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ing A Multi-dimensional Spatio-visual Information System

다차원기반 고정밀 공간영상정보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김미연 (연세대학교 밀레니엄환경디자인연구소) ;
  • 여욱현 (연세대학교 밀레니엄환경디자인연구소) ;
  • 최진원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recent emergence of the paradigm of new urban planning for building intelligent urban spaces, such as U-City and U-Eco City, of which the concept of ubiquitous technology is applied, requires high quality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of the urban ar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build a multi-dimensional spatio-visual information system that includes the solution for visualization, spatial information search, analysis, and evaluation by integrating various types of 3D-modeled spatial information concerning the large urban-size area based on the latest GIS application technology. The range of this study is the integration, visualization, and uti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with the goal of building 3D virtual urban environment of high-quality and high-resolution 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systematic urban facilities in order to fully reflect the actual user's needs, using the aerial LiDAR data as the pla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3D urban modeling. By reproducing the virtual urban environment the most similar to the actual world through the mash-up of satellite images and aerial photos on the standard format of spatial information constituted of properties and signs, the system will be built with many analysis and utilization functions that support the view and sunlight analysis, various administrative tasks, as well as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city.

최근 지능형 미래의 도시공간구축을 위해 유비쿼터스 개념을 적용한 u-City, u-Ecocity 등의 새로운 도시계획의 패러다임의 등장은 도시영역에 대한 고품질의 3차원 공간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다. 최신 GIS응용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3차원으로 모델링된 도시 규모의 방대한 영역에 대한 다양한 형식의 공간정보를 통합하여 가시화 및 공간정보 검색 및 분석, 평가를 위한 솔루션을 포함하는 다차원 공간영상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기존의 3차원 도시모델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항공 라이다(LiDAR)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활용도를 높여 도시 시설물의 고품질, 고해상도의 현실감있는 3차원 가상 도시환경 구축을 목표로 공간정보의 통합, 가시화, 활용기능 생성을 연구의 범위로 한다. 속성 및 기호로 구성된 표준형식의 공간정보에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매쉬업하여 실제 세계와 최대한 흡사한 가상의 도시환경을 재현하여 조망 및 일조권 분석은 물론 도시의 각종 행정업무 및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분석기능과 활용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축한다.

Keywords

References

  1.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UNDP/GEF). (2004), 환경부 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http://www.koreawetland.org
  2. 김정훈 (2008), 유비쿼터스 시대의 GIS 산업 발전전략,한국측량학회지, 제 26권, 제 1호, pp. 9-16
  3. 김행종 (2008), 국토공간정보체계와 지적정보DB의 신뢰성 확보방안, 한국지적학회지, 한국지적학회, 제 38권, 제 1호(통권356호), pp. 3-22
  4. 류근원. 김근한, 김혜영, 전철민 (2007), 3차원 GIS를 활용한 도시소음 시각화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집,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제 9권, 제 3호, pp. 17-24
  5. 민경민, 함남혁, 김주형, 이윤선, 김재준 (2008), GIS 정보의 인터랙티브한 표현방법 및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과의 상호운용,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 28권, 제 1호(통권 제 52집),pp. 629-632
  6. 사공호상, 서기환, 이영주, 박종택, 서용철 (2007), 공간정보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한 국가 GIS 전략 연구,국토연2007-13, 국토연구원, pp. 77-87
  7. 이영주, 사공호상 (2007),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 공간정보산업 트랜드, 국토정책 Brief, 제 156호, 국토연구원,pp. 1-6
  8. 이진우, 김형준, 조용식 (2008), GIS를 이용한 2차원 홍수범람정보의 3차원 가시화,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 8권, 2호, pp. 159-164
  9. 이현직 (2008), 다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실감정사영상제작 방안,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6권,제 3호, pp. 241-253
  10. 장병조 (2008), 행정 및 공간정보를 연계한 업무혁신 시스템 구축 및 지역정보화, 지역정보화지, 한국지역정보개발원, 통권 제 48권, pp. 54-59
  11. 장용구, 이우식, 김형수 (2008), 기존 공간정보 관리코드현황분석을 통한 도시공간정보 객체식별자 관리방향,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한국 GIS학회,Vol. 16 No.1, p. 52
  12. 조흥범, 조우석, 박준구, 송낙현 (2008),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건물모델링,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대한원격탐사학회, Vol. 24 No. 2 pp. 141-152 https://doi.org/10.7780/kjrs.2008.24.2.141
  13. 최봉문, 임영택, 한인구, 조병호 (2006),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3D 공간정보구축 및 활용제안: GIS DB 및 위성영상의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추계종합학술대회, 한국콘텐츠학회, pp. 421-423
  14. 최준영 (2005), 행정정보시스템의 공간정보 수요분석 및 활용방안 연구, 지역정보화지, 한국지역정보개발원, 통권 제 34권, pp. 37-43
  15.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7), 새로운 GIS패러다임 Where 2.0에 주목하라, 정보사회현안 분석 2,pp. 1~17
  16.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 (2003), GIS를 이용한 재난 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17. ETRI (2002), 국내외 GIS 시장동향, IT Find, ETRI, 1072호
  18. Frank Losasso and Hugues Hope (2004), Geometry Clipmaps: Terrain Rendering Using Nested Regular Grids, ACM Transactions on Graphics (Proc. SIGGRAPH 2004), 23(3), pp. 769~776 https://doi.org/10.1145/1015706.1015799
  19. Masahiro Takatsuka and Mark Gahegan (2002), GeoVista Studio: A Codeless Visual Programming Environment for Geoscientific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The Journal of Computers and Geosciences, 28(10), pp. 1131~1144 https://doi.org/10.1016/S0098-3004(02)00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