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y minerals and geochemistry of continental shelf sediment around Jeju Island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제주도 주변해역 대륙붕 퇴적물의 지화학적 조성과 점토광물 연구

  • Youn, Jeung-Su (Department of Earth and Marine Sciences, College of Ocean Science, Jeju National University)
  • 윤정수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과학부)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Geochemical composition and clay minerals of surface and core sediments around off the Jeju Island were analyzed for identification of sediment origins. The clay mineral distribution is mainly controlled by the sediment source and the dominant circulation pattern. Smectite is highly concentrated (>8%) in the northwest near the South Yellow Sea and in the outer-shelf mud patch. It seems to be due to the high supply of smectite transported from China where fine-grained sediments are discharged from modern and ancient Huanghe River. The relatively high abundance of kaolinite are found in northeastern nearshore area and the southwest near Changjiang estuary. It seems to be supplied from Changjiang River and the southwestern Korea rivers. The sediment accumulation rates measured by $^{210}Pb$ geochronrom mowere 0.20 to 0.54cm/mr or 0.15 to $0.42g/cm^2{\cdot}mr^{-1}$ AOJI, with decreasing rates from the west part to the east part, resulting in the supply of fine-grained suspended sediments from the Changjiang and Huanghe Rivers system. The discrimination diagrams clearly show that the sediments around Jeju Island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are ultimately sourced from Chinese rivers, especially from the Huanghe River, whereas the sediment in the northeast part might come from Korean rivers and the Jeju Island.

제주도 주변해역에 분포하는 퇴적물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 이곳 표층 및 주상 퇴적물의 지화학적 조성과 점토광물 분석연구를 하였다. 해양에 점토광물의 분포는 주로 퇴적물 공급지 와 해양순환 패턴에 의해 지배를 받는다. 스멕타이트는 남황해 북서쪽 지역과 외대륙붕의 니토대 분포지역에 8% 이상의 높은 함량분포를 보이는데, 이는 세립질 부유퇴적물을 많이 함유한 중국의 황하강계로부터 주로 공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비교적 높은 함량의 고령토는 북동쪽의 연안역과 양자강 하구역에 가까운 남서쪽 지역에 분포하는데 이는 양자강과 한국의 강들로부터 공급된 것으로 보인다. $^{210}Pb$ 동위원소를 이용한 제주도 주변해역의 퇴적율은 0.20~0.54cm/yr 혹은 $0.15{\sim}0.42g/cm^2{\cdot}yr^{-1}$의 범위를 보였고 서쪽에서 동쪽을 향함에 따라 퇴적율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황하와 양자강 기원 부유퇴적물이 제주도 주변해역까지 이동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지화학적 구분지수 도표에서 제주도 주변해역은 중국의 강들 중 황하강기원 퇴적물이 주를 이루나 북동쪽 지역은 한국의 강과 제주 기원 퇴적물이 일부 분포하고 있다.

Keywords