단계가 마감되고 영구보존 및 활용을 위해 선별되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 이관된, 즉 생산목적에 근거하는 역사, 문화적 가치가 지배적인 문서들을 의미한다. 하지만 오늘날 기록물관리는 역사기록물(archives)이외에도 현용, 준현용 단계의 문서들도 관리대상에 포함한다. 이러한 변화는 제 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업무행정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위한 북미 Records management의 전통에 근거한다. 우리나라의 기록물관리는 지난 원년부터 북미 기록물관리 전통의 지배적인 영향을 받았다. 그러기에 기록물관리는 정보학의 과도한 영향 하에서 정리보다는 분류의 대상으로, 이관보다는 수집의 대상으로 그리고 문서들 전체로서의 기록물보다는 기록된 모든 것(기록) 또는 문서들이 제공하는 정보들의 관리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으로는 기록물관리가 모든 매체에 기록된 모든 유형의 정보를 관리하는 기술(技術)일 뿐, 학문으로서의 위엄(dignity)과 관리의 효율성을 전혀 보장하지 못한다.

Keywords

Cited by

  1. 역사학과 기록학 학문의 인연, 학제의 괴리 vol.54, pp.None, 2009, https://doi.org/10.20923/kjas.2017.54.179
  2. 지역 음식문화의 기록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광명시 자연마을을 중심으로 vol.60, pp.None, 2009, https://doi.org/10.20923/kjas.2019.60.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