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GPS Data between Precise Ephemeris and Broadcast Ephemeris Using GAMIT and LGO

GAMIT과 LGO를 사용한 방송궤도력과 정밀궤도력에 의한 GPS 자료 처리결과의 비교.분석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GPS data acquired at CORS are widely and rapidly used in many application such as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ies. In acquisition of GPS data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of reliability and tolerance error range is necessary. This standards is regarded to contain the requirements of selection of using softwares, precise and broadcast ephemeris, duration of data acquisition, and etc. This study focused to present above standards of tolerance error. In long baseline GPS observation network the RMSE analysed in this study resulted little change when data acquired in 6-hour duration, but the less observation duration resulted less accuracy. Especially in 3-hour observation the accuracy of GPS data decreased rapidly. After analyses of data accuracy in the same observation condition using different computer program between academic and commercial purpose software, the RMSE of academic software resulted less than 1cm compared to 3 to 10cm from commercial software. RMSE analysis between precise ephemeris and broadcast ephemeris resulted similar quantity. Therefore this study regarded to present the reliable establishment of standards of error which can be used in required accuracy in GPS data observation.

최근 GPS 상시관측소 자료의 이용이 각종 정보산업분야에서 날로 급증하고 있다. GPS 위치 관측값 취득에 있어서도 사용 소프트웨어별, 정밀궤도력 이용 및 시간대별에 따른 성과의 신뢰성 및 허용오차 기준 마련이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로 논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GPS 상시 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여 관측 시간대별, 사용 소프트웨어별, 위성궤도정보별로 분석하여 사용목적에 따른 정확도 허용한계 기준을 설정하고자 수행되었다. 장기선 GPS 관측망에서 연속관측시간대가 6시간까지는 정확도에 큰 변화의 차이가 없었으나 관측 시간대가 줄어듦에 따라 서서히 정확도가 저하되다가 3시간 연속 관측시간대부터는 정확도가 급격히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관측조건은 같으나 학술용과 상용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였을 경우 학술용에서는 1cm 이내의 오차가 발견되었으나 상용 프로그램의 경우 3cm에서 최대 10cm 까지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성궤도정보별 분석에서의 위치 관측값은 정밀궤도력과 방송궤도력에서 비슷한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가 위치 관측값의 요구정확도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준설정의 마련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준묵, 이용욱, 박정현 (2000), 궤도력에 따른 장기선 GPS이동측량의 정확도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8권, 제 2호, pp. 121-127
  2. 김지운, 권재현, 이지선 (2008), Bernese와 TGO에 의한 국내 GPS상시관측소 자료처리 결과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6권, 제 6호, pp. 549-559
  3. 박관동, 김혜인, 원지혜 (2007), 국토지리정보원 GPS 상시관측소 관측환경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5권, 제 4호, pp. 337-345
  4. 박필호, 박종욱, 조정호, 전경수, 조성호 (1999), GPS의 변위검출능력에 대한 실험,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7권, 제 2호, pp. 161-166
  5. 이영진, 이흥규, 권찬오, 차상헌 (2008), 2등 측지기준점 GPS 관측데이터의 기선벡터 추정,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6권, 제 2호, pp. 157-164
  6. Alfred Leick (1990), GPS Satellites Surveying,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