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fMRI study on the cerebellar lateralization during visuospatial and verbal tasks

공간 및 언어 과제 수행 시 소뇌의 편측화에 관한 뇌 기능 연구

  • Chung, Soon-Cheol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of Biomedical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 Sohn, Jin-Hun (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Mi-Hyun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of Biomedical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 Lee, Su-Jeong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of Biomedical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 Yang, Jae-Woong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of Biomedical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 Lee, Beob-Yi (Department of Anatomy, School of Medicine, Konkuk University)
  • 정순철 (건국대학교 의학공학부 의공학실용기술연구소) ;
  • 손진훈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 최미현 (건국대학교 의학공학부 의공학실용기술연구소) ;
  • 이수정 (건국대학교 의학공학부 의공학실용기술연구소) ;
  • 양재웅 (건국대학교 의학공학부 의공학실용기술연구소) ;
  • 이법이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해부학교실)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cerebellar areas and lateralization responsible for visuospatial and verbal tasks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fMRI). Eight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21.5\;{\pm}\;2.3$ years) and eight male college students($23.3\;{\pm}\;0.5$ years) participated in this fMRI study of visuospatial and verbal tasks, respectively. Functional brain images were taken from 3T MRI using the single-shot EPI method. All functional images were aligned with anatomical images using affine transformation routines built into SPM99. The experiment consisted of four blocks. Each block included a control task(1 minute) and a cognitive task(1 minute). A run was 8 minutes long. Using the subtraction procedure, activated areas in the cerebellum during the visuospatial and verbal tasks were color-coded by t-score. A cerebellar lateralization index was calculated for both cognition tasks using number of activated voxels. The activated cerebellar regions during the both cognition tasks of this study agree with previous results. Since the number of activated voxels of the left and right cerebellar hemisphere was almost same, there was no cerebellar lateralization for both cognition tasks.

본 연구에서는 공간 및 언어 과제를 수행하게 하면서 뇌 기능 영상을 획득하여, 각 인지 과제 수행에 따른 소뇌 활성화 영역을 알아보고, 소뇌 편측화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8명의 오른손잡이 남자 대학생(평균 $21.5{\pm}2.3$세)과 8명의 오른손잡이 남자 대학생(평균 $23.3{\pm}0.5$세)이 각각 공간 및 언어 과제 실험에 참여하였다. 3T MRI 에서 single-shot EPI 기법을 이용하여 뇌 기능 영상을 획득하였다. 뇌 기능 영상 데이터는 SPM-99 S/W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은 네 개의 블록으로 구성되며, 각 블록은 통제과제(1분), 인지 과제(1분)을 포함하며, 한 실험당 소요시간은 블록당 2분씩, 총 8분이었다. 감산법을 이용하여 공간 및 언어 과제에 대한 소뇌 활성화 영역을 알아보았고, 소뇌의 활성화 voxel 수를 이용하여 소뇌의 편측화 지수를 계산하였다. 두 인지 과제 수행 시 활성화된 소뇌 영역은 선행 연구와 비교하여 유사한 영역이었다. 두 인지 과제 모두 좌, 우소뇌 반구의 활성화 voxel 수가 비슷하여 소뇌 기능의 편측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