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ison of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Gifted and the General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 Focus on Modern 'Hyo' Concept Behavioral Factors -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정의적 특성 비교 - 현대적 효 개념의 행동 요인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in modern 'Hyo' concepts and behaviors between the gifted and the general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two groups(the gifted and the general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were compared, in grade, birth-order, family members, education and religion factors in family, to seek for a better way to teach the Korean gifted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ifted had higher 'Hyo' concepts than the general students, because developments of the gifted in the field of intellect, emotion and will are faster than the general. The gifted had many interests in values and moral decisions.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gifted group. But in the general group, girls have higher 'Hyo' concepts than boys. This is because girls emotional developments are faster than boys. Second, in the gifted group, 5th graders have higher 'Hyo' concepts than 6th graders. On the other hand, in the general group,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5th graders and 6th graders. 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gifted/general) by birth-order, family members and having religions or not. However, the comparison between nuclear families and large families shows that Korean traditional ethics - 'Hyo' is still in existence as a basic concept in the family, in spite of the changing family size and unit. In addition, in the family with a religion, the' Hyo' concept is revealed stronger than the other group. This is caused by the power of commanding love and affection which are emphasized through relig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gifted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have high consciousness concerning 'Hyo' concepts and behaviors. It is very essential for them to improve their 'Hyo' concepts until adulthood. Therefore, teachers and parent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help them improve their senses of Korean traditional morality - 'Hyo'.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정의적 특성 중 현대적 효 개념의 행동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효 행동 요인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학년별 출생 순위별 가족 구성 가정교육 종교의 유무에 의한 변인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영재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초등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효 행동에 대한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영재의 지적 정의적 발달과정이 일반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가치준거와 도덕적 문제에 관심이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일반학생 내에서 여학생의 효 행동에 대한 의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여학생의 정서적 발달이 남학생보다 빠르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학년별로 영재학생 내에서 5학년이 6학년보다 효행동에 대한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년이 낮을수록 효 행동에 대한 의식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어릴 때부터의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가족 구성에서 핵가족을 이룬 집단이 확대가족을 이룬 집단보다 평균간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핵가족화로의 가족 구성이 변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정을 이루는 전통 윤리인 효 행동에 대한 의식을 꾸준히 생활화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종교의 유무에서도 종교가 있는 집단이 종교가 있는 집단보다 평균같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종교가 강조하는 사랑 자애 등의 종교적 특성 이 표 행동에 대한 의식을 강화시킨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초등 영재학생이 정의적 특성 중 우리나라의 전통윤리인 효 행동에 대한 의식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의식이 초등학교에서만 높은 것이 아니라 상급학교에서도 높은 의식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G.A. Davis & S.B. Rimm 저 송인섭 외 4명 번역 (2001). 영재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학문사
  2. G.A. Davis & S.B. Rimm 저 이정화외 2 명 번역 (2005). 영재교육. 서울: 박문사
  3. James T. Webb, phD. 외 2 명 저 지형범 번역 (2006). 영재교육백서. 서울: 두드림
  4.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5. 윤성범 (1989). 현대와 효도. 서울: 을유문화사
  6. 한태원 (1990). 한국의 효와 효행. 서울: 남도
  7. 김종률 (1981). 조선조의 왕세자 교육제도에 관한 일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왼
  8. 박미옥 (2006).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정의적 특성비교. 석사학위논문.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9. 박종화 (2005). 예술영재와 과학영재의 학습 및 가족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10. 오세연 (2003). 초등학교 학생의 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교육대학원
  11. 이수경 (2007). 초등학교 영재 판별올 위한 다중지능적 접근의 타당도 연구. 석사학 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2. 이순배 (2008). 전북지역 초등학생들의 효 의식과 효행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3. 이의섭 (2002). 전통 효사상의 현대적 고찰.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14. 임동근 (1983). 한국 효에 대한 이론적 고찰.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5. 조원경 (2004). 초등학생의 효 생활화를 위한 교육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6. 허일부 (2007). 초등학교 수학영재와 과학영재의 특성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7. Clark, B. (2001). Growing up gifted(6th ed.). Upper Saddle River, MJ : Merrill/Prentice Hall
  18. Cohen, L. M. & Kim, Y. H. (1999). Piaget's equilibration theory and the young gifted child : A balancing act. Roeper Review
  19. Gagne, F. (1991). Toward a differentiated model of giftedness and talent, In colangelo N, & Davis, G. A.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Boston: Allyn and Bacon
  20.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21.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A reexamination of the gifted and the talented. Venturam CA: Office of the Superintendent of Ventura County Schools
  22. Sternberg, R. J.(1986). A triarchic theory of intellectual giftednes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New York: Cambridge Univ. Press
  23. Terman, L. M. (1925).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thousand gifed children. Genetic studies of genius, 1, Stanford, Calif: Stan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